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급성신손상 환자에서 발생한 Ralstonia pickettii 균혈증 1예

        최고,강건우,박지혜,황은아,한승엽,박성배,김현철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배경: Ralstonia pickettii는 비발효성 그람 음성 간균으로 병원성 혹은 지역사회 획득 기회감염의 원인균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Ralstonia 균종은 주로 물과 토양에서 발견되며 R. pickettii외에도 R. insidiosa, R. mannitolytica 등이 포함된다. 이 중 R. Pickettii가 주된 균주로 환자의 혈액, 소변, 뇌척수액 등에서 분리된 바가 있으며 감염경로는 주로 정맥주사용 수액, 정제수로 제조된 생리식염수 등의 오염으로 알려져 있다. R. pickettii는 병원성이 비교적 낮은 균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감염의 범위가 넓을 뿐 아니라 병원성 또한 다양하여 중증 감염을 유발한 경우도 보고된 바 있다. 연자들은 특별한 면역이상 병력이 없는 고령의 환자에서 심한 설사후 R. pickettii 균혈증이 발생 한 예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한다. 증례: 77세 남자로 호흡 곤란으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년전 전립선 비대증을 진단받았으나 치료없이 지내 왔다. 내원 3일전부터 하루 10회 이상의 수양성 설사가 발생하였으나 치료없이 지내오다 내원 1일전부터 호흡곤란이 동반되어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이학적 검사에서 혈압 100/80 mmHg, 맥박 48회/분, 호흡수 20회/분, 체온 36.7℃였으며 구강 및 혀는 말라 있었으며 피부탄력 이 감소되어 있었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8830/uL, 혈색소 9.1 g/dL, 혈소판 412,000/uL, 혈청 Na/K/Cl 135/7.8/107mEq/L, BUN/creatinine 77/10.9 mg/dL, C-반응성단백농도 3.15 mg/dL였으며, 동맥혈 pH 7.292, HCO3- 13.2mEq/L였다. 심전도상 완전우각차단이 관찰되어 응급투석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동시에 수액요법을 시행하였다. 입원 2병일째 체온이 38.1℃로 상승하면서 백혈구증다증 소견을 보여 경험적 항생제로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를 투여하였다. 응급실 내원 당시 시행한 혈액배양 검사에서 R. Pickettii가 검출되었으며 경험적 항생제에 감수성을 보였으며 투약 3일째부터 체온은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및 수액치료 후 입원 16병일째 퇴원하였다.

      • KCI등재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 참가자들의 의미 유형 연구 : 울산박물관 초등학생 대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고운(Kowoon Choi),이정은(Jeongeun Lee)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1

        대중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 박물관이 기획·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은 그 내용과 수준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처럼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에서 박물관 교육 참여자들이 얻어가는 의미있는 경험을 보다 면밀히 알아볼 필요성을 느껴, 본고에서는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박물관에서 어떠한 의미를 만들어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울산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울산의 산업, 호기심을 열다’ 에 참여한 학생 중 3주 과정을 모두 수료한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해 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여섯 가지의 의미 만들기 범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학습과 관련된 의미로 지식의 이해, 지식의 확장, 지식의 활용, 지식의 관심, 지식의 응용을 통해서 의미 만들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으로 가족에 대한 감정 생성, 가족과 학습 경험 공유 희망, 가족과 학습 내용 연관 짓기를 통해 가족에 대한 의미 만들기를 찾아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꿈과 관련된 의미로 진로의 구체적인 방향 설정, 진로와 관련된 학문에 도움, 진로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 등이 나타났다. 네 번째는 가치관과 관련된 의미로 가치관의 습득, 학습 태도의 변화, 향후 학습에 대한 의지, 학습태도에 대한 성찰, 생활 태도의 변화, 관점의 변화 등이 확인되었다. 다섯 번째는 단체활동과 관련된 의미로 사회적 기술 향상(의사소통, 토의), 최고의 성과물 획득 경험, 역할분담, 단체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감정, 단체활동의 중요성 인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여섯 번째는 박물관과 관련된 의미로 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박물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박물관에 대한 인식의 확장으로 의미 만들기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확보된 연구 자료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여 각 의미 범주의 세밀한 형성과정을 밝혀낸다면 박물관교육 참여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의미에 대해 보다 전문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quality and user-friendly education contents that are mainly performed i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mes. In order to study how the attendees of museum sessions build their own meaning, this paper interviewed th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museum education programmes. The museum session “Ulsan Industrialization, Open the Gate of Curiosity” in Ulsan Museum has been conducted for 3 week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mong the attendants, 15 interviewees, attending for all three week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nd they were interviewed for 1 hour, right after the session. As results, total six different meanings have been found. The first meaning was about knowledge making. The students can extend, develop, apply their newly gained knowledge during the session. Secondly, the students tended to have intense feeling of connection to their family members while they learned about information relevant to their family. Third, it was about dream making. After the session, several of them came to have new dreams, seemingly influenced by the museum programmes. To a certain extent, their future had been influenced by this museum experiences. Fourth, attendees seemed to develop different attitudes and values in their everyday life. They tended to show strong willingness for their school life or learning attitudes at the museum sessions. Fifthly, group works facilitated and taketheir skills to another levels higher,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discussion attitudes, sharing responsibility. Those skills are all related to the group session of the museum programmes. Finally, their perception on museum has been changed to see it as a positive institution for learning. Based on this primitive research, it is expected to build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students who attended the museum session and this is expected give useful insights for development and quality of museum programm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건선 환자에서 adalimumab 치료 중 발생한 B형 간염의 재활성화

