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기 노인의 건강행위,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정영해 ( Young Hae Chung ),조유향 ( Yoo Hyang Cho ) 대한보건협회 2014 대한보건연구 Vol.40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노년 전기와 후기 노인의 건강행위,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파악 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 원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1,339명을 대상으로 교육, 경제수준, 운동, 흡연, 음주, 만성질병, 성별, 거주지역, 동거인, 주관적건강상태, BMI 및 EQ-5D를 건강설문-검진조사가중치를 사례 수에 맞추어 활용하였으며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노년전기군(<75세)과 노년후기군(≥75세)을 카이제곱검정과 t-검정으로 비교하였으며, 후진제거방식 회귀분석으로 두 군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여성노인이 58.4%로 많았으며,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가 3/4으로, 노년후기군은 여성노인과 초졸 이하가 더 많았고, 노년전기군에는 중졸, 고졸, 대졸이상 노인과 배우자와 함께하는 비율이 많았다. 흡연율 13.3%, 음주율 46.9%, 운동실천율 47.8%, 만성질환율 80.3%이었는데, 노년전기군의 경우 음주와 운동실천율 및 비만이 높았고, 노년후기군은 저체중, 우울증상, 자살을 생각해본 적과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유의하게 높았다. 노년전기군의 삶의 질은 노년후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삶의 질을 구성한 각 항목은 모두 노년전기군에서 유의하게 낮아 노년후기군보다 삶의 질이 더 좋았다. 노년전기군의 삶의 질 관련요인은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BMI로 나타났고, 노년후기군에서는 경제수준, 만성질환 유무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질과 관련되었다. 결론 :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노년 전기에는 체중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노년 후기에는 경제상태와 교육수준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후기 노인 모두 만성질관관리, 건강관리, 및 일상생활능력 향상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by the young and the old-old. Methods: Elderly data of 1,339 case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0) were analyzed with SPSS 20.0, using complex survey data analysis methods. Most of the instruments were used according to the original survey while some were re-categorized. Gender, education, living area, income status, factor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quality of life such as exercise, smoking and drinking habits, existence of chronic diseases, perceived health, and BMI were explored for their relationship with quality of lif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5. Results: In this study, 58.4% of the subject were female, and approximately 3/4 had education below elementary school. However, there were more female, mor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fewer living with significant others among the old-old. Underweight,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were more prevalent among the old-old. The old-old perceived their health worse. Quality of life scores were lower for the old-old. In terms of health behaviors, there were more drinking, exercising, and overweight among the young-old.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turned out to be gender, perceived health and BMI among the young-old and education, economic status, and perceived health among the old-old. Conclusion: We recommend differentiated health policy and health programs for the young- and the old-old.

