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편집형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뇌의 구조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 : 뇌자기공명영상소견, 신경인지기능 및 정신증상간의 상관관계

        강철민,이영호,영조,이정흠,김수지,박현진,Kang, Cheol-Min,Lee, Young-Ho,Jung, Young-Jo,Lee, Jung-Heum,Kim, Su-Ji,Park, Hyun-Jin 대한수면의학회 1998 수면·정신생리 Vol.5 No.1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에서 뇌의 해부학적 변화가 있는가를 관찰하고 이런 변화와 인지기능, 신경학적변화, 임상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하였다. 방법 : 편집형 정신분열병 환자군 20명(남15, 여5)과 성별, 연령을 조합한 정상대조군 23명(남15, 여8)을 대상으로하여 뇌자기공명촬영의 면적측정을 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신경심리학적검사, 연성신경학적 증후, 그리고 임상증상을 평가하여 뇌자기 공명 촬영 측정치와 상관관계를 보았다. 결과 : 1)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든 뇌설계와 기저핵의 크기가 유의하게 커져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측 전두엽이 작아져 있는 경향을 보였고(p=0.057), 좌측 측두엽의 크기가 환자군에서 작아져 있는 경향을 보였다(p=0.089). 2) 뇌실의 크기 증가가 이전의 입원 횟수의 증가와 정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이외에 다른 구조물에 대한 측정치와 임상적 요인들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위스콘신 카드 분류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구조물은 좌측 측두엽과 좌측 피각이었다. 이중 좌측 측두엽의 크기와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의 보속 오류검사 점수사이에는 정상관관계를 보였고(r=0.5636, p<0.05), 피각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0.5733, p<0.01). 대조군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구조물 중 웩슬러 지능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조물은 하나도 없었고, 좌측 편도(r=0.5727, p<0.05)와 좌측 피각(r=0.4686, p<0.05) 이 각각 언어성 지능 점수와 정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벤톤 신경심리검사의 유의한 상관을 보여 주었던 구조물은 우측 전두엽과 좌측 편도이었다. 이외에 좌우측 측두엽은 촉각형태 지각 검사 점수(각각 r=0.4998, p<0.05; r=0.5018, p<0.05)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우측 미상핵(각각 r=0.4611, p<0.05; r=0.4726, p<0.05) 및 좌측 피각(r=0.5370, p<0.05)은 직선지남력 검사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뇌실 측정치는 어떠한 신경심리 검사와도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 우측 전두엽의 크기가 작을수록 연성 신경학적 징후 총점수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r=-0.6174, p<0.01), 복합적 연성 신경학적 징후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조물은 좌우측 편도(r=-0.4548, p<0.05; r=-0.4597, p<0.05)와 우측 담창구(r=- 0.4646, p<0.05) 이었다. 뇌실 측정치는 연성 신경학적 징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5) 우측 측두엽은 간이정신상태 검사상의 양성 증상 척도 점수와 역 상관관계를(r=-0.4483, p<0.05) 보였고 좌측 해마는 양성 및 음성 증상척도의 양성 증상점수(r=0.5028, p<0.05)와 일반증상점수(r= 0.5696, p<0.01) 및 간이 정신상태 검사의 총점수(r=0.6050, p<0.01)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외에 우측 측뇌실의 측두각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 상의 양성증상과 유의한 정상관관계를(r=0.4729, p<0.05) 를 보였다. 기저핵중에서는 우측 담창구가 양성 및 음성 증상 척도의 음성 증상 점수(r=-0.6062, p<0.01), 간이 정신상태 검사상의 음성 증상 척도(r=-0.5016, p<0.05)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측 담창구가 간이 정신상태 검사상의 음성 증상 척도 (r=-0.4683, p<0.05)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뇌의 구조 변화는 임상적 경과에 따른 변화인 뇌실 확장 및 뇌의 신경발달학적 이상에 기인하는 기저핵의 증가, 우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ole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of the brain in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Methods : The authors measured the regions of interest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in 20 patients with paranoid schizophrenia(15 men and 5 women) and 23 control subjects(15 men and 8 women). We also assessed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with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the Bent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and the Weschler IQ test-Korean version, soft neurologic signs, and psychiatric symptoms in the patient group. Results : In the patient group, all ventricles and basal ganglia including caudate nucleus and globus pallidus were significantly enlarge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values of right frontal lobe and left temporal lobe, there was a tendency of decrease in the values of right frontal lobe and left temporal lob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s of ventricles and the frequency of previous hospitaliz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ther values of regions of interest and clinical data. The value of the right frontal lob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oft neurologic signs, which is suggestive of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 of frontal lobe and the scores of the various subscales of Benton Neuropsychiatric Inventory. In contrast, the value of left amygdala and puta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verbal IQ on the Weschler IQ test. Structural changes of the temporal lobe areas were related with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 scores on PANSS, while those of the basal ganglia were related with the negative symptom scor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brain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the dual process, which is suggestive that the enlarged ventricle show the neurodegenerative process, while enlarged basal ganglia, and shrinked right frontal and left temporal lobe show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Among these changes, structural changes of the frontal lobe related with various neuropsychological deficits, while those of left temporal lobe related with language abnormality. Relative to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al changes and psychiatric symptoms, structural changes of the temporal lobe areas were related with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s, while those of the basal ganglia were related with the negative symptoms.