        최고,신정우,이희정,윤문수,김동현 대한건선학회 2020 대한건선학회지 Vol.17 No.2

        Adalimumab,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hibitor,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immune-mediated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psoriasis. However, it may cause hepatitis B virus (HBV) reactivation. A 64 years-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plaque psoriasis for 15 years’ duration. After receiving phototherapy and oral methotrexate for 6 months, adalimumab treatment was started due to inefficacy. He has been regularly follow-up at the local clinic as a chronic HBV carrier. Before adalimumab treatment, HBV DNA level was 1.15×102 IU/ml. However, the level gradually increased to 2.07×104 IU/ml at 6 months and 2.02×105 IU/ml at 12 months of treatment. Adalimumab was discontinued and he was referred to a hepatologist. He was identified as an HBV inactive carrier, and has been observed with 6-month follow-up. This case repor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creening and preventing HBV reactivation in patients using immunosuppressive drugs.

      • KCI등재

        해외건설의 경제파급효과

        최고,김승욱 한국제도경제학회 2022 제도와 경제 Vol.16 No.4

        우리나라 해외건설은 1965년 태국진출을 시작으로 45년간 약 4,000억 달러에 이르는 수주를 통하여 경제개발에 필요한 재원 마련과 두 번에 걸친 오일쇼크를 극복하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외에도 해외건설수주를 통한 외화가득은 국내총생산 기여 및 국내의 고용증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효과를 경제사적 접근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1970년에서 2010년까지 40년의 해외건설 수주액과 국내거시변수인 총고정자본형성, 건설투자 및 설비투자 증가율 그리고 국내총생산(GDP) 변수를 이용하여 동태적 분석을 위하여 오차수정모형 을 통한 충격반응함수 분석과 분산분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해외건설수주로 인한 충격이 국내 거시변수에 주는 영향은 전체 기간에서 미미하나 대체적으로 양(+)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90년 이후 기간에서는 해외건설수주로 인한 영향이 여전히 양(+)의 효과를 가졌으나, 충격에 대한 반응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Korean overseas construction on domestic economy using economic historical approach and empirical analysis. Triggered by entering Thailand market in 1965, overseas construction is assessed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to overcome the twice of oil shock, and secured finances for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winning approximately $400 billion construction contracts during 45years. Additionally, the research shows that obtaining foreign currency through winning overseas construction contracts is effective on increment of domestic employment and contributes to GDP. In order to analyze these effects empirically, for dynamic analyses, impulsive response function analysis and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error correcting model by using the total amount of overseas construction contracts for 40 year from 1970 to 2010, domestic macro variables as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 the rate of increment in construction and equipment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variables. Major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he impact of overseas construction contracts has mostly positive effect on domestic macro variables. However, the analysis of the data after 1990 shows that the impact of overseas construction contracts are limited, but positive. As follows, the fundamental cause that overseas construction could affect on domestic economy can be assessed as i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efficient system of government and the assertive adaptability to environment of domestic company and the entrepreneurial spirit.

