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학교가 중학생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경향점수매칭과 분위회귀분석 활용

        최예슬,이소라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novation(Hyukshin) school”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sing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data, we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to control for potential selection bias and heterogeneity among students from two different school groups, Innovation school and general middle school. We then performed doubly robust estimation that combines the regression model with weighting by propensity score. Furthermore, we utilized quantile regression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Innovation school differ across the distribution of academic achievement. Relative to the general school, we did not find the significant effect of the Innovation school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ur findings, however, indicate that Innovation school improve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especially among students who performed to the bottom 25% of the academic distribu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i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혁신학교가 중학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기법을 활용하여 혁신학교에 진학한 학생들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일반학교 학생들을 비교 집단으로 삼아 선택편의(selection bias)를 보정하였다. 이후 경향점수를 도출하는데 활용한 변수들을 회귀분석의 통제변수로 재투입하는 이중강건추정(doubly robust estimation)으로 엄밀한 인과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별 집단에 따라 혁신학교가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교는 일반학교에 비해 국어교과 하위 25%에 속하는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업성취 향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첫째, 국어과 수업에서 혁신학교의 학습자중심 수업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혁신학교 효과를 엄밀하게 추정하기 위해 준실험설계를 활용해야 한다. 셋째, 혁신학교 정책의 효과적 시행을 위하여 정책 효과가 미치는 대상과 영역의 특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중학생 직업포부의 변화추이, 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최예슬,오헌석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직업포부 변화를 종단적으로 탐색하고 성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문화자본, 학업성취가 그러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였고, 잠재집단모형과 잠재집단성장모형을 통해 직업포부 변 화추이와 잠재집단 유형 및 영향요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수준 하락 집단, 안정화 집단, 저수준 증가집단이라는 3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세 집단은 중학교 3학년 시점에서 전체의 평균치에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고수준 하락집단에, 여학생은 안정화 및 저수준 증가집단에 속하고, 문화자본을 소유할수록 안정화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occupational aspiration change in middle school student and analyzes the effect of gender, socioeconomic status, cultural capital and academic performance. Data from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_(KELS) from 2005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_(LGM) and Latent Class Growth Model_(LCG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e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atterns: -'decreasing high-level group_(26.2%)'-, -'stable group_(63.5%)'-, and -'increasing low-level group_(10.1%). The three latent classes were converged to the average score over tim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groups according to their gender: male students in the decreasing high-level group and, female students in the stable and increasing low-level group. Results show that students who have cultural capital had a stronger tendency of belonging to the stable group.

      • KCI등재

        학업탄력성(academic resilience)의 개념적 이해 및 교육 연구에의 시사점

        최예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academic resilience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by reviewing its concept and current issu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theory which is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academic resilience, and the definition of academic resilience, features, and research models of analysis. Second, two major criticisms of the resilience framework—positive reframing and embedded neoliberalism—were critically reviewed in connection with academic resilience. Third, this study addresses controversies and current issues in academic resilience research in three aspects: 1) measurement problems, 2) influence of sociocultural context, and 3) a negative aspect of academic resilienc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최근 교육 현상을 연구하는 관점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학업탄력성 개념과 관련 논의들을 통합적으로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이해를 확장하고 교육 연구를 위한 향후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학업탄력성 개념의 기원인 탄력성 연구의 발전을 개관하고, 학업탄력성의 개념적 정의와 특성 및연구 모형을 소개하였다. 둘째, 탄력성 이론에 대한 핵심적 비판인 낙관주의와 개인 중심의 신자유주의적 접근에대한 논의를 학업탄력성과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셋째,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업탄력성 연구에서제기되어온 쟁점과 새로운 과제를 1) 학업탄력성의 측정, 2) 사회문화적 요인, 3) 탄력성의 부정적 이면이라는 세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학업탄력성 이론이 우리나라 교육 연구에 주는 주요시사점과 향후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어과 융복합교육의 재개념화 - Bruno Latour의 하이브리드 사상을 중심으로 -

        최예슬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and to find a way to practice convergence education while maintaining that identity.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considered Bruno Latour’s hybrid thought the philosophical basis of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and prior research on this was reviewed. Afterwards, we explored what kind of purpose the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aim for, and what direction the educational methodology should have to realize that sense of purpose. Results: The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toward fostering post- humanism sensibility as a new humanities education. In addition, it should design classes that make it possible to have a relational insight into humans and the world through thinking skills of ‘détour’ and ‘composition’. Conclusion: The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in this article has significance as an education that is necessary for all ordinary human beings who will live in the future world, and an education that creates a beautiful future culture that presupposes the equal coexistence of non-humans and humans. 목적: 본 연구는 국어과 융복합교육을 피상적 차원이 아닌 본질적 차원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로써 국어과 융복합교육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그 정체성을 지키면서 교육을 실천해나갈 방법을 모색한다. 방법: 이를 위해 Bruno Latour의 하이브리드 사상을 국어과 융복합교육의 철학적 기반으로 삼고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후 Latour의 세계관을 빌려 국어과 융복합교육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목적의식이 무엇인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 방법론은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지 탐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국어과 융복합교육은 신(新) 인문학 교육으로서 포스트휴머니즘 감수성의 함양을 지향하고, ‘우회’와 ‘구성’의 사고를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관계주의적 통찰력을 갖도록 만들어주는 수업으로 실천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재개념화한 국어과 융복합교육은 미래 세계를 살아갈 보통의 인간 모두에게 필요한 교육, 비인간과 인간의 동등한 공존이 전제된 아름다운 미래 문화를 만들어가는 교육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교육정책 연구에서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연구 동향과 시사점: 미국 EEPA를 중심으로

        최예슬,박소정 한국교육행정학회 2024 敎育行政學硏究 Vol.42 No.1

        With the recent emphasis on evidence-based policy, rigorous research designs to identify the causal effects of educational policies has been highlighted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The United States has long provided guidelines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he "gold standard" for evidence-based education policies, and has institutionally promoted their application. However, despite growing interest in causal inference for evidence-based policy in the field, discussions on RCT design, the central method for rigorous causal effect estimation, are still in its infancy. This study analyzed 56 RCT articles from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EEPA), an American journal specializing in educational policy analysis, from 2002 to October 2023, aiming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adoption of RCTs in the Korean context, and analyzed the tre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rge-scale RCTs that go beyond the individual level to schools and distric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over the past two decades, supported by the federal government and foundations. Second, RCTs of long-term school-level intervention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on a variety of educational policy and program topics. Third, data obtained through RCT designs are analyz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the fiel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ugges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expansion of RCT research designs in Korean education policy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