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제중심의 초등영어 수준별 통합수업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최미정(Choi, Mi Jung),정영숙(Jung, Yung Suk)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09 초등영어교육 Vol.15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evel- and theme-based integrative English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fifth-grade homogeneous classes were selected: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 two groups revealed similar results in the pre-tests: Cambridge YLE(Young Learners English) tests and the questionnaires on students’ interests and confidence.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the level- and theme-based English instruction by the teacher taking full charge of teaching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the traditional English instruction sugges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ive teaching was affectively and cognitively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method. Specif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scores and the post-test scores of listening, speaking, interests and confid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scores and the post-test scores of reading and writ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ut it showed some improvement. Second, the low-level English proficiency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four skills of English, and the instruction was especially effective in speaking in all the high, mid, and low-level groups. Third, the high-level students' interests in English improved significantly. And finally, the integrative teaching helped the students achieve academic goals in other subjects such as science and social studies.

      • 공공기관 사업 규모와 부채의 상호적 관계: 도시개발공사를 중심으로

        최미정(Mi-Jung Choi),정일환(Il Hwan Chung) 한국재무행정학회 2021 재무행정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공공기관의 사업 규모와 부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공공기관의 부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토지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사업 규모 비교가 가능한 16개 도시개발 공사의 2015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로 도시개발공사의 사업규모는 총부채 및 금융부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총사업면적이 증가할수록 총부채와 금융부채가 증가하여, 총사업면적이 도시개발공사 부채 증가의 실질적인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채가 사업 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금융부채는 사업 규모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금융부채는 총주택세대수를 감소시켰다. 이를 통해 도시개발공사의 부채는 사업 규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금융부채 증가가 사업을 유지하거나 축소시키는 영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지방공기업,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경제 요인이 사업 규모와 부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도시개발공사의 자산 규모가 클수록 사업규모와 부채 모두 증가했다.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채 잔액이 클수록 도시개발공사의 금융부채가 증가했다. 지역사회경제요인 중 지역의 주택매매가격변동률이 증가할수록 총부채가 증가했다. 지역의 인구는 부채와 사업 규모 모두에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는데, 인구가 증가할수록 총부채와 금융부채가 감소했고, 총주택세대수와 총사업수 또한 감소했다. 이를 통해 도시개발공사의 부채는 자산 규모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사회경제요인과 상호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개발공사의 공공성과 수익성의 균형을 고려한 부채관리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scale and debt in public institutions. We analysed the dataset derived from 16 local public land and housing corporations(LPLHC) from 2015 to 2020. We found three things. First, business scale had a positive effect on debt. Specifically, total business area increased total debt and financial debt. Second, debt associated with business scale negatively. Financial debt decreased the number of housing. Third, business scale and debt was effected by corporation asset, municipal debt balance of local government, and local socioeconomic factors(ex, house price and population). This results confirmed that business scale is a substantial factor influencing debt of LPLHC and the regulation of debt rate of LPLHC has a side effect to reduce public service(ex, national rental hou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scale and debt for debt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s.

      • KCI등재

        공공기관의 안전체질 진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최미정(Choi, Mi-Jung),권기혁(Kwon, Ki-Hyeok),김연성(Kim, Youn Sung)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21 서비스경영학회지 Vol.22 No.5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that assesses the safety climate of public organizations. At first, we developed a safety climate scale for public organizations. Next,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 First, we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s for a safety climate scal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was greater than .90, and validity was adequate. Second,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management system,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As a result,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ndirectly influenced safety behavior through safety culture for the internal employees. On the contrary,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directly effected safety behavio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safety culture were also significant for the partner companies.

