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파수 감별진단을 위한 질내 fetal fibronectin 측정

        황윤영,이재억,박문일,이재규,류기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5

        양막의 조기파수는 조산이나 융모양막염 등을 초래하는 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조기파수를 정확하고 빨리 검출할 수 있는 방법 중 fetal fibronectin을 사용할 때 그것의 가치를 검정해 보기 위하여 1997년 1월부터 1997년 7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한 질분비물을 호소하는 임신 20주에서 37주 사이의 임산부 25명을 대상으로 ROM- check 막면역학적인 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정성분석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검사 대상 중 8명에서 fibronectin 검사상 양성 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에는 양수의 pooling이 보였던 모든 임산부(7명)가 포함되어 있으며, fibronectin의 양수파수의 예측도는 민감도 100%, 특이도 94.4%로 나타났다. 2. 대상 임산부 중 13명이 조산하였으며, 이들 중 에는 fibronectin 양성으로 나왔던 8명 모두 포함되어 있다. 3. Fibronectin 양성으로 나타났던 군에서 검사시기 부터 분만 시기까지의 기간이 음성군에 비해 유의하 게 짧았고, 1분 Apgar 점수와 5분 Apgar 점수도 유 의하게 낮았다. 또한 신생아 체중의 비교시에는 통 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양성군에서 상당히 저 체중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자궁경부 질 분비물에서 fetal fi bronectin의 검출은 양수파수의 조기진단 및 조산을 예측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subjects were 25 pregnant women with vaginal discharge between 20 weeks and 37 weeks gestational age, who visited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7 to July 1997. The efficacy of fetal fibronectin in vaginal discharge for the detection of rupture of amniotic membrane was compared with vaginal pooling. At our studies, as a predictor of rupture of membrane, the sensitivity and the specificity of the fetal fibronectin were 100% and 94.4%, respectively. Also,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ly shorter interval from examination to delivery and a significantly lower 1-minute and 5-minutes Apgar score respectively in women with fibronectin positive-results group than the negative-results group. The presence of fetal fibronectin in vaginal discharge of patients had a useful value as a detection test for premature rupture of amniotic membrane and preterm birth.

      • KCI등재

        습관성 유산 및 절박유산 환자에서 Dydrogesterone (Duphastone) 투여 후 혈청 제 임신표지물질의 변화

        황윤영,이재억,박문일,정성노,고승희,신동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6

        1996년 6월부터 1997년 5월까지 본 대학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환자 중, 임신 초기에 질출혈이 있는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이 중 77명은 연구군으로서 매일 Dydrogesterone(Duphastone , 중외제약) 20 mg를 경구 투여하였고, 53명은 대조군으로 안정요법만 시행하며 관찰하였다. 연구군과 대조군 환자의 혈중 beta-hCG 및 progesterone을 각 임신 주수(5주∼12주)에서 48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향후 임신예후를 추적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 군간의 환자 연령, 임신력 및 자연 유산 횟수에서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2. 대조군에서 혈중 beta-hCG의 증가(%)는, 임신 6주 (9예), 7주(13예), 8주(14예), 9주(10예), 10주(7예) 및 12 주(5예)에서 각각 -2%, 29%, 10%, 27%, 16% 및 20%이 었다. 혈중 progesterone의 증가(%)는, 임신 6주, 7주, 8 주, 9주, 10주 및 12주에서 각각 -33%, 2.1%, -14%, 7.4 %, -12% 및 -20%이었다. 3. 연구군에서 혈중 beta-hCG의 증가(%)는, 임신 5주 (8예), 6주(22예), 7(28예), 8주(35예), 9주(23예), 10주(13 예) 및 11주(16예)에서 각각 38%, 18%, 21%, 1.7%, -7%. 0.7% 및 -10%이었다. 혈중 progesterone의 증가(%)는, 임신 5주, 6주, 7주, 8주, 9주, 10주 및 11주에서 각각 18%, -7%, -4%, 0.4%, 0.2%, 6% 및 10%이었다. 4. 임신 예후에서는, 연구군에서의 유산율과 조산율이 대조군보다 다소 낮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로서 초기 임신에서 혈중 hCG의 안정적인 증가가 프로게스테론제제의 경구 투여의 결과라고 이야기하기에는 비약이 있으나, 황체에서 형성되는 프로게스테론이 임신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임신 8주 전까지는, 적어도 습관성 유산력이 있는 절박유산 환자에서는 프로게스테론제제의 사용을 고려해 볼 만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s of Dydrogesterone (Duphastone ) on serum changes of hCG and progesterone and the prognosis of the pregnancies in patients with recurrent and threatened abortion. Material and Method: From June, 1996 to May, 1997, one hundred and thirty patients of threatened abortion who had the history of repeated spontaneous abortion (>2 times) were chosen for study. Tota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study group (N=77) who had received Dydrogesterone and the control group (N=53). Dydrogesterone were administered orally, 20 mg/day. The serum hCG and progesterone were serially checked over 48 hours interval, every weeks during her stay in the hospital. The outcomes of pregnancy were also follow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number of gravity and prior spontaneous abortion between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ntrol group, the 48 hours-increament (%) of the serum hCG at 6th, 7th, 8th, 9th, 10th, and 12th gestational weeks were -2%, 29%, 10%, 27%, 16%, and 20% respectively. The 48 hours-increament (%) of the serum progesterone in the control group at 6th, 7th, 8th, 9th, 10th, and 12th gestational weeks were -33%, 2.1%, -14%, 7.4%, -12%, and -20% respectively. In study group, the 48 hours-increament of hCG at 5th, 6th, 7th, 8th, 9th, 10th, and 11th gestational weeks were 38%, 18%, 21%, 1.7%, -7%, 0.7%, and -10% respectively. The 48 hours-increament of serum progesterone at 5th, 6th, 7th, 8th, 9th, 10th, and 11th gestational weeks were 18%, -7%, -4%, 0.4%, 0.2%, 6% and 10% respectively. The preterm birth and abortion rate were somewhat lower in study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re were stable increament (around 20%) of serum hCG after admistration of oral dydrogesterone in the study group until 7th gestational weeks. These data suggest that oral dydrogesterone would be useful for increament of serum hCG especially early gestational age in patients with threatened and recurrent abortion.

