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rapeutic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the Trigger Points

        조수현,박준상,고명연,Cho, Soo-Hyun,Park, June-Sang,Ko, Myung-Yun The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 2000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25 No.3

        구강안면통증환자에서 저출력 레이저의 임상 효과는 많은 임상가에 의해 연구되었으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하여 구강안면부위의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저작근 중 교근, 측두근과 경부근육 중 승모근에 발통점을 가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69명중 37명은 레이저 조사군, 32명은 레이저 모의 조사군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여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둘째 방법으로 동일 근육에 발통점이 있는 19명의 환자와 발통점이 전혀 없는 20명의 정상인을 무작위로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을 다시 레이저 조사군과 모의 조사군으로 나누어 실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와 위약효과를 평가하였다. 50mW, 820nm의 GaAlAs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 4주 동안 첫 주는 2회, 이후 3주 동안 각 1회씩 총 5회를 조사하였고, 레이저 모의 조사군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치료반응은 전자통각계를 이용하여 압력통각역치를 치료 전, 치료 2주 및 4주에 측정하여 이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레이저 조사군의 각 근육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치료 2주 후부터 유의하게 높아졌으며(P<0.05), 모의 조사군과의 차이는 이후 점점 더 증가하였다(P<0.001). 모의 조사군에서는 압력통각역치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2. 레이저 조사-환자군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모의조사-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보다 그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정상 대조군은 레이저 조사와 관계없이 압력통각역치에 유의성이 없었다. 3. 약간의 위약 반응이 레이저 모의조사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관찰되나, 레이저 조사 환자군의 실제 레이저 치료효과가 위약 반응보다 우세하였다.

      • SCOPUSKCI등재

        혈소판 활성인자가 백서의 Progesterone 생성에 미치는 영향

        조수현,정성로,황윤영,문형,Cho, Soo-Hyun,Chung, Sung-Ro,Hwang, Yeoun-Young,Moon, Hyung 대한생식의학회 1992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19 No.1

        Platelet activating factor(PAF) has been repor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ovulation, establishment and maintnance of early pregnancy.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F on progesterone secretion in rabbit by measurement of pheripheral blood concentration of progesterone. PAF had no effect on progesterone secretion and did not induce decidual reaction in nonovulatory rabbit. But 8th day of hCG induced pesudopregnant rabbit, PAF significantly increase progesterone secretion. Progesterone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0.5 and 4 hours after treatment with $10^{-8}$ M PAF on days 2, 4, 6, 8 of gestation as compared than those treated with normal saline. When PAF was injected 2 days after coitus, progesterone levels on days 4, 6, 10, 14 of gest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with saline injec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F increase progesterone secretion from the hCG-primed ovary and during pregnancy in rabbit.

      • KCI등재

        한우고기와 호주산 냉장수입육의 육질 및 영양성분 비교

        조수현,성필남,강근호,박범영,정석근,강선문,김영춘,김종인,김동훈,Cho, Soo-Hyun,Seong, Pil-Nam,Kang, Geun-Ho,Park, Beom-Young,Jung, Seok-Geun,Kang, Sun-Moon,Kim, Young-Chun,Kim, Jong-In,Kim, Dong-Hun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5

