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hase-Shift를 이용한 복공진형 고주파 인버터의 특성에 관한 연구

        조규판,김종해,남승식,김동희,노채균,배영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0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논문은 고주파 유도가열용 전원에 사용되는 인버터에 WVF 기능을 부여한 풀-브릿지형 복공진 고주파 인버터회로를 제시하였다. 제안한 인버터는 직렬공진회로의 전류를 병렬공진회로의 주입전류로 사용하기 때문에 스위치의 전류 분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논문은 Phase-shift를 이용하여 스위칭 주파수와는 무관한 독립 출력 제어를 행하였다. 회로의 해석은 정규화 파라메타를 도입하여 범용성 있게 기술하였고, 인버터 특성을 스위칭 주파수, Phase-shift의 위상차각($\phi$) 변화와 제 파라메타에 따라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이론해석에서 얻은 특성값을 기초로 한 회로 설계 기법의 일 예도 제시하였다. 첨가해서, 실험을 통해 이론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유도가열 응용, OC-OC 컨버터 등의 전원 시스템에 웅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 full bridge type double resonant high frequency resonant inverter to give VVVF function in the inverter used as power source of induction heating at high frequency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is proposed inverter can reduce distribution of the switching current because of using the current of serial resonant circuit to the input current of the parallel one and this paper also realize the output control of independence irrespective of the switching frequency using Phase-shift. The analysis of the proposed circuit is generally described by using the normalized parameters. Also, the principle of basic operating and the its characteristics are estimated by the parameters, such as switching frequency, the variation of phase angle ($\phi$) of Phase-shift.

      • KCI등재

        고등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학습양식 및 성패귀인양식

        조규판,장은영 안암교육학회 2009 한국교육학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attribution styles with their levels of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387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learning styles of independent, competitive, collaborative and participant then lower level students. Second,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their success to effort, whereas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their failure to effort, task difficulty then lower level students. Students with lower level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their failure to others. 본 연구는 사회비교경향성의 동기적 측면에서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고등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학습양식과 귀인양식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울산과 부산에 소재한 자립형 사립고, 일반계고, 전문계고 1, 2학년 학생 387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비교경향성 수준에 따른 학습양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독립형, 경쟁형, 협동형, 참여형의 학습양식을 선호하였다. 둘째, 사회비교경향성 수준에 따른 귀인양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공상황에서는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노력귀인을 하였다. 실패상황에서는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노력 및 과제 곤란도에 귀인을 하였으며, 사회비교경향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타인에 귀인하였다.

      • KCI등재

        Half-Bridge 직렬 공진형 인버터를 단위인버터로 한 시분할방식 고주파 인버터의 특성해석에 관한 연구

        조규판,원재선,서철식,배영호,김동희,노채균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1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5 No.1

        본 논문은 고주파 유도가열용 전원에 사용되는 Half-Bridge 직렬 공진형 인버터를 단위인버터로 한 고주파 인버터 회로를 제시하였다. 제안한 인버터의 구동신호 제어기법으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통신에서 신호전송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응용한 시분할 구동법을 사용하였다. 회로의 해석은 정규화 파라메타를 도입하여 범용성 있게 기술하였고, 인버터 특성은 스위칭 주파수와 제 파라메타에 따라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이론해석에서 얻은 특성값을 기초로 한 회로 설계 기법의 일 예도 제시하였다. 범용 시뮬레이션 툴인 Pspice를 통해 이론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유도가열 응용, DC-DC 컨버터 등의 전원 시스템에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 high frequency resonant inverter consisting of iliree unit Half-Bridge serial resommt inverter used as power source of induction heatmg at high frequency is presented in this paper. As a output [Dwer control strategy, sequencial time-sharing gate contml methcd is applied. This methcd is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which is broadly used with digital and analog signals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1be analysis of the proposed circuit is generally described by using the normalized pararmenters. Also, the principle of basic operating and the its characteristics are estimated by the parameters such as switching frequency, load resistance. Also, according to the calculated characteristics value, a method of the circuit design and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inverter is proposed. This paper proves the validity of theoretical analysis through the Pspice. This proposed inverter show that it can be practically used in future as power source system for induction heating application, DC-DC converter etc. r etc.