      • KCI등재

        충신연주지사에서의 주체와 타자

        최미정(Mijeong Choi) 국문학회 2008 국문학연구 Vol.18 No.-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Loyalists Love-songs for the King(忠臣戀主之詞) from the viewpoint of ‘the subject and the others’. These Love-songs have been written in traditions with the female speaker of the male servant, specially in this paper all of them exiled. The writers and their works interpreted in this paper are Cho wi s(梅溪 曺偉, 1454~1503) Manboonga<萬憤歌>, Jeong Ceol s(松江 鄭澈, 1536~1593) Samiingok(思美人曲), and Sok-miingok(續美人曲). Also, Chinese works Quyuan(屈原) s Lisao<離騷> and others are interpreted as the originators of these works. In real life, all the writers were <a male; a governing classes; a Junzi(君子)>, on the other hand in their Loyalists Love-songs, they disguised as <a female; a governed classes : a xiaoren(小人)> by the persona. The points of this paper are as below : The first point is to show the tradition of the Loyalists Love-songs in Chosun. The speaker of Quyuan(屈原) s Lisao<離騷> is male, which had been changed into female by Cho wi. This alternation had been mad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classical scholar s role as a servant. The latter had been succeeded by Jeong Ceol, who perfected the Loyalists Love-songs with a splendid performance. The second point is to pursue the question how deep and fully this unfamiliar, downfallen and literary situation could make the writers understand the others and could make them change their subject in their real life. In Sok-miingok(續美人曲), Jeong Ceol raised the problem of alienation that he must have experienced during his exile period. Although it was not enough for him hiding behind female persona to have the most precious right to give up his subject with his own will, his question in argument must be meaningful. However, he must have shown limits. He was born to be a Junzi(君子) and he was in belief that he could go back to his pre-glorious days sooner or later. That s why he couldn t abandon his subject in order to give a warm reception to the others unconditionally.

      • KCI등재

        신지혜 시에 나타난 『금강경』의 생태사상

        최미정(Choi, Mi-Jeong)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2

        본 논문은 현재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재미시인 신지혜의 시작품에 나타나는 『금강경』 사상에 주목하였다. 『금강경』 사상은 삼천대천세계라 일컫는 무한한 공간개념을 전하면서 삼라만상이 모두 생명이라고 하는 생명의 무한성을 설파하고 있다. 이는 인간의 무지와 교만을 깨뜨려 지금까지 당연시 해왔던 인간중심의 사상을 과감히 타파하고 모든 존재를 존재 그 자체로 인정하게 한다. 생태문제가 자연에 대한 근원적인 인식의 전환이 없이는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모든 고정관념과 상(相)에 대한 집착을 깨뜨리는 『금강경』 사상은 생태학적 사유의 길을 열어준다고 할 수 있다. 신지혜는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경계를 넘나드는 광대하고 자유로운 시세계를 펼쳐 보여주고 있다. 시간과 공간,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까지도 무화시키고 교통하는 상상력의 근저에는 불교의 핵심 경전인 『금강경』 사상이 있다. 경전에서는 무한공간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생명의 무한함과 평등성, 그리고 관계성을 이야기한다. 이는 『금강경』이 보여주는 생태학적 비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사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시인은 『금강경』사상에 대한 깨달음으로 무한한 공간과 생명에 대해 깨닫게 된다. 모든 생명은 고정적인 실체가 없고 생명현상은 그 자체로 절대성과 자율성을 지닌 것이라고 하는 『금강경』 사상은 그의 시 곳곳에서 드러난다. 물질문명의 첨단, 인종의 전시장이라고도 불리는 뉴욕에 거주하면서 시인은 『금강경』 사상의 체득을 통해 타자로서의 정체성을 초월하고자 한다. 이 타자성의 극복은 자기 자신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 시인은 기존의 모든 고정관념을 넘어서고자 한다. 국적이나 인종, 그리고 인간이라는 분별마저도 넘어서 모든 존재가 생명 안에서 평등하다고 본다. 이러한 시인의 시적 사유에 분별심이나 차별이 있을 수 없다. 모든 존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열려 있으므로 각각의 존재는 서로가 서로를 위해 생명을 나누어 가진다. 시인이 깨달은 것은 한마디로 ‘수평과 겸허’의 정신이다. 현재 인류가 직면한 생태문제의 해결을 위한 유일한 처방은 없어 보인다. 생태문제의 근원을 바라보는 시각도 다양한 만큼 그것의 해결을 위한 방법의 모색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체의 구별과 차별을 부정하는 『금강경』 사상은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게 해주는 하나의 사상으로서 가치가 있다. 따라서 『금강경』에서 설파하는 핵심사상을 작품에 녹여내어 독자로 하여금 그의 사유의 과정에 참여하게 하는 신지혜 시는 생태 문학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고 본다. This article is focussed on the ideology of Diamond Sutra in the poems of Shin Ji-Hye who is working as a poet in New York now. The ideology of Diamond Sutra explains about ‘Samcheondecheonsegye’ of infinite place, which means the universe is all life. This confronts human ignorance and arrogance to break the ego-centric ideologies and to make us to recognize all nature as it is. In this sense, we could know that the ideology of Diamond Sutra opens the way to think ecologically because it breaks the fixed idea and obsession with lineament, showing that the ecological problems will not be solved without a mindset shift about nature. Shin Ji-Hye demonstrates her vast and free world of poems where we could cross all the frontiers as we can imagine. In the bottom of the communication in her imagination where there is no boundary between time and place, or between living things and lifeless matter, the ideology of ‘Diamond Sutra ’ exists. In the scripture, it is talking about infinite space, infinite life, equality, and relationship.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ore idea that enables the ecological vision of Diamond Sutra . The poet realizes infinite space and life by realizing the idea of Diamond Sutra . A mysterious idea that all life has no fixed reality and that the phenomenon of life itself has absoluteness and autonomy is revealed in her poetry. In her poems, we can confirm the ideology of Diamond Sutra that says all lives don’t have fixed substance and a life itself has absoluteness and autonomy. The poet, living in New York where we consider material civilization’s edge or the gallery of the human race, tries to transcend her identity as stranger. This conquest of otherness doesn’t set limits to herself but tries to go beyond all stereotypes. She thinks that all beings are equal in life beyond nationality, race or human being. In her poetic thought there can’t exist discernment nor discrimination. All beings are connected and open, so that they share their lives. What the poet realizes, is a spirit of ‘horizontality and modesty’. It doesn’t seem to exist the only solution for our ecological problem that we are facing. As there are various perspectives to see the cause of the ecological problem, they try to seek the way to solve it in a diverse aspects. It seems that the ideology of Diamond Sutra which denies all distinction and discrimination, provides the possibility of the ecological interpretation. The Diamond Sutra , which denies all distinction and discrimination, is valuable as an idea that can overcome anthropocentrism. Therefore, the Shin Ji-hye’s poems , which allows the reader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her thinking by dissolving the core ideas of in her works, contains ecological literary values.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의 나이, 나이 듦의 의미와 주체 회복