      • KCI등재

        菱洋 朴宗善의 <小江南曲> 연구

        최고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60 No.-

        Chosun jukjisa is a form of jukjisa that departs from the previously established tradition of the genre modelled on Chinese jukjisa by placing its focus on regions in Korea. Beginning with the works of Kim Jong-jik, the composition of early Chosun jukjisa was sporadic and dealt with one of the following three themes: romantic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history and local customs. Later,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s the works grew longer and notes were added to the works contain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respective region, the regional guide-like quality of Chosun jukjisa became more pronounced. However, the Suncheon jukjisa Sogangnamgok by Park Jong-sun is notable for its divergence from this typical trend of later Joseon jukjisa. Sogangnamgok is a work that candidly depicts the riotous frolicking that was enjoyed in the company of gisaeng in Suncheon’s gyobang. Park Jong-sun regarded ‘leisure’ as Suncheon’s main local characteristic and sang freely of the leisure, amusements and landscape captured in that region. These songs reflect the influence of the Gangnam fad popularized by contemporary artists, and works by other writers which also emphasized the playful spirit of Suncheon, Park Jong-sun’s interest in yeomjungsi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identity of the concubine. It is these factors that inspired Park Jong-sun to compose the new popular song of the Honam region Sogangnamgok, which is characterized by its ‘playfulness’. Another feature of this song is its strong musicality, heightened by the deliberate inclusion of musical elements taken from the likes of akbusi, songs about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and the music of gyobang. Like this, in comparison to the trend of contemporary jukjisa which merely faithfully relayed information about various regions, Sogangnamgok is an attempt to combine the late Joseon jukjisa form with a sense of playfulness and musicality, and is therefore a valuable resource that shows us a different form of late Joseon jukjisa. 조선 죽지사는 이전까지 중국의 죽지사를 모의했던 전통에서 벗어나 우리나라의 지역을 표면에 내세우며 출범한 양식이다. 이는 초창기에 김종직을 시작으로 남녀 간의 사랑, 역사, 풍속 세 가지 모습을 지니면서 간헐적으로 창작되다가 조선후기로 가면서 편폭이 길어지고 지방의 세세한 정보를 담은 주석이 다량 첨부되면서 지방지로서의 성격이 강해지게 되었다. 그런데 조선후기 문인 박종선의 순천 죽지사 <소강남곡>은 이러한 조선 후기 죽지사의 일반적인 흐름과는 상이한 면모를 보여 주목된다. <소강남곡>은 순천의 교방을 배경으로 그곳 기생들과의 질탕한 풍류를 가감 없이 담아낸 작품이다. 박종선은 순천의 지역적 특성을 ‘풍류’로 간주하고 이곳에서 포착되는 유흥과 향락의 풍경을 자유롭게 노래하였다. 여기에는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 성행하였던 중국의 강남 열풍, 순천의 풍류를 강조한 여타 문인들의 작품들, 박종선의 염정시에 대한 관심과 서얼이라는 사회적 존재의 특징 등이 반영되어 있다. 박종선은 이러한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들에 힘입어 ‘풍류’적 성격의 새로운 호남 지역 유행가 <소강남곡>을 창작한 것이다. 남녀 간의 연정을 소재로 한 악부시나 교방의 풍악소리 등 음악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삽입함으로써 가창성을 강하게 드러낸 것도 특징이다. 요컨대 <소강남곡>은 지방의 정보를 충실히 담아내는 데에 치중했던 당대 죽지사의 흐름과 달리 풍류와 음악성이 겸비된 조선 후기 죽지사의 또 다른 형태를 시도하고자 했던 것으로, 조선 후기 죽지사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소중한 자료가 된다.