      • 지능적 웹 서비스 발견 시스템에서의 질의 처리

        황윤영,유정연,유소연,이규철 한국정보과학회 2004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0 No.2

        우리는 "시맨틱 웹 서비스를 위한 Topic MAps 기반의 온톨로지 언어" [7]에서 시맨틱 웹 서비스 발견 기술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온톨로지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지능적 웹 서비스 발견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온톨로지의 구축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지능적 웹 서비스 발견을 위해 사용자의 질의가 효율적으로 처리 가능하도록 질의 언어를 설계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과 효과작인 검색을 위한 질의 연산과정을 설계하고, 지능적 웹 서비스 발견 시스템인 TM-S(Topic Maps for Services)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TM-S의 질의 스키마와 질의 대수 및 질의 처리 알고리즘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 사람 태반조직 Peroxidase의 부분정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황윤영,차인돈,이희성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1987 中央醫大誌 Vol.12 No.1

        The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peroxidase of human term placenta was made in this study. The activity of peroxidase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Pu‥tter(1974).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ctivity of peroxidase in cytosolic fraction of human term placenta was found to be 31.09 units per g wet tissue. 2. The peroxidase from human term placenta was purified about 22-fold by ammonium sulface precopitation and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3. The most rapidly oxidized substrate was o-dianisidine. Benzidine, ascordic acid and guaiacol were oxidized with decreasing order of rats, while oxidation of dihydrooxyphenols and trihydrooxyphenol were very slow. 4. The partially purified peroxidase was strongly inhibited by i.omM of sulfhydryl reagents and cyanide. 5. The optimal tempreature for enzyme astivity was 40℃ and the optimal pH was 5.5. 6. The half life of the enzyme astivity was 30 min. at 60℃. 7. the Km values for hydrogen peroxid and guaiacol of peroxidase were 0.50mM and 0.44mM, respectively. 8. The purified enzyme was a typical hemoprotein.

      • KCI등재

        생리주기에 따른 자궁내막세포에서의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 β2의 발현 : 폐경기 내막과 임신중 탈락막세포와의 비교 In Human Endometrium through the Menstrual Cycle

        황윤영,황정혜,장세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9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expression of TGF- βS(TGF-β1 and TGF-β2) in the human proliferative endometrium, secretory endometrium, and the decidua during early pregnancy. And we also have studied the endometrial expression of TGF-β1 and TGF-β2 in the menopause and compared that to the expression in the endometrium and decidua. Methods : We have studied the expression of TGF-β1 and TGF-β2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in the proliferative endometrium, secretory endometrium, decidua during early pregnancy, and menopausal endometrium. Results : In the epithelial cells, TGF-β1 was moderately expressed in the secretory phase and was weakly expressed in the proliferative phase and menopause. In the stromal cells, TGF-β1 was not expressed in the whole menstrual phase and menopause. And in the epithelial cells, TGF-β2 was moderately expressed in the proliferative phase, secretory phase, and menopause. In the stromal cells, TGF-β2 was not expressed in the whole menstrual phase and menopause. Especially, TGF-β1 and TGF-β2 were markedly expressed in the decidua during early pregnancy compared to the expression in the proliferative, secretory endometrium, and menopausal endometrium.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GF-β1 may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epithelial cells during the secretory phase, not stromal cells. And TGF-β1 and TGF-β2 may have a paracrine and autocrine role in the decidua/trophoblast interaction during pregnancy , especially in the normal pregnancy.

