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결명자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 투여 흰쥐의 항산화물질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최현숙(Hyun-Sook Choi),차선숙(Sun-Sook Cha),나명순(Myung-Soon Na),신길만(Kil-Man Shin),이명렬(Myung-Yu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6

        결명자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상군, 결명자 에탄올추출물(200 mg/kg)투여군, 알코올 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 및 결명자 에탄올추출물(200 mg 및 400mg/kg) 병합투여군 등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후 체중증가율, 식이효율 및 혈액중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농도, 혈청중 ALT 및 AST활성, 간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SOD, catalase, GSH-Px 등의 활성과 유리기 생성계 효소인 XO활성을 측정하고, 지질과산화물인 TBARS 및 GSH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1) 각 분획구의 항산화력은 n-핵산>클로르포름>에틸아세테이트>물>메탄올 순이었다. 2) 결명자 에탄올추출물과 알코올을 병합투여하므로서 체중증가율은 알코올만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변화는 아니었으나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이효율은 정상군의 치에 근접하게 증가되었다. 3) 간 손상의 지표의 하나인 혈청 중 ALT 및 AST활성의 경우, 알코올 투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결명자 에탄올추출물을 병합투여하므로서 정상군보다 오히려 낮았다. 4) 알코올 투여로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많이 증가되었으나 결명자 에탄올추출물 병합투여로 투여량이 증가됨에 따라 더욱 우수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HDL-콜레스테롤함량은 알코올 투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결명자 에탄올추출물 병합투여로 정상군의 농도에 근접하게 증가되었는데, 특히 결명자 에탄올추출물만을 투여한 군의 함량이 정상군보다 높았다. 5) 결명자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 투여로 상승된 유리기 생성계효소인 XO활성은 알코올만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약 42%정도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나,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SOD, catalase 및 GSHPx 활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6)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간 중의 TBA반응성 산물량을 결명자 에탄올추출물이 유효하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결명자 에탄올추출물만을 투여한 군의 간 TBA 반응성 산물량이 정상군보다 오히려 낮았다. 7) 알코올 섭취로 간조직 중의 GSH함량이 정상군에 비하여 약 51%정도 감소되었으나 결명자 에탄올추출물투여로 정상군의 함량에 근접하도록 증가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결명자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작용은 주로 알코올투여로 증가된 유리기 생성계 효소인 XO활성억제와 비효소적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GSH함량을 증가시키므로서 지질과 산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강되어 나타난 결과로 여겨지고, 또한 혈청중 지질함량, ALT 및 AST의 활성을 유의성있게 감소시켰음은 결명자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 또는 손상된 간세포를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Cassia semen (Cassia tora L.) on the activities of hepatic oxygen free radicals metabolizing enzymes and blood lipid profile in rats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ethanol.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160 g were divided into 5 groups; control group (CON), Cassia semen ethanol extracts (200 mg/kg) treated group (CEL), ethanol (10 mL/kg, 35%) treated group (ETH), Cassia semen ethanol extracts (200 mg/kg) and ethanol treated group (CE1) and Cassia semen ethanol extracts (400 mg/kg) and ethanol treated group (CE2), respectively. Compared with ETH, the growth rate of CE1 and CE2 were to be increased tendency, and in bloo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he activities of alanine aminotranferase and asparate aminotransferase elevated by ethan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t was observed that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xanthine oxid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of rat liver increased by ethanol, were more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Cassia semen ethanol extract than the only ethanol-treated group. The content of glutathione depleted by ethanol treatment was increased in CE1 and CE2. TBA-reactants of liver increased by ethanol were decreased in CE1 and CE2, compared with ethanol-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thanol extract of Cassia semen may influence upon the ability of oxygen free radical detoxication and lowering of blood lipid level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 KCI등재

        대두, 청국장 및 된장 분말의 급여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 성상에 미치는 영향

        김아라(Ah-Ra Kim),이재준(Jae-Joon Lee),차선숙(Sun-Sook Cha),장해춘(Hae-Choon Chang),이명렬(Myung-Yu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5

