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대주주 개인지분율이 고배당기업 주식의 배당소득에 대한 과세특례 활용에 미친 영향

        한선아,성용운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학 연구 Vol.33 No.4

        Korea government introduced dividend boosting tax system in 2015, that reduce dividend income tax for the individual shareholders of high dividend firms. So we examine whether the choice for high dividend firms is influenced by individual equity ratio of the largest shareholders, equity ratio of minority shareholders, and the relative size of individual equity ratio of the largest shareholders to minority shareholder equity ratio. And we review the cost and effectiveness of this system in 2015.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1) the relation between the choice for high dividend firms and individual equity ratio of the largest shareholders is significantly positive;(2) the relation between the choice for high dividend firms and the relative size of individual equity ratio of the largest shareholders to minority shareholder equity ratio is significantly positive;(3) but the relation between the choice for high dividend firms and minority shareholder equity ratio i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mean that individuals of the largest shareholders make a choice of high dividend firms for their own tax cut benefits and the benefits(dividend increase and tax cut) of minority shareholder are just reflective ones. And, as a result of the new system enforcement for 2015, the minority shareholders’ disposal income of high dividend firms rose by 693,940 million won in 2015, on the other hand, the drop of government’s tax revenue came to 77,663 million won(11.19% of minority shareholders’ disposal income). And the minority shareholders’ disposal income increase of high dividend firms was up nealy to 9.1 times, compared to one of individuals of the largest shareholders. we think this implies that the dividend boosting tax system for 2015 was effective on the face of the legislation purpose. 정부는 기업소득을 가계부문으로 이전시키기 위해 배당소득증대세제를 2015년부터 3년간 한시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는 일정 요건을 충족시킨 고배당기업의 개인주주 배당소득에 대해 소득세를경감시켜주는 제도이다. 따라서 상장기업의 개인주주들은 자신이 투자한 기업이 고배당기업에 해당되어 배당소득에 대한 과세혜택을 누릴 수 있기를 원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업의 배당정책에 결정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주주는 최대주주이므로 결국 최대주주그룹에 속한 개인주주가 자신의 조세혜택을 위해 고배당기업 해당여부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소액주주들은 이러한 대주주 그룹에 속한 개인주주들의 의사결정에 의해 반사적 이익을 얻었을 것이라고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가증권상장기업과 코스닥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최대주주그룹에 속한 개인의 지분율 및 소액주주 지분율 대비 최대주주 개인지분율의 상대적 크기가 고배당기업 해당여부에 어떻게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배당소득증가세제 시행 첫해의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제도적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주주그룹에 속한 개인지분율은 고배당기업 해당여부에 유의적으로 양(+)의 영향을 미쳐 최대주주 개인이 자신의 조세혜택 크기에 따라 고배당기업 요건을 갖추는데 영향력을 행사하였음을 보여준다. 둘째, 소액주주 지분율은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소액주주 지분율 대비 최대주주 개인지분율의 상대적 크기는 고배당기업 해당여부에 대해 유의적으로 양의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고배당기업의 소액주주가 받은 조세혜택은 최대주주 개인이 자신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반사적 이익일 가능성을 의미한다. 셋째, 첫해 시행된 배당소득증대세제는 고배당기업의 소액주주 가처분소득 약 693,940백만원을 증가시켰고 이에 반해 정부세수약 77,663백만원(소액주주 가처분소득 증가액의 약 11.19%)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소액주주의 가처분소득 증가액은 최대주주그룹에 속한 개인주주의 가처분소득 증가액의 약 9.1배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추정은 (매우 단순화된 가정을 통한 추론의 결과이지만 소액주주들의 가처분소득 증가액이 소비지출로 연결된 개연성이 높다고 보면) 기업 활동에서 얻어진 소득이 배당을 통해 가계에 배분되고가계는 배분된 소득을 소비하도록 하려는 당초 입법취지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The Olfactory System: Basic Anatomy and Physiology for General Otorhinolaryngologists

        한선아,이재서,김진국,조도연,Zara M. Patel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23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Vol.16 No.4

        Olfaction is one of the five basic human senses, and it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primitive senses. The sense of olfac-tion may have been critical for human survival in prehistoric society, and although many believe its importance has dimin-ished over time, it continues to have an impact on human interaction, bonding, and propagation of the species. Even if weare unaware of it, the sense of smell greatly affects our lives and is closely related to overall quality of life and health. None-theless, olfaction has been neglected from a scientific perspective compared to other senses. However, olfaction has recent-ly received substantial attention since the loss of smell and taste has been noted as a key symptom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nfection. Studies investigating olfaction loss in association with coronavirusdisease 2019 (COVID-19) have revealed that olfactory dysfunction can be both conductive and sensorineural, possiblycausing structural changes in the brain. Olfactory training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olfactory dysfunction, suggesting thereorganization of neural associations. A reduced ability to smell may also alert suspicion for neurodegenerative or psychiat-ric disorders. Here, we summarize the basic knowledge that we, as otorhinolaryngologists, should have about the sense ofsmell and the peripheral and central olfactory pathways for managing and helping patients with olfactory dysfunction.

