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주지역 여고생의 초경과 체성장간의 관계

        김준섭,권오구,박진석,오종수,박정현,박제식,안세한,이용환,서정호,신태섭,최영배,김덕수,이관,박수경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본 연구는 경주지역 1개 고등학교 3학년 여고생을 대상으로 초경 시작 전인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키, 몸무게, 가슴둘레 수치와 초경 연령을 파악하여 여성의 초경이 빠를수록 체성장 속도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기초로 두 요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경주시 1개 여자고등학교 3학년생 총 317명에 대해 ㅊ경 나이, 초경시 심리 상태, 초경이 시작되었을 때의 상담 여부와 상담하였던 사람, 부모 신장과 초경전후의 식사 규칙성, 다이어트 경험, 수면시간, 스트레스, 음주/흡연 여부, 질병력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키, 몸무게, 가슴둘레에 대한 정보는 건강기록부에서 확보하였다. 상기 대상자 중 건강기록부가 분실된 39명, 초경나이에 대해 응답하지 않았던 29명 및 결석 등으로 조사를 하지 못하였던 42명을 제외한 조사 대상자는 206명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초경연령 평균값(Mean±SD)은 13.0±1.11이었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초경 이후 신장 성장률은 감소하였으며, 초경연령이 빠른 군이 초등학교 때는 신장에 있어서 우위를 차지하나 고등학교에 오면서 신장은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초경후 1-2년 사이에 체중과 흉위의 증가율은 감소하였고, 초경연령이 빠른 군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에 체중과 흉위에서 모두 우위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흔히 이차 성징의 시작 시점 혹은 사춘기의 시작 시점으로 보고있는 초경 연령이 청소년기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특히 체중과 흉위의 성장 속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o understand the onset of menarche in relation to changes in physical growth that take place during female adolescence, especially the changes in height and weight velocity. The 207 senior in one women high school of Kyongju were investigated in April 3 to 8, 2001.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relation in the age at menarche, height & weight of parents, regularity of eating, and obesity diet, duration of sleeping, sickness & stress near age at menarche, by self-recording. The status of height, weight & chest circumference between the 4th grade of primary school and the junior of high school was collected by individual Health Record. The results were followed; The average age at menarche was 12.95±1.11 years old and the most frequent age of menarche is 13 years. After menarche, the velocity of height, weight and chest circumference were decreased. The most rapid group of menarche hold dominant position in height during elementary school. As time passed, they dont hold dominant position in height. The most rapid group of menarche get an advantage in the weight and the girth of chest after elementary school. The height of subject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height of their par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arting age at menestuation can be closely associated with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 중추성 요붕증이 동반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1예

        김진호,문준성,문선중,이지은,최재원,은미정,천경아,조인호,윤지성,원규장,이경희 신덕섭,이형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2 No.2

        Central diabetes insipidus (DI) is a syndrome characterized by thirst, polydipsia and polyuria.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s one of the etiologies of DI. Recently we experienced a central DI associated with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The 44 years old female patient complained right hip pain polydipsia and polyuria. We carried out water deprivation test. After vasopressin injection, urine osmotic pressure was increased form 109mOsmol/Kg to 327mOsmol/Kg (300%). Brain MRI showed a thickened pituitary stalk and at hot bone CT.CT guided biopsy revealed abnormal histiocytes proliferation and abundant lymphocytes, The final diagnosis was central DI associated with systemic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vading hip bone, L-spine and pituitary stalk. Desmopressin and etoposide chemotherapy were performed to the patient.

      • KCI등재
      • KCI등재

        악성 연부조직 종양에 대한 무계획적 절제술 후 재절제의 결과

        신덕섭(Duk-Seop Shin),최치범(Chi-Bum Choi),조창우(Chang-Woo Cho),박철현(Chul-Hy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6

        목적: 무계획적으로 종양을 절제한 후 재절제 수술을 한 환자와 충분한 수술 전 조사 후 계획하에 종양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예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타 의료기관에서 무계획적 종양절제술을 시행 후 악성 연부조직 종양으로 진단되어 영남대학교의료원에 전원된 환자 중 재절제 수술을 시행한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예후를 분석하였다. 같은 기간 본원에서 계획하고 수술한 480명의 악성 연부조직 종양 환자 중 무계획군과 유사한 환자 81명의 대조군과 치료성적을 비교하였다. 결과: 무계획적 절제술을 시행한 군(무계획군)에서 재발률 및 생존율에 영향을 끼친 요소는 생존율에서 나이만 통계적 유의성을 가졌다(p=0.048). 최종 추시에서 5년 내 재발률은 무계획군 11.1%, 계획군 10.5%이며 5년 생존율은 무계획군 74%, 계획군 76.6%였다. 무계획군에서는 초기 종양의 크기로 보아 불필요했을 것으로 보이는 피부이식 혹은 피판술 등의 추가적 수술이 계획군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수치였다. 결론: 무계획적인 절제술 후에도 광범위 절제연으로 재절제술을 시행시 재발률을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필요하지 않았을 피부이식 혹은 피판술 등의 추가 수술의 비율이 높았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oncological results of the unplanned excision group,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the planned excision group.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1 patients who underwent re-excision of sarcoma in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2, after unplanned excision in local medical center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oncological results according to age, gender, tumor size, depth, and locations. As a control group of planned excision, 81 patients with a similar state, were selected and reviewed among the group of 480 patients who underwent planned excision during the same period. We then compared the results of the two groups. Results: In the unplanned excision group, only the age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urvival (p=0.048). In comparison of clinical and oncological results of the unplanned and planned excision groups, recurrence rate was 11.1% in the unplanned group, 10.5% in the planned group and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p=0.18). Survival rate was 74% in the unplanned group, 76.6% in the planned group and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p=0.06). Necessity of additional surgery for coverage of soft tissue defects was 46% in the unplanned group, 14% in the planned group an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 Conclu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and local recurrence rat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of re-excision with microscopic remnant tumor after unplanned excision and planned excision. However, unplanned excision might lead to unnecessary additional surgery like skin-graft, skin-flap if it were planned.