        본 연구는 거세한우(26-28개월) $1^+$, 1등급육과 호주산 수입 흑우 및 교잡육으로부터 채끝, 등심, 우둔, 꾸리부위를 공시시료로 이용하여 원산지별 부위간의 일반성분, 육색, 전단력, 콜라겐함량, 가열감량, 지방산조성, 아미노산조성 및 무기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채끝과 등심부위는 한우고기 $1^+$, 1 등급육이 호주산 앵거스 또는 교잡종육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p<0.05) 반면에 우둔과 꾸리부위에서는 비교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지방함량은 채끝부위에 있어서는 한우 $1^+$ 등급육이 15.48%로 8.83%인 호주산 교잡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등심 부위에서는 한우육 $1^+$, 1 등급육이 각각 17%, 15.52%로 호주산 앵거스 흑우육(10.59%) 및 교잡육(9.21%)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육색 비교에서 채끝부위는 호주산 교잡종이 CIE $L^*$(백색도)이 한우고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적색도(CIE $a^*$)은 동일한 부위내에서 비교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CIE $b^*$(황색도)는 채끝, 등심, 우둔 및 꾸리 부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부위별 전단력 비교 결과 채끝부위는 호주산 교잡종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던(3.02 kg) 반면에 호주산 앵거스 흑우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한편 등심, 우둔 및 꾸리 부위는 전단력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콜라겐 함량은 한우고기가 4개 부위 모두에서 호주산 쇠고기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호주산 교잡종육이 채끝, 등심, 우둔부위에서 한우고기보다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n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에 palmitoleic acid, vaccenic acid, eicoseno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Oleic acid 함량은 한우고기 $1^+$, 1등급육이 호주산 교잡종육과 비교했을 때 채끝, 등심, 우둔 및 꾸리부위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우고기 $1^+$, 1등급육은 호주산 교잡육보다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고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MUFA)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한우고기 $1^+$ 등급육은 우둔과 꾸리부위에서 glycine 함량이 가장 높았고 한우 1 등급육은 채끝과 등심 부위에서 cystein, methionine, glycine 함량이 호주산 앵거스 흑우육 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며, 우둔과 꾸리부위에서는 valine과 leucine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무기물 조성에서 Ca, Fe, Zn 함량은 비교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meat color,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 total collagen content (%), cooking loss (CL), fatty acid composition, amino acid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loin, strip loin, top round, and chuck tender Hanwoo beef and imported Australian beef.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for strip loin and loin of Hanwoo QG $1^+$ and 1 beef when compared to that of Australian black Angus or cross beef (p < 0.05), whereas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op round and chuck tender. Intramuscular fat content was higher for QG $1^+$ Hanwoo beef strip loin (15.48%) than that in Australian cross beef (8.83%) and it was also higher in loin for QG $1^+$ (17%) and 1 (15.52%) Hanwoo beef than that in Australian Angus beef (10.59%) and cross beef (9.21%) (p < 0.05). The CIE $L^*$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Australian cross beef strip loin than that of Hanwoo beef but the CIE $a^*$ valu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ame cuts from different origins. However, CIE $b^*$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Australian cross beef than those for four cuts of Hanwoo beef and Australian Angus beef (p < 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BS of loin, top round, or chuck tender was observed among the different beef sample origins except that strip loin had significant higher WBS for Australian cross beef (3.02 kg) but lower for Australian Angus beef (2.13 kg). Australian cross beef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nic acid, but lower palmitoleic acid, oleic acid, eicosenoic acid content in strip loin, loin, and top round than those of QG $1^+$ and 1 Hanwoo beef (p < 0.05). QG $1^+$ Hanwoo beef had significant lower saturated fatty acid and higher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than those in Australian cross beef (p < 0.05). Hanwoo $1^+$ beef had more glycine in top round and chuck tender, whereas Hanwoo QG 1 beef and Australian Angus beef had higher cysteine, methione, and glycine levels in strip loin and loin and valine and leucine in top round and chuck tender than the same cuts of Hanwoo $1^+$ beef (p < 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Ca, Fe, or Zn content among the different beef samples.

      • KCI등재

        바이노미얼 트리를 이용한 이동 에이전트의 빠른 전송

        조수현,김영학,Cho, Soo-Hyun,Kim, Young-Ha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9 No.3

