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 참가자들의 의미 유형 연구 : 울산박물관 초등학생 대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고운(Kowoon Choi),이정은(Jeongeun Lee)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1

        대중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 박물관이 기획·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은 그 내용과 수준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처럼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에서 박물관 교육 참여자들이 얻어가는 의미있는 경험을 보다 면밀히 알아볼 필요성을 느껴, 본고에서는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박물관에서 어떠한 의미를 만들어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울산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울산의 산업, 호기심을 열다’ 에 참여한 학생 중 3주 과정을 모두 수료한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해 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여섯 가지의 의미 만들기 범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학습과 관련된 의미로 지식의 이해, 지식의 확장, 지식의 활용, 지식의 관심, 지식의 응용을 통해서 의미 만들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으로 가족에 대한 감정 생성, 가족과 학습 경험 공유 희망, 가족과 학습 내용 연관 짓기를 통해 가족에 대한 의미 만들기를 찾아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꿈과 관련된 의미로 진로의 구체적인 방향 설정, 진로와 관련된 학문에 도움, 진로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 등이 나타났다. 네 번째는 가치관과 관련된 의미로 가치관의 습득, 학습 태도의 변화, 향후 학습에 대한 의지, 학습태도에 대한 성찰, 생활 태도의 변화, 관점의 변화 등이 확인되었다. 다섯 번째는 단체활동과 관련된 의미로 사회적 기술 향상(의사소통, 토의), 최고의 성과물 획득 경험, 역할분담, 단체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감정, 단체활동의 중요성 인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여섯 번째는 박물관과 관련된 의미로 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박물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박물관에 대한 인식의 확장으로 의미 만들기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확보된 연구 자료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여 각 의미 범주의 세밀한 형성과정을 밝혀낸다면 박물관교육 참여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의미에 대해 보다 전문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quality and user-friendly education contents that are mainly performed i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mes. In order to study how the attendees of museum sessions build their own meaning, this paper interviewed th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museum education programmes. The museum session “Ulsan Industrialization, Open the Gate of Curiosity” in Ulsan Museum has been conducted for 3 week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mong the attendants, 15 interviewees, attending for all three week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nd they were interviewed for 1 hour, right after the session. As results, total six different meanings have been found. The first meaning was about knowledge making. The students can extend, develop, apply their newly gained knowledge during the session. Secondly, the students tended to have intense feeling of connection to their family members while they learned about information relevant to their family. Third, it was about dream making. After the session, several of them came to have new dreams, seemingly influenced by the museum programmes. To a certain extent, their future had been influenced by this museum experiences. Fourth, attendees seemed to develop different attitudes and values in their everyday life. They tended to show strong willingness for their school life or learning attitudes at the museum sessions. Fifthly, group works facilitated and taketheir skills to another levels higher,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discussion attitudes, sharing responsibility. Those skills are all related to the group session of the museum programmes. Finally, their perception on museum has been changed to see it as a positive institution for learning. Based on this primitive research, it is expected to build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students who attended the museum session and this is expected give useful insights for development and quality of museum programmes in the future.

      • 급성신손상 환자에서 발생한 Ralstonia pickettii 균혈증 1예

        최고,강건우,박지혜,황은아,한승엽,박성배,김현철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배경: Ralstonia pickettii는 비발효성 그람 음성 간균으로 병원성 혹은 지역사회 획득 기회감염의 원인균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Ralstonia 균종은 주로 물과 토양에서 발견되며 R. pickettii외에도 R. insidiosa, R. mannitolytica 등이 포함된다. 이 중 R. Pickettii가 주된 균주로 환자의 혈액, 소변, 뇌척수액 등에서 분리된 바가 있으며 감염경로는 주로 정맥주사용 수액, 정제수로 제조된 생리식염수 등의 오염으로 알려져 있다. R. pickettii는 병원성이 비교적 낮은 균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감염의 범위가 넓을 뿐 아니라 병원성 또한 다양하여 중증 감염을 유발한 경우도 보고된 바 있다. 연자들은 특별한 면역이상 병력이 없는 고령의 환자에서 심한 설사후 R. pickettii 균혈증이 발생 한 예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한다. 증례: 77세 남자로 호흡 곤란으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년전 전립선 비대증을 진단받았으나 치료없이 지내 왔다. 내원 3일전부터 하루 10회 이상의 수양성 설사가 발생하였으나 치료없이 지내오다 내원 1일전부터 호흡곤란이 동반되어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이학적 검사에서 혈압 100/80 mmHg, 맥박 48회/분, 호흡수 20회/분, 체온 36.7℃였으며 구강 및 혀는 말라 있었으며 피부탄력 이 감소되어 있었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8830/uL, 혈색소 9.1 g/dL, 혈소판 412,000/uL, 혈청 Na/K/Cl 135/7.8/107mEq/L, BUN/creatinine 77/10.9 mg/dL, C-반응성단백농도 3.15 mg/dL였으며, 동맥혈 pH 7.292, HCO3- 13.2mEq/L였다. 심전도상 완전우각차단이 관찰되어 응급투석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동시에 수액요법을 시행하였다. 입원 2병일째 체온이 38.1℃로 상승하면서 백혈구증다증 소견을 보여 경험적 항생제로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를 투여하였다. 응급실 내원 당시 시행한 혈액배양 검사에서 R. Pickettii가 검출되었으며 경험적 항생제에 감수성을 보였으며 투약 3일째부터 체온은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및 수액치료 후 입원 16병일째 퇴원하였다.