      • KCI등재

        좌골 신경에 발생한 신경초종 제거 후 비복 신경 이식

        신덕섭(Duk-Seop Shin),서재성(Jae-Sung Seo),손욱진(Oog-Jin Shon),한재형(Jae-Hyeung Han),박삼국(Sam-Kook Park),변성준(Seong-Joon By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신경초종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종양 중의 하나이나 좌골신경에 발생하는 신경초종은 그리 흔하지 않은 편이다. 신경초종의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하며 예후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필요에 의해 신경절제술을 시행 시 신경절제술 후 기능상실로 인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저자들은 좌골 신경에 발생한 신경초종을 절제한 뒤 비복 신경을 이용해 신경 이식술을 시행한 뒤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게 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 schwann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neoplasms in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 but schwannomas of the sciatic nerve are rare. Treatment is a surgical excision and the overall prognosis is good. But functional loss occurs when a neurectomy is performed with inevitable cause. We report one case of a successful sural nerve graft after resection of a schwannoma in a sciatic nerve and we present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파벨라 증후군: 총비골신경 마비의 흔치 않은 원인

        신덕섭(Duk-Seop Shin),조창우(Chang-Woo Cho),류승민(Seung Min R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5

        파벨라(비복근두종자골, fabella)는 의학적으로 많이 중요하지 않게 여겨진다. 파벨라가 총비골신경 마비의 원인 중에서 한 가지가 될 수 있다는 보고는 거의 없었다. 본 증례에서는 파벨라가 있는 66세의 농부가 갑자기 신경학적 증상을 호소하였다.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신경학적 증상이 극적으로 회복되었다. 최근에 총비골신경 마비를 동반한 파벨라 증후군에 관한 보고는 거의 없었고, 국내에는 아예 없었다. 그래서 저자들은 파벨라가 총비골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The fabella has been considered to have a minor clinical significance. However,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describing the fabella as one of the causes of peroneal nerve palsy (PNP). This report describes a 66-year-old farmer who complained of acute neurologic symptoms involving the fabella. Surgical extirpation was performed and neurologic function was recovered dramatically. Recently, there have been no published reports on fabella syndrome with common PNP. Here,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common PNP with the fabella as a cause.

      • KCI등재

        악성 골종양의 진단적 접근

        신덕섭(Duk-Seop Shin),류승민(Seung-Min Ryu),박철현(Chul-Hy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6

        악성 골종양은 원발성 악성 골종양, 속발성 악성 골종양 및 전이성 골종양으로 나눌 수 있다. 골종양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성인의 원발성 악성 골종양은 전체 암의 1% 정도이고, 소아에서는 약 6% 정도를 차지한다. 통증이 없는 종괴를 주소로 하는 악성 연부조직 종양과는 달리 대부분의 악성 골종양 환자는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게 된다. 과거 병력, 가족력 등에 대한 문진과 촉진 및 신체 검사를 한 뒤 증상과 관련된 방사선 사진을 먼저 촬영하게 되고, 경험이 풍부한 근골격계 종양의사는 진단에 대한 단서를 상당 부분 이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얻게 된다. 정확한 진단과 병기 결정을 위해 병리학적 진단, 종양의 국소 범위(local extent of tumor)와 원격전이 여부를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해 핵의학 검사,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핵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및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 등의 영상검사와 생검이 필요하다. 만일 환자의 임상소견과 단순 방사선 사진이 공격적인 진행을 하는 양성 골종양이나 악성 골종양이 의심되면, 더 이상의 진단적 영상검사나 조직검사를 하지 말고 경험이 많은 정형외과 종양전문의에게 전원하여야 한다. Malignant bone tumors would be classified as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secondary malignant bone tumors, and metastatic bone tumors.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are rare diseases occupying 1% of adult cancers, and 6% of pediatric cancers. The chief complaint of malignant bone tumor patients is pain different from that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patients. Diagnostic procedures start with clinical evaluation including current illness, past medical history, family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Then we take a radiograph first and obtain important and diagnostic clues from it. However pathological diagnosis and information about the extent of tumor are required to obtain a more definite diagnosis and staging. Examinations for detection of local and systemic tumor extent are scintigraphy, comput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 If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information suggests aggressive or malignant bone tumor, the patient should be referred to a bone tumor specialist without further eval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