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진사행 의학문답 및 치험 사례 기록 연구

        咸晸植(Ham Jeong Sik),車雄碩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0 No.-

        지금까지 한국의학사의 많은 부분이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 언급되어 왔다.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일본과의 관련 속에서도 균형 있는 시각으로 한국의학사를 새롭게 조명해야 할 시점이다. 자료가 많지는 않지만 江戶時代 조선통신사 교류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의가들의 관련 기록은 귀중한 의학사적 산물이다. 그 가운데 조선통신사 무진사행(1748년)은 의사학적으로 이전 사행과 다른 몇 가지 특색을 지니고 있다. 무진사행이 이루어진 18세기 중반이 되면 일본의학은 조선의학과 사뭇 다른 길을 걷는다. 이러한 일본의 의학적 경향의 변화는 18세기 초반 조선통신사 신묘사행(1711년)과 기해사행(1719년) 때의 의학문답 기록을 살펴보면 어느 정도 예견된 결과였다. 하지만 18세기 중반에 이르면 이전과 상황이 달라진다. 18세기 초반 조선의학을 전수 받고자하던 일본의 열정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서서히 식어갔다. 儒學界에서 일어난 변화와 비슷하게 醫學界에서도 소위 ‘古方醫學’이라는 思潮가 일어나 金元四大家로 대표되는 기존 ‘後世方醫學’을 대체하게 되었다. 宋儒로 일컬어지던 성리학이 伊藤仁齋가 古學을 주창하던 무렵에 이르러 그 세력이 약화된 것처럼 의학방면 역시 변화가 일어났다. 일본은 後世方醫學의 색채가 짙은 조선의학을 전수받으려는 노력 보다 오히려 古學과 성격이 비슷한 古方醫學을 발전시켜 나갔다. 여기에 더하여 네덜란드 의학을 받아들이는 등 일본의학은 그들 특유의 의학으로 변화되어 갔다는 것이 기존 의학사 연구자들의 주장이다 본 연구에서 무진사행 때의 의학문답 기록에 투영된 조선과 일본의가들의 의학적 경향과 주된 관심사를 살펴보았다. 무진사행 당시 일본의학이 이전 시대와 어떠한 면에서 차이점 내지 공통점을 가지는지 의학문답 기록을 통해 고찰하였다. 18세기 조선과 일본의 의학적 경향에 대한 종전의 연구와 일본의학사 관련내용들을 참고하면서 무진사행 때의 의학문답 기록 가운데 의학적 개성이 뚜렷이 드러난다고 판단한 󰡔대려필어󰡕, 󰡔한객치험󰡕, 󰡔상한의문답󰡕의 일부 내용을 연구하였다. ‘18세기’ 혹은 ‘18세기 중반’의 일본의학은 ‘고방의학이 성행하였다’거나 ‘성행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이 대체로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고 무진사행 때에 의학문답 기록에 보이는 양국의가들의 의학적 경향을 살펴본 바, 『대려필어』의 경우 앞서 언급한 정설을 적용하기에 무리가 없었지만, 『한객치험』과 『상한의문답』은 이러한 정설을 그대로 반영하기 어려운 기록이었다. 다만, 세 건의 기록에 한정된 연구였기에 아직까지 이를 무진사행 의학문답 기록의 일반적인 성격이라고 확대 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 Until now, The majority of Korea medical history has been referred to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Relatively, a medical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overlooked. Now that, we must focus on Korea medical history connected with Japan medical history with the sense of balance and new angle. There are few data on related to medical exchange in Joseon Tongsinsa(朝鮮通信使), but records by doctors of a direct or indirect joined in a medic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are valuable historic documents. Especially, Mu-jin(戊辰) envoys have distinctive feature different from a former envoys. Up to the mid 18th century, when Mu-jin(戊辰) envoys took place, Japan medicine was going the other way compared to Korea medicine. If we examined medical conversation records in SinMyo(辛卯) envoys and GiHae(己亥) envoys,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change of Japan medical trend would be predicted up to a certain point. But, in the mid 18th century, there were different from an early situation. A enthusiasm of Japan for accepting the Korea medical had cooled down in length of time. Similarily to Confucianism, it was occurred an ideology of Go-bang(古方) medicine in Japan medical field. The ideology of Japan medicine had changed a Hu-se-bang(後世方) medicine represented by Gum-won-sa-dae-ga(金元四大家) to Go-bang(古方) medicine. As if Sung Confucianism represented by Song-yu(宋儒) was weaken by I-dung-in-jae(伊藤仁齋)'s Go-hak(古學), medical part was also changed. Japan developed Go-bang(古方) medicine Similar to Go-hak(古學) instead of receiving Korea medical. In addition, the researchers who had studied medical history insisted that Japan accepted Dutch medicine and changed unique medicine of Japan. In this studies, we examined a medical trend and matter of concern of Korea and Japan doctors reflective on medical conversation records which were born in Mu-jin(戊辰) envoys. We inquired a point of sameness or difference of Japan medicine in Mu-jin(戊辰) envoys compared to former envoys through medical conversation records. We consulted early studies and a document relevant to Korea and Japan medical trend in the 18th century, and then studied Dae-Ryeo-Pil-yeo(對麗筆語), Han-gaek-chi-heom(韓客治驗), Sang-han-ui-mun-dab(桑韓醫問答) which are judged to have medical speciality. A theory which Go-bang(古方) medicine was prevailed or started prevailing in the 18th century or the mid 18th century had been generally accepted. Bearing this point in mind, when we founded out medical trend and matter of concern of two country doctors, Dae-Ryeo-Pil-yeo(對麗筆語) can be applicated to an established theory. But Han-gaek-chi-heom(韓客治驗)and Sang-han-ui-mun-dab(桑韓醫問答) could not be accepted to forenamed theory. Because of only limited study on three records, We must not broadly interpretate that these are general character of Mu-jin(戊辰) envoys in the medical conversation records.