        네트워크 환경이 좋아지고 인터넷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이동 에이전트(Mobile Agent) 기술이 정보검색, 네트워크관리, 전자상거래, 병렬/분산처리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 다수의 연구자들이 이동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한 병렬/분산처리 개념을 연구하고 있다. SPMD(Single Program Multiple Data)는 하나의 프로그램이 병렬환경에 참여하는 모든 컴퓨터에 전송되어 다른 자료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병렬처리 방법이다. 따라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모든 컴퓨터에 빠르게 전송하는 것은 전체 수행시간을 줄이기 위한 주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으로 구성된 병렬환경에서 SPMD의 병렬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바이노미얼 트리를 이용하여 하나의 이동 에이전트 코드를 모든 컴퓨터에 빠르게 전송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IBM's Aglets에서 실험적 평가를 통하여 다른 방법과 비교되었으며 다른 방법에 비해서 상당히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본 문에서는 바이노미얼 트리에서 에이전트 전송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결함허용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As network environments have been improved and the use of internet has been increased, mobile agent technologies are widely used in the fields of information retrieval, network management, electronic commerce, and parallel/distributed processing. Recently, a lot of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concepts of parallel/distributed processing based on mobile agents. SPMD is the parallel processing method which transmits a program to all the computers participated in parallel environment, and performs a work with different data. Therefore, to transmit fast a program to all the computers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o reduce total execution time.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parallel environment consisting of mobile agents system, and propose a new method which transmits fast a mobile agent code to all the computers using binomial trees in order to efficiently perform the SPMD parallel processing.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another ones through experimental evaluation on the IBM's Aglets, and gets greatly better performance. Also this paper deals with fault tolerances which can be occurred in transmitting a mobile agent using binomial trees.

      • KCI등재

        국내산 육가공제품의 유형별 첨가물과 영양성분함량 및 표시실태 조사

        조수현,성필남,박범영,김진형,박은혜,하경희,이종문,김동훈,Cho, Soo-Hyun,Seong, Pil-Nam,Park, Beom-Young,Kim, Jin-Hyung,Park, Eun-Hea,Ha, Kyung-Hee,Lee, Jong-Moon,Kim, Dong-Hoo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국내육가공제품의 질적 향상 및 성분표시의 필요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내 유통 중인 육가공제품 총 57종(햄 31종,소시지 26종)을 수거하여 성분을 조사 분석하였다. 현행 축산물가공기준 및 성분규격법의 표시규정에 따르면 육함량과 주종이 되는 첨가제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국내 유통되고 있는 육가공제품 중 혼합프레스햄류, 돈육소시지류 및 분쇄육가공제품의 종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유형의 제품 내에서도 육, 지방, 칼로리,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함량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육함량, 단백질, 지방, 콜레스테롤 수준 및 칼로리 범위는 햄제품의 경우 75-98, 12-23, 1-16%, 7-50 mg/100g 및 1,620-3,127 cal/g이었고, 소시지 제품의 경우 60-96, 5-17, 3-27%, 5-73 mg/100g, and 1,271-3,546 cal/g이었다. 포화지방, 단가불포화지방 및 다가불포화지방 함량은 햄제품의 경우 31-40, 44-53 및 60-72%이었고 소시지 제품의 경우 17-38, 34-61 및 13-37% 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육가공제품들에 대하여 영양성분 및 함량을 구분하여 명확하게 표시해 줌으로써 소비자들은 육제품 구입시 각자에 필요한 영양성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 받도록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제품별로 정확한 영양성분 정보 공개는 소비자의 알권리 충족 및 각자에게 적절한 식품선택 기회를 제공해 주고 또한 경쟁력 있는 육가공품 생산을 유도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meat and non-meat ingredients, calorie,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s of processed meat products of which informations are being provided for consumer and partly required for the current labeling system in Korea. A total of sixty-one domestic processed meat products produced from 6 domestic meat companies were collected at the large supermarkets in Suwon city; 1) 31 ham products(3 loin hams, 6 press hams, 20 mixed press hams and 2 fish hams), 26 sausage products(15 pork sausages, 7 mixed sausages and 4 fish sausages) and 4 ground processed meat products. Soy protein and com starch were widely used as non-meat ingredients for the most of processed meat products. The contents of meat, protein, fat, cholesterol contents, and calories were 75-98, 12-23, 1-16%, 7-50 mg/100g, and 1,620-3,127 cal/g for ham products and 60-96, 5-17, 3-27%, 5-73 mg/100g, and 1,271-3,546 cal/g for sausage products, respectively. The saturated(SFA), monounsaturated(MU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contents of ham products were 31-40, 44-53 and 60-72%, and those of sausage products were 17-38, 34-61, and 13-37%, respectively. The ranges of meat contents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were considerably broad even in the same type of the meat products. Therefore, the labeling system of the nutritional facts for ham as well as sausage products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quality level and thus to give the nutritional information to consumer for better choice of products in market.