      • KCI등재

        다낭성 난소의 Body Mass Index에 따른 초음파소견 및 내분비학적 성상

        황윤영,문형,유중배,노재숙,박문일,조수현,황정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0

        1994년 2월부터 1996년 5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했던 환자 가운데 진단적 초음파 검사상 일측 혹은 양측 난소에 8mm이하의 소낭포가 10개 이상 보였던 다낭성 난소 86예를 대상군으로 정하고 정상 월경주기를 갖는 여성에서 초음파 검사상 다낭성 난소가 아닌 경우 12예를 대조군으로 정하였으며, 대상군의 경우 BMI 25를 기준으로 비만 환자의 정상 체중을 가진 환자군으로 분류하여 초음파상 관찰되는 난소의 형태학적 소견과 임상 증상 및 내분비학적 성상 등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다. 대상군 86예중 BMI 25이하인 group 1이 67예(78%)이었고 25를 초과하는 group 2가 19예(22%)로 대부분이 정상 체중군에 속하였다. 희발월경이나 무월경 등 월경주기에 문제가 있는 환자가 group 1이 54예/67예(81%), group 2에서 16예/19예(84%)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양 군간에 빈도 차이는 없었 다. 불임이나 습관성 자연유산 등 가임력에 문제가 있는 환자는 group 2에서 10예(53%)로 group 1의 24예(36%)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다모증은 전체 환자군중 4예로 이 중 3예가 group 2에 속하였다(p=0.03). 질식 초음파검사상 난소의 형태학적 소견에 따른 비교는 양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성선자 극호르몬(LH와 FSH)의 농도는 양 군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LH/FSH비는 유의한 차이로 group 1 에서 높게 나타났고 SHBG은 group 2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FAI는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group 2 에서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대조군의 호르몬 수치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정한 각 호르몬들의 cut-off값은 각각 LH 5.8 IU/L, LH/FSH비 1.2, E1/E2비 2.4, T 0.4 ng/mL와 FAI 2.9이었으며, FAI(group 2>>group 1)를 제외한 다른 호르몬의 증가 빈도는 양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비만한 PCO환자는 비만으로 인한 S-HBG의 합성 저하에 따른 free androgen 증가가 LH나 LH/FSH비의 이상을 가져오게 되고 정상 체중의 PCO환자는 LH/FSH비의 일차적인 이상이 an- drogen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추측된다. Women with Polycystic ovaries(PCO) are often overweight and obesity has been regarded as a possibl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CO.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the basic hormonal concentrations and sonographic features in obese and non-obese patients with PCO. We prospectively analysed eighty-six patiens with PCO on transvaginal sonography and twelve control women with regular menstrual cycle and ovarian morphology from Feb. 1994 to May 1996. Eighty-six women with PCO, of whom sixty-seven women were non -obese with body mass index(BMI) of ≤25(=group 1) and nineteen were obese with BMI >25(=group 2). Sonographic morphology of ovary was evaluated in PCO. Basal concent- rations of LH, FSH, estrone, estradiol, testosterone(T), prolactin, TSH and sex hormone- binding globulin(SHBG) in serum were measured. Although sonographic morphology of ovar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1 and group 2, number of small follicles was tend to increase in group 2. The LH/ FSH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1 compared to group 2, but SHBG was higher in group 2. Conclusively, in obese women, obesity causes an increase in free androgen through the decrease in SHBG, which might cause a disturbance in gonadotropin secretion leading to the typical changes of polycystic ovary. In non-obese women, relative increase of LH/FSH ratio stimulates excessive production of androgen.

      • KCI등재

        자궁경부무력증 환자에서 임신중 실시한 복식자궁경협부 원주봉합술 후의 예후에 관한 연구

        황윤영,이재억,박문일,최중섭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9

        Objective :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TCIC) may increase the fetal salvage rate and pregnancy outcome in selected women when poor obstetric outcome is related to previously failed transvaginal cervical cerclage and an anatomically defective cervix. Our purpose was to evaluate the outcomes after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 during pregnancy.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review was done from patients who had been received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 during pregnancy at Hany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October, 1989 to April 1997. The fetal salvage rate before and after post-conceptional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 were compared and analysed. Results : The seventy-eight patients had 95 successful pregnancies out of a total of 97. Thus the fetal salvage rate of TCIC during in pregnancy was 97.9 %. Of 78 patients, nineteen patients had the second succesful pregnancies and repeat cesarean deliveries after TCIC. Condlusion : We conclude that the transabdominal cervicoisthmic cerclage during pregnancy offers a high fetal salvage rate with a minimal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extremely poor obstertric histories as a result of cervical incompetence, where vaginal cerclage is not warra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