        최미정(Choi, Mi-Je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6 No.-

        본 연구는 문정희 시에 나타나는 여성의 나이와 나이 듦의 문제에 관한 시적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시인이 인식하는 우리 사회의 젠더-나이체제의 문제점과 그것의 극복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작 초기부터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억압구조를 문제 삼고 주체적이고 건강한 여성성의 회복을 이야기해 온 시인은 여성의 나이 듦이 또 다른 차별과 배제의 장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인이 보여주는 여성의 나이는 단순히 노년여성에 대한 서사가 아니라 생애서사에서 여성에게 나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얼마나 폭력적인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을 함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동안 우리 사회가 여성의 나이, 나이 듦을 바라보는 시각은 왜곡되고 고정 되어 있었다. 한 여성으로서의 주체는 없고 특정한 나이와 그에 맞는 역할과 이미지에 강요되고 갇혀 있었다. 문정희는 이러한 나이체제를 직시하면서, 나이 든 자신의 내면세계를 탐색해 나간다. 시인은 생물학적 · 사회적으로 구성된 나이와 상관없이 여전히 꿈꾸고 욕망하는 자아를 표출한다. 문정희의 시작품은 그동안 장막에 가려져 있던 여성의 나이와 나이 듦의 담론을 가시화하고, 그것이 분절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총체성 가운데서 경험되는 것이라는 점을 이야기한다. 시인은 한편으로는 가부장제 사회가 행사해 온 여성억압의 역사와 건강한 생명력과 존재감을 잃고 병들어가는 현대의 여성들의 모습을 그려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여성성에 대한 오랜 편견과 왜곡의 벽을 부숴버리는 건강하고 당당한 여성상을 제시한다. 풍염한 에너지를 발산하는 여성적 숭고를 간직한 여인과 완고한 가부장제의 틀을 거부하고 주체적이고 당당하게 살고자 하는 여성이 그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etic form of the age and aging of women in Moon Jung-hee`s poetry, and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gender-age regime of our society an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it From the very beginning, the poet who has talked about the restoration of subjective and healthy femininity by questioning the repressive structure of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show that the aging of women is another place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e poet shows that the age of a woman is not merely a narrative of an old woman but a life narrative, and it is noteworthy that it implies a sense of what is age and how violent it is. In the meantime, the view of our society as women`s age and aging was distorted and fixed. There was no subject as a woman, but was forced and confined to a particular age and role and image. Moon Jung-hee looks at this age system and explores her inner world. Poet still expresses her dreaming and desiring self irrespective of the biologically and socially constructed age. The prototype of Moon Jung-hee shows that the discourse of aged women who have been hidden in the curtains has been visualized, and that age and aging are not partly present but experienced in the totality of life. On the one hand, the poet, depicts the contemporary women`s illness, which has lost the history of women`s oppression and the healthy vitality and presence of the patriarchal society. On the other hand, she presents a healthy and imposing feminine image that breaks down the wall of long prejudice and distortion of femininity. It is a woman who rejects the framework of a woman who has a feminine sublime and a pathetic patriarch who exudes enviable energy, and wants to live subjectively and dignifiedly.

