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수 역량(teaching competency) 모델 개발

        노혜란,최미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직업능력개발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교수의 교수(teaching)에 대한 수행 수준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체계화된 대학교수의 교수(teaching)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학에서의 교수 역량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Lucia & Lepsinger(1999)와 Dubios(1993)가 제시한 역량 모델 절차를 혼합 보완하여 문헌자료 수집, 인터뷰, 포커스그룹 미팅을 통하여 교수자의 역할과 핵심 역량, 공통기본 역량을 규명하여 교수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교수자로서의 역할은 교수설계자, 촉진자, 평가자 3가지로 구명되었고, 각각의 역할마다 3개의 핵심 역량과 공통기본 역랑이 규명되어 총 18개의 세부 교수 역량이 규명되었고 각 역량에 대한 진단문항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역량 모델과 진단지(cronbach's α =.93)를 적용하여 2003년 1학기부터 2004년 1학기까지 총 63명의 교수를 대상으로 교수 역량에 대하여 전공계열별, 교수직급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수 역량 중 학습환경 조성능력과 교수직급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오히려 직급이 낮을수록 학습을 위한 환경 조성을 잘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국내의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훈련자(trainer)와 교수자(teacher)가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과 공통기본 역량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기본적인 프레임웍을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ance for training and supporting of teacher and trainer in HRD by identifying their roles and developing teaching competency medel. Following research process and method are adopted for this study. First, we reviewed many literatures, and interviewed professors in H University to analyze their role, core teaching competency. And we had some focus group meetings to identify common teaching competency. Second, we developed the model of teaching competency of the categorizing of teaching roles and core competencies and common competencies. Third,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for diagnosing to identify the degree of teaching competency. Fourth, we applied the model to the field(H University) for to analysing the teaching competency level of profess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was consisted of thirty-six items for eighteen teaching competencies divided into nine core competencies and nine common basic competencies about three teacher roles - instructional designer, facilitator, evaluator. The result of applic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pecialities(science & engineering, humanity & sociality, medicine, and art) and status(a fulltime lecturer, an assistant professor, an associate professor and a professor) of professor. But, trend of mean of professor's specialities and status was remarkable. Specialities of science & engineering and an associate professor have relatively a low level of teaching competency in all of eighteen teaching competencies.

      • KCI등재

        Anti-hepatofibrogenic Effect of Turnip Water Extract on Thioacetamide-induced Liver Fibrosis

        Lan Li,Dae-Hun Park,Yong-Chun Li,Seung-Kee Park,Yun-Lyul Lee,Hyon-Min Choi,Dae-Sup Han,Hyuck-Joo Yang,Eun-Hye Lee,Hyung-Kwan Jang,Young-Jin Kim,Ja-June Jang,Min-Jae Lee 한국실험동물학회 2010 Laboratory Animal Research Vol.26 No.1

        Liver fibrosis is a chronic liver disease and lots of people in Korea are suffered. There are many efforts to find candidates to suppress liver fibrogenesis and several chemical-induced model or bile duct ligation model have been used to research and develop hepatic fibrogenic suppressor. From the previous study about functional effects of turnip which cultivated in Kangha Island, we got the feasibility which turnip might be able to inhibit heptatic fibrogenesis. TAA is a representative hepatic fibrosis inducer, repeated 7- weeks i.p. injection of it results in hepatic fibrosis. We compared the level of hepatic fibrosis in TAAturnip group, TAA group, and vehicle control group. Nodules-formed by TAA were observed; they were rarely shown in vehicle control group, observed in most area in TAA group, but only shown in periportal regions in TAA-turnip group.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through Masson's trichrom stain; fibrous structures increased in TAA group (fibrosis score: 4)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AA-turnip group (fibrosis score: 2-3). In conclusion, we got the result that turnip water extract has a potency to protect TAA-induced hepatic fibrogenesis but it is necessary further study to find its mechanism.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에 따른 학습자 특성과 이러닝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 모바일러닝 수강동기 분석