      • KCI등재

        Application of Service-Learning to the Program for Trai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한선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4 No.S

        In this study, I explore a plan to apply service-learning in the program for trai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re are increasing attempt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community service and incorporate service activities into college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s a learning method discovered through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f service-learning and cultivating practical knowledge that constitutes the cor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I have contrived phased procedures that pursue both service activities and learning and can equally benefit student, faculty, and local community. By conducting both the learning of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and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I explore the appropriateness of service-learning in promot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수형자 대상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동향

        한선아,민선홍 아시아교정포럼 2019 교정담론 Vol.13 No.2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for inmates in Korean prison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further development and studies for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designed for inmat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We have analyzed research themes, participants, program themes, tools, research variables applied to 40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within the period of 2000 to 2018 Ma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creased steadily since 2006, and ten researches were done from 2015 to 2016.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both adults(90%) and underaged inmates(10%). Third, research methods included horticultural therapy (25%), painting therapy (20%), music therapy (17.5%), literature therapy (7.5%), counseling (7.5%), cinema therapy (5%), recreational therapy (5%), art therapy(dancing, awareness) (5%), calligraphy therapy (2.5%), therapy dogs (2.5%) and photography therapy (2.5%). Fourth, the measurement tools for each program theme used 59 measurement tools for 11 themes. Fifth, For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research variables,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se orders: self-esteem(35%), resocialization(17.5%), mental health (12.5%), interpersonal relationships (7.5%), aggression and impulsivity(5%) and etc.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도소에 수감 중인 수형자를 대상으로 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수형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방향에 대한 설정과 발전적인 연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8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게재 논문과 학위 논문 40편을 중심으로 시기별 연구동향, 연구대상, 프로그램 주제, 측정도구, 연구변인 등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 연도별 논문 수는 2006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부터 2016년에 10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의 경우 성인(90%) 및 청소년(10%) 수형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인성교육 프로그램 주제별 동향으로는 원예치료(25%), 미술치료(20%), 음악치료(17.5%), 문학치료(7.5%), 심리상담(7.5%), 영화치료(5%), 치료레크리에이션(5%), 예술치료(무용, 알아차림)(5%), 서예치료(2.5%), 애견치료(2.5%), 사진치료(2.5%) 순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프로그램 주제별 측정도구는 11개의 주제에 대해 59개의 측정도구가 사용되었다. 다섯째, 인성교육 프로그램 연구변인으로는 자아존중감(35%), 사회복귀(17.5%), 정신건강(12.5%), 대인관계(7.5%), 공격성 및 충동성(5%)등의 순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이야기

        한선아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practi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the COVID-19 pandemic. To this e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flective journals and personal and group interview data of 1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completed 4 weeks of training from May 18 to June 13, 2020. As a resul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ressed the experiences of educational practice as ‘confusion, fear, and anxiety’, ‘limited encounters with infants, limited experiences’, and ‘even so,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teaching profess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this educational practice, it is suggested that a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iculum needed to further strengthen the practical knowledge. In addition, with this opportunity, we propose a change and reorganization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iculum to cultivate competent early childhood teachers suitable for the future society and the educational field preparing for the post-corona era, out of the existing rigid curriculum system. 본 연구는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의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5월 18일부터 6월 13일까지 4주 간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12명의 반성적 저널과 개인 및 집단 면담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은 ‘혼란과 두려움, 그리고 염려’, ‘유아와의 제한된 만남, 제한된 경험’, ‘그럼에도, 유아교사직에 대한 확장된 이해’로 나타났다. 코로나 19로 인해 예외적으로 수행된 이번 교육실습 경험 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현장능력과 실천적 지식을 보다 강화하는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계기로 기존의 경직된 교육과정 체계에서 벗어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교육현장과 미래사회에 적합한 역량 있는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의 변화와 재구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그림책 중심 비교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변화

        한선아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is study looked at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icture books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xtracurricular centered on picture books. To this end, a extracurricular centered on picture books was conducted for 13 weeks, an qualitative analysis of reflective journals and how their perception of picture books has changed throug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perception changed from ‘content-oriented text to picture books as art books’, ‘not through picture books, but picture books themselves’, as picture books as ‘shared play area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come more aware of the rich value of picture books, sought ways to apply them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became competent as a early childhood teacher, breaking away from the recognition of picture books as a means for subject learning. Based on this, it is proposed to develop and apply more diverse extracurricular to the child’s literature education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ourses. 본 연구는 그림책 중심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변화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13주간 그림책을 중심으로 한 비교과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예비유아교사가 작성한 반성적 저널 분석과 면담을 통해 그림책에 대한 그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 중심 텍스트에서 예술로서의 그림책’으로, ‘그림책을 통한이 아닌 그림책 그 자체’, ‘공유하는 놀이 공간으로서의 그림책’으로 인식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는 그동안 그림책을 교과 영역의 학습을 위한 수단적 의미로 인식했던 것에서 벗어나 그림책이 지닌 보다 풍부한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교사로서의 유능감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문학교육과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 더욱 다양한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종합소득세 사전성실신고 지원안내문이 세무대리인의 세무신고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선아,심태섭 한국세무학회 2017 세무학 연구 Vol.34 No.4