      • 한의학 고문헌 분석을 통한 무궁화의 약용부위와 기대효능 연구

        최고야(Choi Goya),윤태숙(Yoon Taesook),추병길(Choo Byungkil),이아영(Lee Ayeong),채성욱(Chae Sunguk),주영승(Ju Youngsung),김호경(Kim Hokyoung)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3 No.2

        Hibiscus syriacus is rarely used herb. For finding up new applications of this herb, the medicinal parts and expected efficacys that recorded in 24 classics of oriental medicine were inquired.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medicinal parts and expected efficacys of Hibiscus syriacus were as follows: The medicinal parts were mainly flower and bark But the root, branch, leaf and fruit were mentioned too. Some unidentified medicinal parts seemed to be branch or bark. The mentioned symptoms that prescribed Hibiscus syriacus are intestinal 'wind', red-white dysentery, thirst with fever after dysentery, insomnia, 'wind' syndrom, leukorrhea, regurgitation, etc. And this herb was mentioned that applied externally for scabies, hemorrhoids, prolapse of the rectum, headache, extracted tooth, etc. Therefore, bleeding intestinal diseases, insomnia, vaginal or uterine hemorrhage(for internal use), scabies or mycosis, hemorrhoids, anal fistula, prolapse of the rectum, headache(for external use) were presented as expected efficacys of Hibiscus syriacus. In future, studies for verifying the efficacys are needed.

      • KCI등재

        노년층을 위한 박물관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안

        최고운 ( Choi¸ Kowoon ),이정은 ( Lee¸ Jeonge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노년층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경우 그들의 특성과 성격에 맞는 교육 제공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대표적인 평생 교육기관인 한국의 국·공립 박물관에서는 노년층들의 문화 역량을 확대하기 위해 어떠한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는지 살펴보고, 이들을 대상으로 박물관이 운영 가능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결과 전문적이고 확장적인 노년층 교육 실천을 위하여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데, 첫째, 노년층을 독립된 개체로 보고 그들의 특성을 반영한 박물관만의 전문적이고 다채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 둘째, 노년층과 세대 간 소통의 활성화 방안 모색, 셋째, 박물관 내 전문 인력 교육을 통한 전문가 배치, 넷째, 유관기관의 협업을 통한 전문성 강화, 다섯째, 노년층 대상 박물관 교육 연구의 다양화, 여섯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한국 박물관들의 노년층 대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철저한 평가 및 분석이다. 본 연구는 2019년을 기준으로 운영된 실제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를 파악 및 분석함으로써, 한국 박물관의 노년층 문화예술교육 확대와 전문성 강화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2019년 새롭게 정의된 국제박물관협회는 박물관을 ‘다양한 공동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하면서 그들을 위하여 전 세계에 대한 이해를 수집, 보존, 연구, 해석, 전시 및 강조하여 인간의 존엄과 사회 정의, 세계 평등 및 지구의 복지에 이바지하고자 한다.’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기존 박물관의 역할을 확대하여 더욱 적극적인 사회 문제 해결을 박물관에 요구한다고 볼 수 있는데, 기존 노년층 대상으로 운영하는 박물관들의 교육프로그램들이 다소 여가 적 실천으로 노년층 교육을 바라보았다면, 이제는 적극적으로 노년층들에게 자기계발의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게 시킴으로써, 그들의 정신건강을 책임지는 문화예술 기재로 교육을 바라보아야 한다. The elderly and aging are the priority issues in Korea these days and it is not too much to believe that Korea has become getting older. It is also true that society needs to prepare and tackle this aging issue to help the elders to have more healthy and vibrant life. How can the museum educate the elderly and is it worth it? As we saw the rise of the elderly in Korea society, the institutions of life-long learning such as museums are trying to approach them from vocation search education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Particularly modern museums need to be active and approachable to solve social issues and one of their solution can be education programmes targeting for the aging groups. This research, therefore, are investigating Korean museums(and galleries) that are organising sessions for elders currently and total 10 national museums out of 39 and 5 public museums out of 241 seem to have light engagements with the aging groups in terms of museum educational sessions. This work then looks at the methods of enlarge the engagement with the senior groups in four ways that is already suggested by the current researchers; develop diverse sessions, connecting generation through the sessions, consider the way of developing more professional education for elderly and finally making a connection with influential elderly groups. Through several examples from all around the world, fur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s more agendas apart from those four solutions. More sophisticate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lderly and their carer’s satisfaction and meaning making. Also finally the museum should organise detailed evaluation and audience research for better development of museum sessions for the senior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