      • KCI등재

        유화제 식품적용 원리 및 식품 유화제 시장 동향

        최미정(Mi-Jung Choi),김홍균(Honggyun Kim),이윤정(YunJung Lee),박동현(Dong Hyeon Park),이상윤(SangYoo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8 식품과학과 산업 Vol.51 No.2

        Emulsifiers are widely accepted ingredients in food & beverage applications owing to their functional properties. The multi-functionality of emulsifiers increases its adoption in end-use applications. Also, the growing demand of natural sources of ingredients and increase in demand for convenience foods and premium products have expanded the application areas of food emulsifiers in the food & beverage industries. Emulsifiers are increasingly used by food processors to make their food products more costefficient and robust, enabling them to endure the rigors of harsh processing.

      • KCI등재

        보건교사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 조사

        최미정(Choi, Mijung),진상우(Jin, Sangw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교사들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와 J도에 근무하 고 있는 504명의 보건교사였다. 보건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질문지가 2013년 11월 9일부터 23일까지 배부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카이자승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교사 업무의 우선순위 1위는 건강 문제 관리였으며, 2위가 보건교육이었으며, 이 결과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1). 두 번째, 보건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방법은 강의, 토의 그리고 실습의 순서로 나타났다. 세 번째, 보건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자료는 PPT, 교과서, 인터넷동영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대부분의 보건교사는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에 동의하나 실제 사용하고 있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대부분의 보건교사들은 수업연수를 원하고 있으며 그 내용으로 창의성 교육 또는 새로운 수업을 위한 스토리텔링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needs assessment of in-service education on teaching for school health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4 school health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G-city and J-d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of school health teacher’s teaching from Nov. 9 to 23 2013.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a x2-test.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he first priority of the school health teacher's work is ‘management of health problems’ and the second is ‘health education’. A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school levels (p< 0.01). The teaching methods mainly used on health care instruction were lecturing, discussion and practical training. The teaching materials of health care instruction mainly used were ppt, internet video, and textbooks. Most of health care teachers agreed to creativity education but they used creativity education less in practice. Most school health teachers want to in-service education on teaching and the contents of the course are creativity education or storytelling for new teaching.

      • KCI등재

        비정규직 유아 특별활동 교사의 상대적 박탈감, 직업정체성,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연구

        최미정 ( Choi Mi-jeong ),김용미 ( Kim Yong-m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비정규직 유아 특별활동 교사의 상대적 박탈감, 직업정체성,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수원, 화성, 안산, 용인, 이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특별활동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 201명에게 관련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상대적 박탈감의 하위요소가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적 박탈감, 감정적 박탈감, 행동의도 박탈감 모두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아 특별활동 교사의 상대적 박탈감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정적 박탈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나 인지적 박탈감과 행동의도 박탈감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아 특별활동 교사의 직업정체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업정체성이 향상되면 교사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비정규직 유아 특별활동 교사를 대상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직업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상대적 박탈감이 직업정체성과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코로나-19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비정규직 유아 특별활동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relative deprivation of part-tim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ers on the job identity and teacher-efficacy caused by COVID-19.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201 teachers who are teach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Suwon, Hwaseong, Ansan, Yongin, and Icheon).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sub-factors of relative deprivation on job identity, it was found that cognitive deprivation, emotional deprivation, and deprivation of behavioral intention all influence job identity. The effect of emotional deprivation on teacher efficacy was significant, but cognitive deprivation and intention deprivation were not significant. La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job identity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ers on the teacher-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job identity increases the teacher-efficac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nducting research on the job identity that has been rarely conducted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ers by far, revealed that the relative deprivation affects the job identity and the teacher-efficacy of the part-tim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ers.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to examine various aspects to increase the teacher-efficacy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