        Recently, the National Tax Service(NTS) has provided pre-notice to individual taxpayers during tax reporting period in order to induce them to report their income more sincere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pre-notice recently provided by the NTS. We conduct a field experiment for tax professionals who usually prepares tax returns for individual taxpayers. We firstly find that the provision of the pre-notice (Providing vs. Not-provi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ax reporting decision. Second, changing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pre-notice for individual taxpayer(Providing exiting notice vs. Providing new notice containing the average income rate of the industry in the last three years) does not affect tax professionals’ tax reporting decision. Finally, the effect of the pre-notice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cision of the tax professionals’ tax reporting decision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of the taxpayer(high income vs. low income). The effect of the pre-notice in the high income group is remark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ax authority should carefully select the items that can induce tax professionals’ sincere declaration through careful analysis on taxpayers’ reported data. 최근 국세청은 성실신고를 유도하기 위하여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개인사업자에게 종합소득세 사전성실신고 지원안내문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2016년도부터는 법인사업자에게 ‘법인세신고 도움서비스’를 통하여 종전에는 공개하지 않았던 업종평균신고소득률을 안내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안내문이 납세자에 대한 심리적 압박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있어, 국세청은 2017년도부터는 안내문 제공을 중단하였다. 하지만 국세청은 여전히 유사한 내용을 국세청의 홈택스시스템을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합소득세 사전안내문에 대한 논란이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세청이 제공한 사전안내문이 세무대리인의 세무신고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사전안내문의 효과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해 개인사업자를 대리하는 세무대리인을 대상으로 현장실험(field experiment)을 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국세청의 사전안내문 제공여부(제공하지 않는 경우 vs. 제공하는 경우)가 세무대리인의 세무신고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사전안내문을 제공받은 경우에 신고소득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사전안내문의 정보수준 및 형식을 변경한 것(기존의 제공하고 있던 안내문 vs. 과거 3년간 업종평균소득률을 포함하는 안내문)이 세무대리인의 세무신고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 결과, 이러한 변경은 세무대리인의 의사결정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이하게 고소득자 그룹의 경우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신고소득률이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업종평균소득률을 소득신고의 기준점으로 해석하고 이를 세무신고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실제소득에 기초하여 신고하기 보다는 과세당국에서 공개한 정보에 맞추어 신고하기에, 진정한 의미의 성실신고를 유도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사전안내문의 효과가 납세자의 소득수준 별(고소득자 vs. 저소득자)로 세무대리인의 세무신고의사결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소득자 그룹에서 사전안내문 제공에 따른 세무대리인의 의사결정에 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과세당국은 보유하고 있는 정보 중 세무대리인뿐만 아니라 납세자의 진정한 성실신고를 유도할 수 있는 정보를 납세자의 특성에 맞게 보다 면밀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예비 유아교사들의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이해

        한선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들의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이해에 관한 것이다. 효과적인 예비유아교사교육과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인 한국 전래동화 교육을 위해 예비 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한국 전래동화에 관한 이해를 알아보았다. 예비 유아교사들이 보인 한국 전래동화에 관한 이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훈적 가치, 둘째, 시대적 가치관의 문제, 셋째, 전통사회에 대한 새로운 인식, 넷째, 즐거운 기분등이다. 이는 대학교육의 현장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을 위한 문학교육 관련 수업을 계획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서비스-러닝의 의미와 유아교사 교육자에게 주는 시사점

        한선아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Service-learning is a method of teaching based on the philosophy of experience learning to learn through service. In this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learners in the cours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applying service-learning, presented what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suggest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or. To this end, the service-learning was applied to the children's literature clas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alyzed the meaning of service-learning they experienced through reflection journals and activity evaluations, and the implications given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o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positive effects such as knowledge of major, practical application ability, improved self-esteem and contribution through service-learning. Based on this, it is propose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service-learning curriculums, ranging from subjects of major to courses of liberal arts and comparative and educational courses,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서비스-러닝은 봉사를 통해 학습한다는 경험학습 철학에 근거한 교수학습방법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러닝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인 예비유아교사가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가 유아교사 교육자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아동문학 수업에 서비스-러닝을 적용하고, 성찰일지 및 활동평가지 등을 통해 이들이 경험한 서비스-러닝의 의미와 유아교사 교육자에게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러닝을 통해 전공 지식과 실천적 적용 능력, 자존감 및 기여감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근거로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에 전공 교과목은 물론, 교양 교과목 및 비교과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러닝 교육과정을 개발・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