      • KCI등재

        조선 초기 ‘조선 죽지사’ 연구

        최고경 ( Choi Go-gyeong ) 한국한시학회 2018 韓國漢詩硏究 Vol.26 No.-

        죽지사란, 민간의 풍속이나 정취를 그려낸 7언 절구 연작시이다. 당나라 유우석(劉禹錫, 772~842)이 파투(巴渝) 지방의 민간 가요인 죽지노래를 듣고 지은 데서 유래하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토속적, 민가적 성격을 가진다. 죽지사는 유우석 이후 중국과 우리나라에 널리 전파되어 작가에 따라 다양하게 창작되었다. 중국의 악부를 의작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던 조선 초기에는 주로 당대(唐代) 죽지사를 모의하였다. 이들은 중국을 배경으로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을 다루며 낭만적ㆍ애상적 정조를 드러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가운데 김종직을 필두로 한 영남 지방 문인들이 조선의 땅을 대상으로 한 죽지사를 창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중국의 것을 우리에 적용하면서 의고성을 탈피하고 조선의 특정 지역을 표면에 내세운 것을 ‘조선 죽지사’라 칭하기로 한다. 김종직이 먼저 자신의 고향인 밀양을 배경으로 <응천죽지곡>을 짓고, 동료 문인 김맹성에게 권유하고 제자 유호인에게도 영향을 끼쳐 <가천죽지곡>과 <함양남뢰죽지곡>을 짓게 하였다. <응천죽지곡>과 <가천죽지곡>은 당대(唐代) 죽지사와 같이 남녀 간의 연정을 주로 다루었으나, 조선의 특정 지명을 제시하면서 현실성과 구체성을 획득하였다. <함양남뢰죽지곡>은 이들과 달리 해당 지역의 역사와 풍속에 비중을 두면서 조선 죽지사의 새로운 틀을 도모하였다. 즉 조선 죽지사의 초기 형태는 남녀 간의 사랑이나 이별, 그 지역의 풍속, 역사 이 세 가지의 모습으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이 김종직 그룹에서 조선 죽지사가 시도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고향에 대해 남다른 지방 의식을 공유하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들은 지방 출신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한 1세대로서 자신의 지역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곳을 지방의 유행가라고 할 수 있는 죽지사 형식을 빌려 널리 알리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창작 의식을 바탕으로 한 조선 죽지사는 향후 지역의 범위가 전국으로 확장되고 규모가 방대해지면서 하나의 역사 장르로 확립되는데, 본고의 논의는 그 전개의 출발점에 있다. ‘Jukjisa’(竹枝詞) is a 7 quatrain series poem that depicts folk customs and culture. Composed by Liu Yuxi (劉禹錫) of the Tang Dynasty after he heard the song ‘Jukji’, a song that was popular among the locals of the Bayu(巴渝) region, it naturally has an ethnic quality and the nature of a folksong. ‘Jukjisa’ spread widely across China and Chosun after its composition by Liu Yuxi and was recomposed in various ways by different poet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hen the imitation of Chinese Yuefu(樂府) was the prominent trend, imitations of contemporary Jukjisa were prevalent. These poems dealt with the love and parting between a man and a woman against the backdrop of China and typically portrayed romantic and tragic sentiments. In the midst of this trend, the literati of the Yeongnam region, led by Kim Jong-jik, composed Jukjisa about regions in Chosun. Noting the way these poems avoided archaism by the application of the Chinese form to something that was ours and the mention of a particular region of Chosun in the poem, this paper proposes these poems be designated ‘Chosun Jukjisa’. Kim Jong-jik composed < Eungcheonjukjigok > with his hometown Miryang as the backdrop and urged fellow literati Kim Maing-sung and influenced his disciple Yoo Ho-in to compose < Gacheonjukjigok > and < Hamyangnamrwaejukjigok > respectively. < Eungcheonjukjigok > and < Gacheonjukjigok > deal with romantic affect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like other Jukjisa of the time, but by naming a particular region in Chosun, they also achieve a sense of specificity and realism. Unlike these poems, < Hamyangnamrwaejukjigok > revealed a new framework for the Chosun Jukjisa by focusing on the history and customs of a particular region of Chosun.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can be found in early forms of Chosun Jukjisa: the story of love and parting between a man and a woman, the customs of a particular region and the history of that region. The motive behind the creation of Chosun Jukjisa by Kim Jong-jik’s group can be found in their unique regional consciousness of their hometown. As the first generation of rural literati to be active in the political world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y had great affection for and pride in their hometowns and strived to make their hometowns widely known by borrowing the form of the Jukjisa, which could be called the popular song of rural areas. The Chosun Jukjisa that stemmed from this creative consciousness became established as a historical genre as the scope of regions covered in the poems later expanded to include the whole nation and the poems expanded in volum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start of this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