      • KCI등재

        태아발육지연 유무에 따른 자간전증 임신태반에서의 Telomerase 활성도

        영내(Young Nae Jung),김세광(Sei Kwang Kim),현철(Hyun Cheol Chung),박규현(Kyu Hyun Park),김창한(Chang Han Kim),조현(Hyun Jung Cho),박용원(Yong Won Park),조재성(Jae Sung Cho),김인규(In Kyu Kim),양영호(Young Ho Yang),김재욱(Jae W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목적: 임신 제 3기 인체 태반에서 telomerase 활성도(TA) 발현 여부를 확인하고, 자간전증임신 태반에서 태아발육지연 유무에 따른 TA 발현 빈도를 비교 분석한다. 실험방법: 임신 29∼41주 사이의 태반 조직에서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TRAP) 분석방법에 의해 TA를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을 크게 세군으로 나누어 1군은 자간전증과 태아발육지연이 없었던 군 21명, 2군은 태아발육지연이 없는 중증 자간전증 9명, 3군은 중증 자간전증과 태아발육지연이 있었던 16명을 대상으로 TA 발현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군에서는 16/21(76.1%), 2군은 3/9(33.3%), 3군에서는 4/16(25%)의 빈도로 TA가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1군에서 2군과 3군에 비해 TA발현이 의미 있게 높았으며(p=0.003), 2군 및 3군 각각에 비해서도 높은 TA 발현 빈도를 보였다(p<0.05). 그러나 2군과 3군 사이에서의 TA의 발현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본 연구로 임신 제 3기 태반에서도 TA의 발현이 확인되었고, 중증 자간전증 및 태아발육지연을 동반한 중증 자간전증 태반에서 TA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중증 자간전증 및 태아발육지연의 발생은 태반 노화나 apoptosis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Objectives: To analyze telomerase activity(TA) in human placenta tissues and to compare TA in preeclampsia with or without fetal growth restriction(FGR) Methods: Fourty-six placenta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pregnant women between 29 and 41 weeks' gestation. TA of each specimen was analyzed including 21 specimens without either preeclampsia or FGR(Group 1), 9 specimens with preeclampsia but without FGR(Group 2), and 16 specimens with both preeclampsia and FGR(Group 3). TA was analysed by radioisotope PCR based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TRAP) assay. TA was calculated and translated into arbitrary units by computer-assisted densitometry with the control of TA in 293 cell lines. Results: TA was expressed in 16 of 21(76.1%) in group 1, and in 3 of 9(33.3%) in group 2. In contrast, only 4 patients(25%) in group 3 expressed TA. Thus, TA was expressed significantly more often in group 1 than in group 2 and group 3(p=0.003). However, compared with group 2, expression of telomerase activity in group 3 was not reduced significantly(p>0.05). Conclusion: TA was minimal in placenta from preeclamptic women with and without FGR, suggesting placental senescence and apoptosis may be associated with FGR and severe preeclampsia.

      • KCI등재
      • 2010 남아공 월드컵대비, Eskom사 전력확보 Audit

        금영(Geum-Young Jung),춘식(Choon-Sik Jung),김남준(Nam-June Kim),홍정우(Jung-Woo Hong),함철오(Chul-Ho Ham),김병석(Byung-Suk Kim),신상환(Sang-Hwan Shin)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0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9월

