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피니언마이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 장소 추천 시스템

        최은정,김동근,Choi, Eun-jeong,Kim, Dong-ke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11

        최근 빅데이터 분야의 높아진 관심과 더불어 빅데이터의 처리를 통한 응용 분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개인의 감성을 파악할 수 있는 오피니언마이닝은 사용자 개인 맞춤 서비스 제공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빅데이터 처리 기법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의 장소에 대한 텍스트 형태의 리뷰를 오피니언마이닝 기법으로 처리하고 k-means 클러스터링 작업을 통해 사용자의 감성을 분석하였다. 클러스터링 작업으로 분류된 비슷한 범주의 감성을 가진 사용자들끼리 동일한 수치 값을 부여한다. 부여된 수치 값으로 협업 필터링 추천 시스템을 이용해 선호도를 예측하고 예측 값이 높은 장소 순으로 지도위에 마커와 함께 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추천내용을 보여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Lately, In addition to the increased interest in the big data field, there is also a growing interest in application fields through the processing of big data. Opinion Mining is a big data processing technique that is widely used in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to users. Based on this, in this paper, textual review of users' places is processed by Opinion mining technique and the sentiment of users was analyzed through k-means clustering. The same numerical value is given to users who have a similar category of sentiment classified as a clustering operation. We propose a method to show recommendation contents to users by predicting preference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system with assigned numerical values and marking contents with markers on the map in order of places with high predicted value.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당(唐), 천금방(千金方)에 기재(記載)된 중풍(中風)에 관한 고찰(考察)

        최은정,정승현,신길조,이원철,Choi, Eun-Jeong,Jeong, Sung-Hyun,Shin, Gil-Cho,Lee, Won-Chul 대한한의학회 1996 대한한의학회지 Vol.17 No.2

        The study of Jungpung(中風)'s section in Chungumyobang (千金要方, 諸風門) by Sonsamak(孫思邈)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cause of Jungpung(中風) in Jungpung(中風)'s section in Chungumyobang (千金要方, 諸風門) was quotated from the theory of Naekyung(內經) -Pung(風) evil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nvade on Hu(虛) of human body(外來風邪, 內虛邪中). 2. At Jungpung(中風)'s section in Chungumyobang (千金要方, 諸風門), he devided into the four classes of Jungpung(中風)'s symptom-Pyungo, Pungbi, Pungyi, Pungbi(偏枯, 風?, 風懿, 風痺)-, and this classifica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next generations. 3. At Jungpung(中風)'s section in Chungumyobang (千金要方, 諸風門), he understanded that changes of Jungpung(中風)'s pathology depended on the Eum-Yang-Han-Yul-Hu-Shil(陰陽寒熱虛實) of the patients. 4. At Jungpung(中風)'s section in Chungumyobang (千金要方, 諸風門), he gathered and rearranged various prescription which accumulated the clinical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from Naekyung(內經), Sanghan(傷寒) times, to Tang(唐)'s dynasty. There were major Jungpung(中風)'s prescription -Sosokmyungtang(小續命湯), Daesokmyungtang(大續命湯), Jukryuktang(竹瀝湯), Jihwangjun(地黃煎), Dokhwalgisaengtang(獨活寄生湯) etc. And the principle of treatment was the remedy method of removing evil through sweating(發汗祛邪法). 5. Chungumyobang(千金要方) showed the development of quality, quantity in their prescription comparing the fomer ages. And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Jungpung(中風)'s symptom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next generation in clinical aspect. But the basic theory in Chungumyobang(千金要方) coudn't get out of the limits of Naekyung(內經), Gumgueyoryak(金?要略).

      • KCI등재
      • KCI등재

        <문화,문학> : 철응(鐵凝)의 『매괴문(매괴門)』다시 읽기 _인물의 “되기”를 중심으로-

        최은정 ( Eun Jeong Choi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3 비교문화연구 Vol.31 No.-

