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성 연부조직 종양에 대한 무계획적 절제술 후 재절제의 결과

        신덕섭(Duk-Seop Shin),최치범(Chi-Bum Choi),조창우(Chang-Woo Cho),박철현(Chul-Hy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6

        목적: 무계획적으로 종양을 절제한 후 재절제 수술을 한 환자와 충분한 수술 전 조사 후 계획하에 종양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예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타 의료기관에서 무계획적 종양절제술을 시행 후 악성 연부조직 종양으로 진단되어 영남대학교의료원에 전원된 환자 중 재절제 수술을 시행한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예후를 분석하였다. 같은 기간 본원에서 계획하고 수술한 480명의 악성 연부조직 종양 환자 중 무계획군과 유사한 환자 81명의 대조군과 치료성적을 비교하였다. 결과: 무계획적 절제술을 시행한 군(무계획군)에서 재발률 및 생존율에 영향을 끼친 요소는 생존율에서 나이만 통계적 유의성을 가졌다(p=0.048). 최종 추시에서 5년 내 재발률은 무계획군 11.1%, 계획군 10.5%이며 5년 생존율은 무계획군 74%, 계획군 76.6%였다. 무계획군에서는 초기 종양의 크기로 보아 불필요했을 것으로 보이는 피부이식 혹은 피판술 등의 추가적 수술이 계획군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수치였다. 결론: 무계획적인 절제술 후에도 광범위 절제연으로 재절제술을 시행시 재발률을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필요하지 않았을 피부이식 혹은 피판술 등의 추가 수술의 비율이 높았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oncological results of the unplanned excision group,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the planned excision group.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1 patients who underwent re-excision of sarcoma in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2, after unplanned excision in local medical center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oncological results according to age, gender, tumor size, depth, and locations. As a control group of planned excision, 81 patients with a similar state, were selected and reviewed among the group of 480 patients who underwent planned excision during the same period. We then compared the results of the two groups. Results: In the unplanned excision group, only the age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urvival (p=0.048). In comparison of clinical and oncological results of the unplanned and planned excision groups, recurrence rate was 11.1% in the unplanned group, 10.5% in the planned group and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p=0.18). Survival rate was 74% in the unplanned group, 76.6% in the planned group and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p=0.06). Necessity of additional surgery for coverage of soft tissue defects was 46% in the unplanned group, 14% in the planned group an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 Conclu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and local recurrence rat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of re-excision with microscopic remnant tumor after unplanned excision and planned excision. However, unplanned excision might lead to unnecessary additional surgery like skin-graft, skin-flap if it were planned.

      • KCI등재

        연골모세포종의 치료 및 임상적, 종양학적 결과

        신덕섭(Duk-Seop Shin),최치범(Chi-Bum Choi),박재우(Jae-Woo Park),나호동(Ho-Dong Na)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2

        목적: 연골모세포종의 치료 및 임상적, 종양학적 결과를 거대세포종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12년까지 연골모세포종으로 진단받은 25예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추적 분석하였으며, 거대세포종 환자 42명을 대조군으로 만들어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술 후 예후를 분석하였다. 양 군 모두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하였다. 결과: 연골모세포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25명이었으며, 병변 부위는 대퇴골 9예, 슬개골 3예, 상완골원위부 3예, 경골 3예, 거골 3예 등으로 나타났다. 병변의 평균 크기는 2.18 cm (0.3-9.5 cm)였다. 거대세포종은 총 42명이었으며, 병변 부위는 대퇴골 19예, 경골 7예, 요골 5예, 비골 5예 등으로 나타났다. 병변의 평균 크기는 3.71 cm (0.3-11 cm)였다. 연골모세포종에서는 국소 재발한 환자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거대세포종에서는 42명 중 4명(9.5%)의 환자에서 국소 재발이 관찰되었다. 연골모세포종에서 전이가 확인된 환자는 없었으며, 거대세포종에서는 1명에서 폐전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연골모세포종이 상대적으로 비침습적이며 양성종양의 성향이 더 강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골모세포종과 거대세포종 모두 수술적 치료를 시행을 시행하며 보조요법으로의 전기소작술이 도움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oncological outcomes between chondroblastoma and giant cell tumor.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reviewed 25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chondroblastoma of bone between 1998 and 2012. During the same period, 42 patients diagnosed as a giant cell tumor were also reviewed. We then analyzed clinical and oncological results of chondroblastoma compared with giant cell tumor. In chondroblastoma, 17 cases were male, and 8 cases were female, with a mean age of 20.6 years (range from 11 to 38 years). In giant cell tumor, 20 cases were male, and 22 cases were female, with a mean age of 39.26 years (from 17 to 75 years). All patie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that extended curettage with electrocauterization. After curettage, bony cavity was filled with autogenous bone, allogenic bone chip, bone cement, tricalcium phosphate, and so on. The results were compared in recurrence and metastatic rate.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1 year. Results: In chondroblastoma, mean size was 2.18 cm (0.3 to 9.5 cm).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were absent. In giant cell tumors, mean size was 3.71 cm (0.3 to 11 cm). Local recurrence rate was 9.5% (4 of 42 cases) and there was one lung metastasis. Conclusion: Chondroblastoma is less invasive with better prognosis than giant cell tumor. Treatment of chondroblastoma and giant cell tumor is surgery. Electrocauterization as an adjuvant therapy showed good results.

      • KCI등재

        원위 경골 골절에서 금속정 및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의 결과 비교

        박철현(Chul-Hyun Park),최치범(Chi-Bum Choi),심범진(Bum-Jin Shim),이동철(Dong-Chul Lee),손욱진(Oog-Jin Sh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4

        목적: 원위 경골 골절에서 금속정 고정술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원위 경골 골절로 영남대학교의료원에서 수술을 받은 5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32 예에서 금속정 고정술을(금속정군), 25예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금속판군)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족관절의 운동범위 와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와 Olerud-Molander 족관절 점수를 비교하였다. 방사선학적 결과 는 골유합 시기와 관상면 및 시상면에서의 부정 정렬 및 단축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금속정군에서 술 후 6개월까지 더 좋은 족관절 운동 범위를 보였으나 최종 추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종 추시의 AOFAS 점수와 Olerud-Molander 족관절 점수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금속정군에서 관상면과 시상면상에서 5도 이상 의 부정 유합이 각각 1예 발생하였다. 금속판군에서 불유합이 1예 발생하였으나 자가골 이식술 시행 후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원위 경골 골절에서 금속정 고정술이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에 비해 더 빠른 재활이 가능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treatment of distal tibial fractures between intramedullary (IM) nailing and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7 and February 2012, 57 patients (57 cases) were treated for distal tibial fractures. Thirty-two patients (32 cases) were treated with IM nailing (nail group) and the 25 patients (25 feet) were treated with MIPO (plate group). Clinical results were compared using range of motion (ROM) of the ankle joint,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Olerud-Molander score between nail group and plate group. Radiographic results were compared using mean bony union time, coronal and sagittal malunions, and shortening between the groups. Results: Mean ROM of the ankle joint was significantly larger in nail group until 6 months after surgery; however, it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the last follow-up. AOFAS score and Olerud-Molander scor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the last follow-up. In the nail group, two malunions more than 5 degrees were observed in coronal and sagittal planes, respectively. One case showed non-union in the plate group, however, bone union was obtained after autogeneous bone graft. Conclusion: Treatment using IM nailing is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than MIPO in distal tibial fra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