        최미나(Choi, Mina),노혜란(Rho, Hye-L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대학이러닝에서 수강생들의 학습스타일을 규명하고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에 대한 학습효과와 향후 모바일러닝을 수강을 하고자 하는 수강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러닝 만족도와 모바일러닝 수강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학습스타일 진단을 위하여 Gregorc의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C 대학교에서 이러닝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161개의 유효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학습스타일은 구체순차형이 가장 많았고, 남학생은 구체순차형이 여학생은 추상임의형이 많았다. 둘째,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었다. 구체순차형의 학습자가 구체임의형 학습자보다 성적이 높았다. 셋째, 학습스타일에 따라 이러닝 만족도 중 ‘이러닝에서의 상호작용의 충분성’에 대하여 구체순차형 학습자의 만족도가 구체임의형보다 높았다. 넷째, 학습스타일에 따른 모바일러닝 수강 동기는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학습스타일과 학년, 전공에 따른 이러닝 학업성취도와 이러닝 만족도, 모바일러닝 수강동기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습스타일과 성별에 따른 모바일러닝 수강동기 중 일부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체순차형의 여학생의 모바일러닝 전공관련에 대한 동기가 높았고 추상구체형 여학생의 모바일러닝 축약된 핵심내용에 대한 동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닝과 모바일러닝에서 학습효과를 발휘하는 학습자의 특성이 무엇인지 규명함으로써 학습자 분석에 기반한 이러닝 및 모바일러닝 지원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in University By analyzing the previous relevant research, it has developed 10 items for measuring e-learning satisfaction and 14 items for measuring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To diagnose learning style, I used Gregorc’s Questionaries. The study conducted in June 2015 for students who have taken the e-learning course in University at Chungbuk, 161 valid data was collected. By statistics analysis such as cross-tabulation analysis, ANOVA and MANOVA, I have a several meaningful result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learning style. CS type was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CR type.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 CS type was higher e-learning satisfaction than CR type for interaction sufficiency. Third,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Finally,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 and gender, but there is in motive. Concerning to motive to take mobile learning courses, CS type’s female has been a high motive for major need, and AS type’s female has been a high motive for mobile learning’s abbreviation. This study, by identifying what learner’s characteristics was to learning effect in e-learning provides a support plan for e-learning and mobile learning.

      • KCI등재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참여지속에 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노혜란 ( Hye Lan Roh ),최미나 ( Mi Na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특성 요인과 이러닝 효과 요인 중 학습자의 지속적인 이러닝 참여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서, 일반 대학 이러닝의 유지 및 확산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이러닝의 참여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학습자 특성관련 요인 9개, 이러닝 효과 관련 요인 21개 총 30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충북소재 S대학에 개설된 7개 이러닝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70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통해 경향을 분석하였고, 교차분석 및 t검정을 통해 각 변인들의 차이분석을 하였으며, 이러닝 참여지속 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예측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러닝과 일반강의 학습효과 인식, 이러닝 선택 이유, 학년, 시스템의 안정성 등이 이러닝 참여지속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즉, 이러닝 선택 이유로서 자유로운 시간표 조정과 관계가 없을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이러닝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닝이 일반강의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할수록,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러닝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학 이러닝에서 참여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이러닝의 효과 변인 보다 이러닝 수강과 관련된 학습자 특성 변인이며, 시간 편의성이라는 이러닝 장점만으로는 이러닝 이탈을 방지하기 어려우므로 학습자의 이러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mote the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university e-learning through exploring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on the students` persistent intention to enroll e-learning course.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tial factors, we analyzed advanced researches and we drew total 30 factors including 9 factor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21 factors of e-learning effectiveness. We conducted survey from students of 7 learning courses in S university in Chungbuk and collected data from 705 student. We analyzed the collecting data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t analysis and found trend. Besides we assayed the difference analysis between the influence variables by persistent intention of attending e-learning courses through crosstabs analysis and t-test. Furthermore, we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s analysis to predict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student`s persistent participation in e-learning.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se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persistent participation were the recognition of learning effects between general courses and e-learning course, the reason of choosing e-learning, grades and stability of e-learning system, in order of influence. To be specific, the less relating of adjusting the freely schedule as the reason of choosing e-learning and the order grades they tend not to participate e-learning courses persistently. Also, the more students consider the e-learning is much effective compared to general courses, and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tability of e-learning system, the probability of not attending e-learning courses persistently was decreased. In conclusion, the influential variable of persistent intention in university e-learning is much related to the variable in students` characteristics, not just only the variable in effects of e-learn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dropout of e-learning only with the advantage of e-learning which is time convenience.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tudent`s positive recognition of e-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