      • KCI등재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조직에 따른 초ㆍ중등학생들의 수학불안 및 수학자아개념, 수학태도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조규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조직에 따른 수학불안, 수학자아개념, 수학태도의 차이와, 또 수학불안, 수학자아개념, 수학태도와 수학성취도 간의 관계, 그리고 이들 변인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부산지역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2개교와 중학교 1개교 학생 1,140명을 대상으로 수학불안, 수학자아개념, 수학태도, 그리고 수학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조직에 따라 학생들의 수학불안, 수학자아개념, 수학태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으로 수학교과의 교육내용이 변화함에 따라 수학불안은 점점 증가하였고, 수학자아개념과 수학태도는 감소하였다. 이들 변인들 간의 상관의 정도도 수학교과의 교육내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수학교과의 교육내용별 변인 간의 상관을 기초로 하여, 이들 변인들의 수학성취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주로 수학불안과 수학태도가, 중학교에서는 수학자아개념이 수학성취도를 설명해 주는 주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조직의 계열성이나 수직적 연계성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제기하였으며, 현장 교사에게는 단순하게 수학교과 내용만 전달하는 것 보다는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조직과 관련해서 수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들의 심리적 특성들을 고려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mathematics anxiety, mathematics self-con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and mathematics achievement, and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by the content organiza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The samples for this study were 1,14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mathematics anxiety, mathematics self-con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by the content organiza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The mathematics anxiety was increased, but mathematics self-con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were decreased as the content organiza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changed from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3th grade in middle school. The mathematics anxiety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athematics achievement, but mathematics self-con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mathematics achievement regardless of the content organiza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However, the degre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se variables and mathematics achievement were different by the content organiza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It was also found that mathematics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effected on mathematics achieve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mathematics self-conception effected on mathematics achieve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quence and vertical articulation of the content organiza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mathematics curriculum is developing. It also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consider students psychological aspects like mathematics anxiety, mathematics self-con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 their mathematics classes.

      • KCI등재후보

        청소년용 배려척도 개발 및 타당도 연구

        조규판,주희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Caring Test for juvenile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ree sub-factors of caring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which are cognitive domain, emotional domain, and behavioral domain. 210 items that represented the three fac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45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original questionnaire based on review of two professionals. 281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or the stud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three factors with 20 items that are 6 items for the cognitive domain, 9 items for the emotional domain, and 5 items for the behavioral domain.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est,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three factors and total score of the test was computed. Each factor was highly correlated with total score of the test. The caring test also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Therefor, the Caring Test ha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to measure caring for juvenile.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용 배려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배려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행동적 영역을 설정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하여 구성요인에 부합되는 210문항을 제작하였다. 내용이 유사한 문항을 수정하거나 삭제하여 149문항을 1차 예비문항으로 선정한 다음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인지적 영역 15문항, 정의적 영역 15문항, 행동적 영역 15문항으로 총 45문항을 선정하였다. 이들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281명의 중학생에게 실시하여 문항과 구성요인간의 상관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적 영역 6문항, 정서적 영역 9문항, 행동적 영역 5문항의 3개요인 20개 문항이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배려척도는 세 구성요인과 척도의 총점간의 상관이 높아 구인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문항내적합치도가 높아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배려척도는 청소년들의 배려를 측정하는 도구로써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시분할 방식 고주파 공진 인버터의 특성해석

        조규판,원재선,김동희,노채균,배영호 영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00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8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high frequency resonant inverter of the time sharing type which has the effects that the duty cycle of each elements and the thermal loss can be reduce. The analysis of the proposed circuit is described generally by using the normalized parameters. Also, the principle of basic ope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rive were estimated by the switching frequency and the load parameters. And we got the data for designing by the characteristic values obtained at the estimate of characteristic. At the same time, the example of the design's method was proposed and the waveforms of simulation were compared with theoretical waveforms. It is certain that the proposed circuit will be used and expanded in the high frequency power supplies like induction heating systems.

      • KCI등재후보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을 이용한 미국과 한국의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이 수학성적에 미치는 효과 비교