      • DeRs 기반 Hybrid 계통을 위한 NR 기반 DC 전력 조류 해석

        함정모(J.M. Ham),황지인(J.I. Hwang),이경민(K.M. Lee),조남훈(N.H. Joe),박철원(C.W. Park)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최근 AC 계통은 RES/DERs 기반의 DC계통과 연결된 Hybrid 계통 구성 및 변경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즉 전력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토폴로지를 가진 여러 AC 및 DC 계통을 포함하도록 확장되고 있다. 따라서 전력 변환기기를 고려한 새로운 전력 조류 계산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ERs 기반의 Hybrid 계통을 위한 전력 조류 계산을 위하여 NR 기반 DC 조류 계산을 제안한다. MATLAB 도구를 사용하여 Hybrid 계통을 위한 새로운 DC 전력 조류 해석을 제안, 구현한 후, 수정된 IEEE 표준모델을 통해 MATPOWER와 비교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파리의 정체성 탐구

        함정임(HAM Jeung-Im)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5 프랑스문화연구 Vol.31 No.-

        Paris, capitale du XIXe siècle de Walter Benjamin est l'oeuvre monumentale de l'étude sur Paris. Cette étude de Paris de Walter Benjamin s'est fondée des oeuvres d' un poète Charles Baudelaire issu de Paris. Ce sont surtout Les fleurs du mal, Le spleen de Paris, La critique de l'art sur la scène de Paris. Dans ces poèmes en prose, Baudelaire radicalise l'expérience décrite dans la section "Tableaux Parisiens" des Fleurs du mal. Le narrateur poétique y passe et connaît en se promenant sans intention dans les rues. Ses expériences est en communion d'idées avec le processus de changement et l'arrière-fond génétique du systeme de capitalisme moderne. Walter Benjamin poursuit Paris, émergeant métropole artistique comme symbole du capital moderne par la médiation de promeneur en ville par Baudelaire. Après Paris, capitale du XIXe siècle, Paris entre l'objet de recherche de plusieurs domaines ; urbanisme, Regional studies, littérature, art, architecture etc. Notre article est inspiré par l'etude de Paris de Benjamin. Nous allons faire la revue des aspects et le sens de Paris dans les romans contemporains de Corée. Paris y apparaîtt à la fin des années 1980, ou au début des années 1990, notamment dans les oeuvres de Kim Chae-Won, Choi Youn, Ham Jeung-Im. Et depuis le milieu du 1990 à 2010, dans les oeuvres de Go Jong-Suk, Youn Dae-Nueng, Kim Tak-whyan, Shin Gyung-Suk, Kim You-Jin, Baek Su-Rin. Nous avons pour le but d'examiner les romans publiés dans les revues littéraires centrales et à la maison d'édition litteraire de 1990 à 2010. Nous recherchons les romans de Kim chaewon, Ham Jeung-Im, Choi Youn, Go Jong-Suk, Kim You-Jin, Baek Su-Rin en profondeur. Les thèmes de ce travail sont divisès comme nous le verrons plus bas :'l’experance et la meoire, l'espace topophilia de l'étranger’, ‘la revolution et l’idéologie, l'espace historique’, ‘la cohabitation indifférente et l’exil doux, l'espace réel de nomades au XXI '. En fin de compte cela devient un quête sur l'identité culturelle de Paris comme l'espace technique romanesque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일본,미국 대학의 교양 고전교육 사례 비교-