        This thesis analyzes various becomings of female characters in rose Grate written by Tie Ning. By this analyzation, we can pick out what identity the female characters eager to have decomposed, what identity they hope to create, and what do these procedures mean. Si Qiwen`s ``becoming male`` presents strong desire to shift from periphery to center. However, it is meaningless when her tragic life can not be justified by those same female people. Zuxi`s ``becoming wanderer`` shows that Tie Ning refuses usual reality of woman`s life which vest in man. Sumei`s ``becoming mother`` is the exact point where torn female ego gets to consolidate, and it means Tie Ning takes ``mother-becoming`` as ultimate truth of woman`s life. Besides, Tie Ning finds women`s becoming something new as escaping from the other and she denies equation of man with savior.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와 관련된 스마트폰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2011~2020년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최은정(Choi, Eu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유아와 관련된 스마트폰의 국내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8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시기별로 살펴보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유아와 관련된 스마트폰 연구의 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학술지 유형별로 보면 유아교육⋅보육 분야 외에도 교육, 치료, 디지털⋅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의 학술지에서 유아 스마트폰 관련 연구가 게재되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에서는 물적 대상, 실천 대상 연구보다 인적대상 연구가 월등히 많이 수행되었다. 인적대상에서도 유아와 부모를 함께 대상으로 한 연구가 유아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단일연령 유아에 비해 혼합연령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월등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목적에서는 부모변인의 영향력 검증을 목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스마트폰활용 환경(교육)의 영향력 검증을 목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내용에서는 인적/물적 환경을 내용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교육프로그램 개발 또는 효과검증을 내용으로 한 연구가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연구유형에 있어서는 양적연구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질적 연구는 단 한편도 수행되지 않았다. 또한 횡단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종단연구의 수행은 단 1편에 그쳤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와 관련된 스마트폰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 대상 및 목적, 연구 내용 및 유형에서의 편중성을 밝힘으로써 추후 연구에서의 균형성을 도모하고, 발전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smartphone research in Korea related to young childre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m. Method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rom 82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s in Korea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20.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period of study, the number of smartphone studies related to young children tends to increase from 2011 to 2020, and according to the type of journal, in addi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tudies on children s smartphones are being published in various fields of journals such as education, treatment, digital and media. Second, in the subjects of study, studies on human subjects were far more performed than studies on physical objects and practice objects. Also, in the human subject, the studies of children and parents together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than the studies of children only, and the studies of mixed-age children had much higher proportion than those of single-age children. Third, in the purpose of study, studies aimed at verifying the influence of parent-variables took the highest proportion, and studies aimed at verifying the influence of smartphone-using environment (education) took the lowest proportion. Fourth, in the contents of study, studies with the contents of human/material environment took the highest proportion, and studies with the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r effect verification took the lowest proportion. Fifth, in the study type, quantitative study type was the most, and qualitative study was not performed even once, on the other hand, the cross-sectional studies were the main part, and the performance of longitudinal studies was only one research paper.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to promote balance in future studies and to suggest developmental direction by analyzing trends of smartphone research related to young children and clarifying the inequality in subjects, purposes, contents and types of study.

      • KCI등재

        부모의 양육분담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상호작용의 매개를 중심으로

        최은정 ( Choi Eun-jeong ),곽은순 ( Kwak Eun-so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분담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716명의 유아와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 검증을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분담은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부적 영향력을, 문제행동에는 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분담은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하는 가족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는 정적인 영향력을, 문제행동에는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분담은 가족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문제행동에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분담은 가족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는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나, 문제행동에는 유의한 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부모의 양육분담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상호작용이 매개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높이고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어머니의 적절한 양육분담이 중요하다는 점과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아버지가 지각하는 가족상호작용에 대한 영향력을 밝힌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rents’ role-sharing in family interaction o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problematic behavior. The 7th year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collected in 2014 was used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16 children’s parent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ole-shar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arents’ interaction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but a positive influence on problematic behavior. Second, the family interaction of father and mothe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s social competence but a negative influence on problematic behavior. Third, mother’s role-sharing showed indirect effect o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problematic behavior through mediating parents' family interaction. In addition, father’s role-sharing showed indirect effect on child's social competence through mediating parents’ family interaction but no indirect effect on problematic behavior. With this, it was verified that parents’ family interaction w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effect of parents’ role-sharing on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problematic behavior. In conclusion, father’s family interaction as well as mother’s role-sharing was important to enhance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prevent problematic behavior.