        조규판 대한수학교육학회 2004 수학교육학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mathematics activi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and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using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database. Since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where performance was among the highest and the United States is one of countries where performance was among the middle in mathematics, and many previous resear- chers reported that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and class activities are factors that affect mathematics achievement,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two countries would be very important to analyze how factors are affected by country difference.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constitutes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and mathematics activities in the TIMSS database? (2) How do these two variables,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and mathematics activities, affect mathematics achievement differ- entl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and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s stronger for Korea than for the United States; however no country difference is found between the mathematics activities and mathematics achievement. According to this study high mathematics achievement is expected when students'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is positively high. 이 연구의 목적은 제3차 국제 수학 과학 연구(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 ence Study: TIMSS) database를 이용하여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성적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 그 결과를 미국과 한국간에 비교하는데 있다. TIMSS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 학생들의 수학성적은 연구에 참가한 약 45개국 중에서 거의 최상위권이었지만 미국 학생들의 수학성적은 중위권이었다. 많은 선행연구에 따르면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은 학생들의 수학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므로 이들 두 요인들이 이들 두 나라에서 어 떻게 달리 학생들의 수학성적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정해봄으로써 두 나라간의 수학성적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한 주요 연구문제는 첫째,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들은 무엇인가와 둘째,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이 미국과 한국에서 어떻게 달리 수학성적에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의 수학태도와 수학활동은 수학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수학활동과 수학성적간의 관계는 두 나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수학태도와 수학성적 간의 관계는 한국 학생들이 미국학생들보다 훨씬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생들의 수학태도가 긍정적으로 높을 때 높은 수학성적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hase-Shift를 이용한 시분할형 부하병렬 고주파 인버터의 특성해석에 관한 연구

        조규판,원재선,김동희,노채균,원규식,심광열 영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00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8 No.2

        A half bridge time sharing type load parallel high frequency resonant inverter to give VVVF function in the inverter used as power source of induction heating at high frequency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is proposed inverter can reduce distribution of the switching current because of using the current of serial resonant circuit to the input current of the parallel one and this paper also realize the output control of independence irrespective of the switching frequency using Phase-Shift. The analysis of the proposed circuit is generally described by using the normalized parameters. Also, the principle of basic operation and the its characteristics are estimated by the parameters, such as switching frequency, the variation of phase angle(φ) of Phase-Shift. It is certain that the proposed circuit will be used and expanded in the high frequency power supplies like induction heating system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지연행동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

        조규판,장은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y their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crastination. Seven hundred five students of 2th, 3th, 4th grade from seven universities in Busan or Ul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ategorized high, middle, and low by their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crastination,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 the mean difference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y each variable level.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rist,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ere more likely to do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n lower level students. Second,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more likely to do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n lower level students. Third,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procrastination were less likely to do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n lower level students. In conclusion, to facilitate university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t's necessary to enhance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reduce the procrastination. 본 연구는 개인차로서 진로탐색행동의 속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대학생의 진로결정자율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지연행동의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과 울산에 소재한 7개 대학 2, 3, 4학년 학생 705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율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지연행동 및 진로탐색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진로결정 자율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지연행동의 수준별 진로탐색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인들 각각을 상, 중, 하 수준으로 범주화하였고 수준에 따른 차이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 자율성 수준에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 자율성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비해 진로탐색행동을 많이 하였다. 둘째, 자기주도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탐색행동을많이 하였다. 셋째, 지연행동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연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탐색행동을 적게 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진로탐색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진로결정 자율성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지연행동을 감소시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효율적인 입학사정관제 운영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방안

        조규판,오성배,주희진 한국인격교육학회 2012 인격교육 Vol.6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the problems of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the factors that in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improve those problems and factors to improve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or this purpose, the differences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consulting on preparing document between students selected by admission officer and students selected by other ways are analyzed. As a result, students selected by admission officer showed lower GPA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but higher attitude in class, personal relations, class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Students selected by leadership screening process among students selected by admission officer took more private lessons than others. Students selected by alternative school screening process among students selected by admission officer spent more time and money to get consulting on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nd documented evidence of prize. There are no differences in private education expenses between students selected by admission officer and students selected by other way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mong students selected by admission officer with a different screening process. 이 연구는 입학사정관제 도입의 취지를 살리고 발전시키기 위해 입학사정관제가 지니는 문제점과 사교육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밝혀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입학사정관제 전형과 일반 전형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사교육비, 세부 전형별 사교육, 서류준비를 위한 컨설팅 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입학사정관제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학점의 평균은 낮았으나, 수업태도, 대인관계, 수업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사교육 비교․분석에서는 일반 전형 학생의 사교육비 비용이 높았다. 입학사정관제 세부 전형별 학생의 사교육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리더십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다른 전형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전형별 제출 서류 준비를 위한 컨설팅의 차이 결과는 자기소개서, 수상증빙자료 컨설팅 여부, 비용에서 대안학교 전형이 컨설팅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입학사정관제 전형이 사교육비를 경감하거나 부추긴다고 단언할 수 없다. 그러나 입학사정관제 세부 전형별로는 사교육의 경험과 비용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입학사정관제 세부 전형의 전형 유형 신설, 통폐합, 인원 조정 과정에 이러한 결과의 지속적인 반영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