      • KCI등재

        대학생의 발테그 그림검사(WZT)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정영인(Chung Young 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발테그 그림검사 반응특성을 파악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7명에게 발테그 그림검사(Wartegg-Zeichentest: WZT)를 실시하였다. 분석기준은 아우구스트 페터(August Vetter)의 현상학적인 해석을 토대로 평가항목을 재구성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WZT 반응특성은 선의 성질에서 예리한 선과 윤곽을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착상에서는 구체적 패턴이 가장 많았고 이를 세부 분류했을 때 동적인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그림주제의 의미는 부합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WZT의 차이를 살펴보면 터치의 질은 틀1, 2, 5, 6, 7, 8, 합계에서, 음영과 윤곽에서는 틀1, 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림 착상의 분류에서는 틀3, 5, 합계에서 차이를 보였고, 세부적으로는 형식적 패턴, 구체적 패턴, 회화적 패턴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그림 주제의 의미 부합은 틀1, 3, 5, 합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WZT 분석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학생을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difference of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from university students in the Wartegg-Zeichen test(WZT). The WZT was given to the 247 university students in Gyounggi Province. The assessment item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August Vetter’s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 sharp line and contouring of the line characteristics had the highest rate in the drawing responses of the WZT among college students. The pattern to express specific objects had the most frequent rates. In the pattern to express specific objects, most frames showed dynamic expressions. Also, the correspondence of the themes with drawings had the high rate. 2. Gender differences in WZ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ine characteristics of the frames 1, 2, 5, 6, 7, and 8, shading and contouring of the frames 1 and 2. Picture patterns in frames 3, and 5 showed the differenc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parts in formal, specific, and pictorial patterns. Gender difference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spondence of the themes with drawings in the frames of 1, 3, and 5. Thu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tool of analysis in the WZT as well as an useful tool to understand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데이비드 호크니의 <더 큰 그림> 연구-회화의 시각과 시점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정영한 ( Young 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이 논문은 데이비드 호크니의 근작 <더 큰 그림>에 관계된 ‘시점’에 대한 문제를 호크니의 회화론과 동시대적 입장을 통해분석하는 것을 논점으로 한다. 호크니는 회화, 판화, 사진, 무대미술, 일러스트 디자인, 그리고 ‘아이폰 드로잉’이라고 불리는 미디어통신 매체를 활용한 작품 등, 기법의 한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미술가이다. 호크니는 리처드 해밀턴, R.B. 키타이 등과 함께 영국 팝아트의 핵심인물이자 <결합(joiner)> 과 같은 독창적 포토 콜라주 작품을 고안한 사진가이며, 오페라 무대공간을 연출하는 무대미술가로서 활약했고, 2001 년에는 "Secret Knowledge"라는 저서를 통해 르네상스 거장들의 그림을 광학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면서 미술이론가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이른바 호크니-팔코 이론이라고 명명되는 그의 연구는 현재까지 많은 논란 속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언급되고 있으며, 2000 년 이후부터 영국 요크셔 지방을 배경으로 마치 외광파의 방식과 유사한 풍경화, 즉 <더 큰 그림>을 통해 그의 이론을 시점에 관한 담론과 함께 전개시키고 있다. 따라서 호크니의 <더 큰 그림>은 회화를 보는 눈, 즉 시점에 관한 동시대적 담론을 가장 전통적 매체를 통해 구현해냈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회화를 여전히 실험 가능한 매체로 제시하는 등 이미지 제작에 대한 폭넓은 감각적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비평적 관점에서 재고해 볼 필요성이 있다. 결국 <더 큰 그림>은 ‘회화에 있어서 시점의 문제’에 대한 호크니의 회화론과 다양한 매체를 통한 실천적인 실험과정이 집약된 결과이며, 사진-이후 시대의 회화에서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주요 과제이다. This study deals with ‘perspective’ issues of David Hockney`s recent work <A Bigger Picture> by analyzing his optical theory an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Hokney is well known for the artist who is without technical limits for example he makes painting, engraving, photography, stage design, illustration, and he uses ‘I-phone’ for drawings. Actually Hockney emerged core of British Pop artist in the early stage, then he made creative photographic collage under the name of <Joiners>, he designed opera stage for Stravinsky`s Rake`s Progress, and in 2001 he expanded his career as an art theorist. In his book 『Secret Knowledge』, Hockney argues that optical devices were used by European painters from the early 15th century. Usually called ‘Hockney-Falco thesis’, Hcokney`s highly controversial theory has been marked upon today`s art. It is important connecting with Hockney`s recent work <A Bigger Picture> which is en plein air landscape painting of Yorkshire having the implications for vision and perspective issues of painting. In this sense, <A Bigger Picture> means that Hockney embodied the discourse of the eyes or the perspective in contemporary painting with the most traditional medium of art, and it is important that he presents the latent possibility of painting as still experimental media in today`s art field. At this point,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Hockney`s wide spectrum of image making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And <A Bigger Picture> is a result of the essence of Hockney`s practical experiments progress using his own theory and multiple media so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Post-Photographic era.