        2010년도 6.11일부터 7.11일까지 남아공에서 개최된 월드컵 축구대회의 성공적 수행을 위하여 전력공급을 맡고있는 Eskom사에서 지난 4.2일 한국전력공사에 발전에서부터 배전에 이르기까지 전력공급 준비상황 전반에 대하여 Audit를 요청함에 따라 동사에 제안서를 제출하고 계약을 체결후 4.24일부터 5.2일까지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 위치한 Eskom 본사 및 사업소, 경기장 등 현장방문 및 분야별 담당자 인터뷰, 서류심사등을 통해 발전, 송전, 배전분야 및 통합 위기관리 대응방안 등에 대한 준비상황을 점검하였고 아울러 인원배치계획, 보안 및 전력수요관리 적정성 등 월드컵 대비 전력확보 준비상황 전반에 대하여 Audit하였다. 2002년 완벽한 전력 공급을 통하여 한일 월드컵 축구대회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이 있는 한전은 남아공 Eskom사에 월드컵 대비 전력확보의 미흡한 부분 및 시정이 필요한 15건에 대하여 권고함으로서 국제사회에 한전의 기술력 및 위상을 제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여순사건의 제도적 청산과 진실규명의 실효

        정호기 ( Ho Gi J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97

        여순사건은 정부가 수립되고 처음으로 발생했던 대규모 유혈사건이었다. 여순사건에 대한 공식적 평가와 사회적 기억은 오랫동안 부정적이었다. 2000년대 중반에 이르러 여순사건을 비롯하여 다양하게 분출되었던 과거사들이 연대하여 진상규명운동을 전개하면서 제도적 청산의 기반이 형성되었다. 이 글은 여순사건 관련 보고서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청산 과정을 성찰하고, 진실규명의 실효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글은 과거사의 제도적 청산이 보다 효과를 거두기 위해 고려할 지점들과 이에 요구되는 자원들의 효율적 사용을 재고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과거사의 제도적 청산에서 진실규명은 가장 기본이 되는데, 일반적으로 그 결과는 보고서로 발표되었다. 여순사건은 지역과 사건 등에 따라 수십 개의 보고서들로 진실규명이 되었으나, 단일 보고서는 생산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여순사건의 종합적 성격과 지역 및 개별 사건들의 관계성 등이 충실하게 규명될 수 없었다. 시민사회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결과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이는 과거사의 제도적 청산에서 국가 기구와 시민사회의 인식 차이와 관계 정립의 중요성, 진실규명의 성과를 확산 및 증폭할 기반 구축의 필요성, 시민사회의 기대에 부합하지 못한 제도적 청산의 의미 등이 숙고되어야 실효를 거둘 것임을 보여주었다. Yeosu-Suncheon incident was the large-scale bloodshed that occurred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Formal assessment and social memory on Yeosu- Suncheon incident was negative for a long time. By the mid-2000s, the basis of institutional settlement was formed since mobilizing truth-finding movement of various past history including Yeosu-Suncheon inciden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truth verification, and to reflect o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settlement through the Yeosu-Suncheon incident repor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heck considerations in order to be effective institutional settlement of the past, and the meanings to use resources that are required for more efficiency of institutional settlement of the past. Truth verification is the most basic point in institutional settlement of the past, the results should have been published in the form of a report generally. Dozens of reports on Yeosu-Suncheon incident had produced based on areas and events but there is not unified report. So, the comprehensive nature and relationship of area and the individual case can not be faithfully identified. Civil society reacted negatively to these insufficient results. In this study, more efficient institutional settlement of the past is based on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importance of recognition differences with national institutions and civil society, importance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need to build up to spread outcome of truth verification, the meaning of settlement that did not meet the expectations of civil society.

      • KCI등재

        Effects of Flipped Learning-base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Jung, Ho Gi(정호기),Yang, Ya Ki(양야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간호학과 2학년을 대상으로 플립드 러닝 학습 방법을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에 적용한 후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과 정보 활용 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며,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허락한 실험군 38명과 대조군 3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9월 15일부터 12월 23일까지이다. 플립드 러닝 기반 기본간호학 실습 수업의 효과는 정보 활용 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을 자가 보고로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에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학습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보다 정보 활용 능력(t = 4.65, p < .001) 및 비판적 사고 성향(t = 4.16, p < .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결과, 교수 중심의 강의 방법에서 탈피하여 학습자 스스로 주어진 과제를 학습하도록 설계된 플립드 러닝 학습법은 간호대학생의 학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 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와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후 다양한 교과목에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하여 성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to examine the effects.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pre-and-post-test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methodological comparison study. The participants were 74 (Experimental group=38, Control group=36) nursing students in I 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teach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The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5 and December 23, 2018, through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4.0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t=4.65,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t=4.16, p<.001)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flipped learning applied in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formation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scenarios of various cases and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and to their effectiveness t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