      • KCI등재

        영유아 관련 아동학대에 대한 연구동향 : 2011년~2021년 9월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최은정(Choi, Eun Jeong),김금주(Kim, Keum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와 관련된 아동학대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분석하고 연구시기 및 대상, 연구목적 및 내용, 연구유형 및 방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아동학대 연구에 대한 다각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79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집된 영유아 아동학대 관련 연구물의 연구목적은 유사성과 차이성에 따라 분류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외 연구 시기 및 대상, 연구내용, 연구 유형 및 방법에 대하여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시기별로 살펴보면 영유아 관련 아동학대 연구는 꾸준히 수행되어 오고 있으며, 2015년에서 2016년으로 넘어오면서 증가폭이 커졌다. 둘째, 연구대상별로 보면 인적대상이 가장 많았으며, 인적 대상 중에서도 교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셋째, 연구목적에서는 인적/물적 환경이 학대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넷째, 연구내용에서는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연구유형 및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연구 유형의 상관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모든 연구가 횡단연구로 수행되었다. 또한 자료수집 방법에서는 질문지법이 가장 많았으며, 자료분석 방법에서는 관계분석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그 동안 수행되어진 영유아 관련 아동학대 연구의 대상, 목적, 내용, 유형 및 방법에 있어서 나타난 편중성을 밝힘으로써, 향후 연구의 균형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학대 연구에 있어 영유아에 집중하여 보다 면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영유아관련 아동 학대 연구에 대한 발전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verse meanings of child abuse research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analyzing the overall flow of child abuse research related to infant and children, and analyzing the research time, object, purpose and contents, research types and methods comprehensively. Methods In this study,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January 2011 to September 2021 were analyzed. Specifically, the research purpose of collected studies related to child abuse of infant and children was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similarity and difference, and in addi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the other research period, object, research contents, research type and method.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period of study, research on child abuse related to infants and children has been steadily carried out, and the increase width has gotten large since 2015 to 2016. Second, according to the subjects, the most common subjects were human beings, and among them, the researches conducted on teachers were the most. Third, in the contents of the study, the most common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child abuse. Fourth, in research type and research method, the correlation researches of quantitative research type were performed the most, and all the collected researches were conducted by cross-sectional research.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he most for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relationship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most for data analysis method. Conclusions This study aims to promote balance in future studies by clarifying the weighted factors in the subjects, purpose, contents, types and methods of child abuse studies related to infants and children which have been conducted so far.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hild abuse studies related to infants and children by focusing on infants and children in the study of child abuse and analyzing more in detail.

      • 고용 형태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

        최은정(Choi, Eun Jeong),권기욱(Kwon, Kiwook)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1980년대 이후 비정규직 근로자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해 왔다.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부터 급속히 증가해 현재 근로자 3명 중 1명이 비정규직인 상황이다. 날이 갈수록 늘어나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이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이론적 기반이 뒷받침되지 않은 채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보다 열위에 있다는 가정 하에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이 되고 있는 비정규직 문제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회교환이론을 기반으로 고용 형태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때, 조직공정성이론을 기반으로 상호작용 공정성 지각이 고용 형태와 이직 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교환이론 측면에서 개인의 안정성 추구 성향이 고용 형태와 이직 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지에 대해서도 검정 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해 32개 건설업체의 사무직 근로자 504명이 응답한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이직 의도는 정규직 근로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용 형태와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안정성 추구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공정성에 의해서는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호작용 공정성이 높아질수록 정규직 근로자 보다 비정규직 근로자 의 이직 의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교환이론을 통해 고용 형태가 결과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함으로써 그 동안 고용 형태에 관한 연구가 가지고 있었던 이론적 취약점을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용 형태와 결과 변수의 관계에서 조절 변수인 상호작용 공정성이 미치는 영향까지도 알아봄으로써 종합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조직 내 성과 향상을 위한 관리 방안이 무엇인 지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다양해지는 비정규직의 형태를 반영하여 고용 형태를 단순히 정규직, 비정규직이 아닌 세분화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또한, 사회교환이론 외에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고용 형태에 대해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불어 그동안 고용 형태에 관한 연구가 개인 수준에 주로 초점을 두어 왔음에 따라 앞으로는 기업 성과와 관련한 조직 수준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겠다. In Korea, the number of contingent workers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crisis” in 1997. Currently, one out of three workers is a contingent worker in Korea. As there were growing concerns about the increasing number of contingent workers considerable research on contingent workers has been conducted.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fined to an assumption that contingent workers are positioned lower than regular workers without theoretical backgroun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ype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getting secure and interactional justice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and turnover intention. Questionnaire survey data of 504 workers from 32 construction firms are used for the test of hypothesi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urnover intention of contingent workers is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workers. And while moderated effect of getting secur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ype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interactional justice. The moderated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on contingent workers is higher than on regular workers. Results from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employment type and turnover intention by providing explanation about the effect of employment type on the outcome variable through social exchange theory. In the future, theoretical perspectives other than social exchange theory could be incorporated to fertilize the results. Further studi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at is related to the corporate performance would be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individual level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