      • KCI등재

        한부모 가정 아동과 양부모 가정 아동의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 비교 연구

        정영인(Young-In Chu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과 교육 Vol.17 No.3

        본 연구는 한부모 가정 아동과 양부모 가정 아동의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 반응특성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4-5학년으로, 서울시 4개교에서 한부모 가정 아동 100명, 양부모 가정 아동 100명을 무선표집하여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PSCD 검사이며,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부모 가정 아동과 양부모 가정 아동의 PSCD에 나타난 아버지상 반응특성은 인물 방향, 부정 상징, 인물 행동의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상의 반응특성은 얼굴 표정, 인물 방향, 인물 위치, 긍정 상징, 부정 상징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자기상 반응특성은 얼굴 표정, 긍정 상징, 부정 상징에서 한부모 집단과 양부모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전체 양식 반응특성에서는 인물 구분, 세부 묘사, 그림 크기, 그림 양식, 가족의 행복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한부모 가정 아동과 양부모 가정 아동의 PSCD 반응특성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action features on “parent self-centered drawing (PSCD)” from one-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0 children in one-parent family and 100 children in two-parent family in grades 4-5 of 4 schools in Seoul by random sampling. The analysis of PSCD was used for study. The data were using 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validation of analysis of SPSS 22.0.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SCD from one-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rawing of father figure for direction of person, symbols of father figures, and behaviors of person.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drawing of mother figure for facial expression, direction of person, location of person, symbol of positivity, and symbol of negativity in both groups. 3.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drawing of self-portrait for facial expression, symbol of positivity and symbol of negativity from one-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4.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overall drawing for recognition of person, detailed description, size of picture, pattern of picture, and measure of family happiness in both groups. Accordingly, this study supported to compare reaction features on PSCD between children from one-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 KCI등재

        고흐의 작품에 표현된 “밤”의 심리적 의미

        정영인(Young-In Chu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2

        본 연구는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작품에 표현된 밤의 의미를 탐색하고 그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흐는 “태양의 화가”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밤을 표현하는 그림도 많이 그렸고, 밤에 작업하는 것 자체를 즐겨 했다고 한다. 낮이 이성을 지배하는 세계라면 밤은 감성이 지배하는 시기로, 고흐는 해 질 무렵부터 새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밤의 모습에 자신의 내면세계와 무의식, 불안정한 심리를 투사시켰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고흐의 작품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된 밤의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에 그려진 밤은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의 적절한 양육을 받지 못한 데서 비롯한 불안정 애착으로 인해 가족의 갈망과 외로움을 표현하고 있었다. 둘째, 중기에는 희망의 상징이자 자아를 표현한 별을 묘사한 반면, 혼란과 어두움 속의 이면을 드러내 양가감정이 내재한 밤을 표현하였다. 셋째, 후기에는 현실에서의 반복되는 좌절과 고통으로 인해 심리적 불안감이 가중되어 죽음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표현들이 지속되다가 결국 자살로 이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고흐의 밤을 표현한 작품에 내재한 다양한 심리 변화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미술심리 관점에서 밤이라는 물리적, 정서적, 심리적, 상징적 의미를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of night in Vincent van Gogh’s works and to examine his psychological changes. Gogh is known as a ‘painter of the sun’, but it is said that actually, he painted a lot of pictures expressing nights and enjoyed working at night. A night is ruled by sensibility, while a day is ruled by reason. Gogh projected his inner world, unconsciousness and unstable mentality onto different views of night ranging from the sunset to the dawn. In this study, Gogh’s work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ree themes of night that changed with the stream of time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ights drawn in the early stage of his career express a longing for family and a loneliness due to unstable attachment created when he did not receive proper supper from his parents in childhood. Second, in the middle of his career, he drew nights containing ambivalence by describing stars that symbolize hope and show his ego and revealing confusion and the back of darkness. Third, in the latter part, his psychological anxiety increased due to frustration and pain repeated in reality and expressions symbolizing the image of death continued. In the end, it led to his suicid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physical,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ymbolic meanings of night from different angles of art psychology by analyzing diverse psychological changes in Gogh’s works expressing nights.