      • SCIESCOPUSKCI등재

        관능특성 및 판별함수를 이용한 한우고기 맛 등급 분석

        조수현,서그러운달님,김동훈,김재희,Cho, Soo-Hyun,Seo, Gu-Reo-Un-Dal-Nim,Kim, Dong-Hun,Kim, Jae-Hee 한국축산식품학회 2009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9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t effective analysis methods for palatability grading of Hanwoo beef by comparing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with sensory data. The sensory data were obtained from sensory testing by 1,300 consumers evaluated tenderness, juiciness, flavor-like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Hanwoo beef samples prepared by boiling, roasting and grilling cooking methods. For the discriminant analysis with one factor, overall acceptability, the linear discriminant functions and the non-parametric discriminant function with the Gaussian kernel were estimated. The linear discriminant functions were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while the non-parametric discriminant functions were not explicit and had the problem of selection of kernel function and bandwidth. With the three palatability factors such as tenderness, juiciness and flavor-likeness, the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and the ability of classification was calculated with the accurate classification rate and the error rate. The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did not need the specific distributional assumptions and only used the principal component and canonical correlation. Also, it contained the function of 3 factors (tenderness, juiciness and flavor-likeness) and accurate classification rate was similar with the other discriminant methods. Therefore, the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was the most proper method to analyze the palatability grading of Hanwoo beef.

      • SCIESCOPUSKCI등재

        1<sup>++</sup> 등급 거세한우의 부위별 칼로리, 콜레스테롤, 콜라겐,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및 지방산조성

        조수현,성필남,김진형,박범영,백봉현,이연정,인태식,이종문,김동훈,안종남,Cho, Soo-Hyun,Seong, Pil-Nam,Kim, Jin-Hyoung,Park, Beom-Young,Baek, Bong-Hyun,Lee, Yeon-Jung,In, Tae-Sik,Lee, Jong-Moon,Kim, Dong-Hun,Ahn, Chong-Nam 한국축산식품학회 2008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al properties by different cut of Hanwoo steer beef. 10 cuts [Abjin (short plate), Bosup (top sirloin), Cheggt (striploin), Dngsim (Ioin), Guri (chuck tender), Hongduke (eye of round), Moksim (chuck roll), Sulgit (bottom round), Udoon (top round), Yangji (brisket)] were prepared from 10 Hanwoo steers ($24{\sim}28$ mon old)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Calorie contents were $2,205{\sim}3713.20\;cal/g$ and loin, striploin, short pl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cuts (p<0.05). Loin was highest in cholesterol content, whereas top round and eye of round were lowest among 10 cuts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luble and insoluble collagen contents although chuck tender, chuck roll and bottom round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collagen and loin and striploin contained significantly lower total collagen contents than the other cuts (p<0.05).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showed that glutamate and alanine contents were $275.99{\sim}536.04\;mg/100g$, $130.63{\sim}175.23\;mg/100g$, respectively and followed by arginine ($7.00{\sim}10.49\;mg/100g$), phenylalanine ($4.70{\sim}13.88\;mg/100g$), and leucine ($5.98{\sim}10.26\;mg/100g$) in 10 cuts. $1^{++}$ grade Hanwoo steer beef had significantly higher IMP (Inosine monophosphate) and inosine in eye of round (30.04% and 6.25%) and top round (33.44% and 6.28%), while hypoxanthin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uck tender than the other cuts (p<0.05). In fatty acid analysis,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fatty acid composition among 10 cuts only except for C16:1n7, C20:3n6, and C20:4n6 (p>0.05).