        함정현 ( Joung Hyun Ham ),민현정 ( Hyun Jung Mi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0 No.-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은 소외되고 있던 인문학의 부활과 인재가 갖추어야 할 인성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대학생에게 필요한 교육 중 하나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국 대학의 경우 교양필수 또는 교양선택강좌에서 고전읽기·고전세미나·주제로 읽는 고전 등 고전을 활용한 교양교육이 점차 증가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메이지 유신 시기 왕성했던 고전교육은 이 점차 사라져 현대의 교양교육에서는 고전교육의 활용을 찾아보기 어렵다. 미국 대학의 고전교육은 1900년대 시작되어 현대까지 대학 교육의 중심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교양교육의 목적 달성을 위해 높은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고전을 "사고와 표현" 강좌에 적용하여 실질적 고전교육뿐만이 아니라 쓰기와 말하기라는 현대적 활용 단계까지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사고와 표현" 강좌가 대학생에게 필요한 일반적인 기술적 교육이었다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전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와 표현: 쓰기"의 경우 "동호문답을 통한 문답식 글쓰기", "난중일기를 통한 자기성찰 글쓰기", "목민심서를 통한 정보전달 글쓰기" 등을 구성하여 고전탐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쓰기 활동을 제안할 수 있다. ``사고와 표현: 말하기"의 경우 또한 "논어와 정서표현 말하기", "맹자와 지성적 말하기", "도덕경과 논리정보 말하기", 한비자와 말하는 설득과 토론"등으로 말하기 활동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적·범위적 여건의 제한으로 각 고전의 일부를 선정하여 집중 탐구해야 하는 제약은 대학별 학사일정에 따라 점차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slowly gaining in popularity and classical literature`s greatest skill is its ability to teach humanism and good characteristics to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out how Japan, America, and Korea teach classical literature to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e goals of general education. Classical literature has educational value, and we can apply it to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es in general studies. We can also look for a way to develop classical literacy in modern subjects. On Hanseo University`s cases, it designs into two classes: thinking and expression writing, thinking and expression speaking. In writing class, there is interrogatory writing through Donghomoondab, and persuasion writing through Baekbumilji. In speaking class, there is sentimental speaking through Noneo, logical information speaking through Dodukkyung, rational speaking through Mookja, persuasion and debate speaking through Hanbija.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for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 can give a change to think through the history and events of philosophy and it is a guide to solve problems, it can also help one to develop wisdom to see more out of live. For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the range of classical literature is huge and the academic schedule is short so the class must be adaptable and flexible.

      • KCI등재

        아동의 공격성 선별도구로서 “빗속의 사람(PITR)” 그림 활용 가능성 연구

        함정심(Jeong-Sim Ham),정영인(Young-In Chu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과 교육 Vol.20 No.1

        본 연구는 아동의 공격성 정도에 따른 빗속의 사람(PITR: Person In the Rain)의 반응특성 차이를 파악하고, PITR이 아동의 공격성을 선별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 활용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4-6학년 365명이었다. 연구도구는 PITR 그림검사와 공격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공격성 정도에 따른 PITR의 반응특성 차이검증은 교차분석을, 공격성을 선별할 수 있는 도구로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는 판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격성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의 PITR에 나타난 스트레스 지표의 반응특성은 웅덩이의 면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스트레스 대처자원 지표의 반응특성은 인물의 크기, 전체 인물의 모습, 신체부위 생략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DI 지표의 반응특성은 그린 순서, 그림 속 사람 나이, 그림의 느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공격성 선별도구로서 PITR의 변별력은 76.0%로 나타났고, 공격성이 낮은 집단은 69.9%, 높은 집단은 82.2%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PITR이 아동의 공격성의 선별도구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response characteristics to Person In the Rain(PITR)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ildren"s aggression, and examining whether the PITR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to determine children"s aggression. The subjects were 365 elementary school in grades 4 to 6 in Gyeonggi-Do. A PITR drawing test and an aggression test were used as research tool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regarding the research question, a cross-analysis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response characteristics to PITR according to the degree of aggression while a discriminant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its validity as a tool to discern ag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 indicators of groups with low and high aggression revealed in the PIT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the puddle while those of the stress coping resource index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person, the figure of the whole person, and the omission of the body part.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DI index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drawing, the age of the person in drawing, and the feeling of drawing. Second, the discriminatory power of PITR as a screening tool for aggression was 76.0%, predicting 69.9% for the group with low aggression and 82.2% for the group with high agg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TR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for aggression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