        본 연구는 동일 품종으로 제조한 증자대두 분말, Bacillus subtilis DJI로 발효시켜 제조한 청국장과 된장 분말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정상군(N), 당뇨 대조군(STZ-C), 당뇨 대두군(STZ-S), 당뇨 청국장군(STZ-CKJ) 및 당뇨 된장군(STZ-DJ)으로 5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고, 혈당변화, 혈청 포도당 및 인슐린 농도, 혈청 지질농도 및 효소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체중증가량은 대두, 청국장 및 된장 분말을 급여한 군들이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증가하였다. 식이섭취량과 수분섭취량은 모든 당뇨 유발군들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식이효율은 대두, 청국장 및 된장 분말을 급여한 군들이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간과 신장의 무게는 당뇨 유발군들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대두, 청국장 및 된장 분말의 급여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혈당의 변화는 대두, 청국장 및 된장 분말의 4주간 급여로 혈당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4주째에 당뇨 청국장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 수준을 나타내었다. 시험 종료 후 혈청 포도당 농도는 대두, 청국장 및 된장분말의 급여로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혈청 인슐린 농도는 당뇨 유발군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AST 및 ALP 활성은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대두, 청국장 및 된장 분말을 급여한 군들이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었고, 특히 당뇨 청국장군의 ALP 활성은 정상군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당뇨 유발로 증가된 혈청 중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대두, 청국장 및 된장 분말의 급여로 모두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당뇨 유발군들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당뇨 청국장군과 당뇨 된장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당뇨 대조군이 정상군보다 낮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청국장 및 된장 분말급여 시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정상군보다도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 증자대두 분말, B. subtilis DJI로 발효시켜 제조한 청국장과 된장 분말의 급여는 STZ로 유발된 당뇨쥐의 혈당 강하효과 및 당뇨 시 혈청 지질대사 개선 등 당뇨증세 완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며, 혈당 강하효과는 청국장이, 혈청 지질대사 개선효과는 청국장과 된장이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ybeans, chungkukjang, and doenjang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5 g were divided into non-diabetic and diabetic groups. The diabetic groups were further sub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a normal group (N), a diabetic control group (STZ-C), a diabetic group fed autoclaved soybean powder (STZ-S), a diabetic group fed chungkukjang powder (STZ-CKJ) and a diabetic group fed deonjang powder (STZ-DJ). Food and water intakes were higher in the diabetic groups than in the N group. The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s were higher in the STZ-S, STZ-CKJ, and STZ-DJ groups than in the STZ-C group, but created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he diabetic groups on foo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The whole blood level at 4 weeks of the STZ-CKJ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 group. Serum glucose levels of the STZ-S, STZ-CKJ, and STZ-DJ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erum insulin levels. The AST and ALP activities in serum were markedly higher in the STZ-C group, but these decreases in relation to diabetes increased in the STZ-S, STZ-CKJ, and STZ-DJ groups. The level of serum triglycerides was lower in the STZ-CKJ and STZ-DJ groups than in the STZ-C group, whereas level of serum HDL-cholesterol was higher in the STZ-CKJ and STZ-DJ groups. Levels of total serum and LDL-cholesterol were higher in the diabetic groups compared with the N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TZ-S, STZ-CKJ, and STZ-DJ groups compared to the STZ-C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supplements of soybean, chungkukjang and doenjang may improve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and help prevent or attenuate the progression of diabete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 KCI등재후보

        한강 유역 간흡충 고위험군의 감염과 관련요인

        김희걸,강희경,소애영,김영신,박정인,한은혜,탁경숙,이선희,김진순,한명자,차선숙,성명순,최선자,Kim, Hee-Gerl,Kang, Hee-Kyoung,So, Ae-Young,Kim, Young-Si,Park, Jeong-In,Han, Eun-Hyae,Tak, Kyung-Sook,Lee, Sun-Hee,Kim, Jin-Soon,Han, Myung-Ja,Cha, 한국농촌간호학회 2009 한국농촌간호학회지 Vol.4 No.1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Clonorchis Sinensis for inhabitants of the Han riverside area and to identify knowledge related to Clonorchis Sinensis and intended behavioral changes to decrease risk of infectio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6, 2008 to January 10, 2009. Participants were 555 people who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Frequency, percentage, $X^2$-test, and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prevalence of Clonorchis Sinensis was 7.9% in this population. Related factors for Clonorchis Sinensis were gender (male=10.8%, female=3.6%, p=0.002) and smoking (p=0.007). but habits related to ingestion of alcohol and raw fish were not significant. As for knowledge of Clonorchis Sinensis, the Clonorchiasis group had a mean score of 10.09 $({\pm}3.95)$ of a possible 17 compared to a score of only 8.27$({\pm}4.60)$ for the negative group (p=0.011). The intended behavioral change related to risk of infection, according to presence of infection or not, was significant (p=0.004).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onorchiasis is still highly endemic in all risk areas such as the Han riverside, indicating that it is necessary to set up effective management programs for patient care and prevention of Clonorchis Sinen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