      • KCI등재

        의료진의 가정용 인공호흡기 관련 지식 정도와 교육요구도 조사

        조수현,고명균,정진희,원선영,이희옥,남지명,위미숙,이영희,Cho, Soo-Hyun,Go, Myeong-Gyun,Jung, Jin-Hee,Won, Sun-Young,Lee, Hee-Og,Nam, Ji-Myoung,Oui, Mi-Sook,Yi, Young-Hee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2 중환자간호학회지 Vol.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nurses and physicians on home ventilato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40 nurses and 47 physicians working at departments using home ventilato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30 to February 12, 2012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32 items of th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n home ventilator. Results: The mean scores of nurses' and physicians' knowledge were 2.52 and 2.56 respectively. The mean scores of nurses' and physicians' educational needs were 3.16 and 3.06 respectively. Nurses' knowledge was associated with their experience using and receiving education about home ventilator and willingness to receive education about home ventilator education. Nurses' educational needs were associated with their present working department and experience using home ventilator. Nurses with high knowledge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educational needs. Physician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were not associated with an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Nurses' and physicians' knowledge of home ventilator were low and their educational needs on home ventilator were high. To provide high quality of care for home ventilato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rses and physicians with education and to develop a more specific educational program for them.

      • KCI등재

        한우고기와 뉴질랜드산 냉장수입육의 육질 및 영양성분 비교

        조수현,강근호,성필남,박범영,정석근,강선문,김영춘,김지희,김동훈,Cho, Soo-Hyun,Kang, Geun-Ho,Seong, Pil-Nam,Park, Beom-Young,Jung, Seok-Geun,Kang, Sun-Moon,Kim, Young-Chun,Kim, Ji-Hee,Kim, Dong-Hun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에서 거세한우(26-28개월) $1^+$, 1 등급육과 뉴질랜드산 냉장수입 육우로부터 채끝, 등심, 우둔, 꾸리부위를 공시시료로 이용하여 일반성분, 육색, 전단력, 가열감량, 지방산조성, 아미노산조성 및 무기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부위 모두 단백질 및 수분함량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반대로 근내지방함량은 뉴질랜드산 채끝, 등심, 꾸리부위가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색은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과 비교했을 때 채끝과 홍두깨 부위의 $L^*$값(백색도)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꾸리 부위의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전단력은 채끝, 등심, 홍두깨 부위에서는 원산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꾸리부위에서는 한우고기 $1^+$, 1 등급육이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전단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보다 4개 부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가열감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보다 C18:0 및 C18:3n3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C16:1n7 및 C18:1n9 지방산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특히 C18:2n6 지방산은 한우고기 $1^+$ 등급육이 4개 부위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포화지방산(SFA)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에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한편 n-3 계열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아미노산 조성에서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lysine, histidine 함량은 채끝, 등심, 꾸리 및 홍두깨 부위 모두에서 뉴질랜드산 흑우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Cystein, arginine과 proline 함량도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채끝과 등심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무기물 조성 비교에서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보다 채끝부위의 Ca 함량과 홍두깨 부위의 Zn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던 반면에 한우고기 1 등급육은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채끝과 꾸리 부위에서 Fe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한우육과 뉴질랜드산 수입흑우육은 부위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한우육은 근내지방과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고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흑우육은 한우육보다 유통경로상 냉장숙성기간이 더 길었으나 전단력 수치를 비교한 결과 등심, 채끝등심, 홍두깨 부위의 연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우고기는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근내지방함량이 높고 특히 단일불포화지방산함량이 높았으며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함량이 높았다. 또한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수입육 유통경로상 한우육보다 숙성기간이 더 길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단력 분석결과 등심, 채끝등심 및 홍두깨 부위의 연도에 있어서 한우육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열감량이 적어 한우육이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숙성효과 및 육질이 우수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meat color,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 cooking loss (CL), fatty acids composition, amino acid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of Hanwoo beef (QG $1^+$, 1) and imported New Zealand black Angus beef with loin, strip loin, eye of round and chuck tender.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s were higher in the strip loin, loin and chuck tender of Hanwoo beef than New Zealand beef (p<0.05). Hanwoo QG 1 beef had higher Fe contents in the strip loin (30.52 mg/100g) and chuck tender (40.70 mg/100g) (p<0.05). Hanwoo beef had lower cooking loss and than those of New Zealand beef, whereas New Zealand beef had higher protein and amino acids contents (%) than their counterpar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BS between two origin samples except the chuck Hanwoo beef had significantly lower saturated fatty acids (SFA) and higher mono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s than New Zealand beef (p<0.05). WBS values indicated that Hanwoo and New Zealand beef had similar tenderness in the loin, striploin and eye of round due to the longer aging periods of the New Zealand beef than Hanwoo beef during the dis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