      • KCI등재

        방어기제 관점으로 본 페미니즘 작가 자화상의 자아치유 요인 연구 - 프리다 칼로(Frida Kahlo)와 천경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정영인 ( Chung Young-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2 No.-

        동서고금을 막론한 많은 화가들이 자화상을 그려온 것은 인간에게 자기표현의 욕구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러한 자화상은 자신의 모습을 깨우치는 계기를 제공하고, 정신적 고통이나 불안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다양한 방어기제를 자신 모습 속에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페미니즘 작가인 프리다 칼로와 천경자의 자화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방어기제인 상징화(symbolization), 전환(conversion), 승화(sublimation)를 중심으로 작품을 비교·분석하고 자아치유의 매개체였음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작가는 우울과 불안, 순탄치 못한 결혼 생활로 힘겨워하였고, 이러한 심리적 고통을 유난히 많이 그린 자신의 자화상으로 표현하여 치유하려는 공통점이 있다. 그들은 전통 의상, 동물, 꽃, 뱀 등을 반복적으로 자화상에 그려 넣음으로 무의식에서 의식으로 상징(symbolization)의 의미를 끌어내어 치유적인 효과를 창출하였다. 또한 정신적 고통을 자신의 육체로 전환(conversion)시켜 표현하였으며, 죽음에 대한 유혹과 고난을 그림으로 승화(sublimation)시켜 치유하려고 노력하였다. 미술의 창작과정을 통한 치유의 요인들은 미술치료 사례를 통하여 많은 연구가 되어 지고 있는 반면, 화가들의 창작과정 속의 자아치유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라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화가들의 독특한 기법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하여 자화상 그리기뿐 아니라 미술치료에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Many artists from every part of the world demonstrate how human beings are eager to express their feelings through their self-portraits. Creating a self-portrait generates more positive outputs than just giving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It alleviates one`s hurtful feelings building such a powerful defense mechanism while working on their artworks.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contrast two feminist artists` self-portraits -Frida Kahlo and Chun Kyung Ja- to conclude that their art works are used as a tool for the self-healing. Their main themes in their artworks are defense mechanism - symbolization, conversion, and sublimation. Both artists were depressed with the pain of unhappy marriage life. This fact is commonly expressed in their self-portrait to overcome their spiritual scars. The main characters that they introduced frequently are flowers, butterflies, and snakes such animals. By painting those characters repeatedly, it cures their pain inside by symbolizing their unconscious pain to conscious meaningful self-healing. Whenever they feel the pain inside, they covert the pain in action by drawing as many self-portraits as they can. There are many drawings that expressed many thoughts about the agony and temptation of death. They put effort to sublime the pain through the paintings.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art therapy being observed using art works as cure remedy as an example, however, it is very rare to introduce art therapy being observed as self cure composite through artists` creative art works. Thus, I strongly suggest looking into developing a program using art therapy in whole not only for artists` self-portrait skills.

      • KCI등재

        대학생의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 나타난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정영인(Chung, Young 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통하여 대학생의 성격을 파악하는 검사도구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 두 곳의 1-4학년 256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와 성격 5요인 척도를 사용했고, 자료분석은 교차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의 스트레스 반응특성 차이는 비의 양, 비의 방향, 바람의 세기, 구름의 수, 웅덩이 수, 웅덩이 면적, 웅덩이와 사람 접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의 스트레스 대처자원 반응특성 차이는 직접 보호물의 수, 전체 보호물의 수, 얼굴모습, 인물크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의 PDI 반응특성 차이는 비에 젖은 정도, 바람의 세기, 그림 속 사람, 사람의 기분, 사람에게 필요한 것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빗속의 사람 그림이 대학생의 성격특성을 파악하는 검사도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Person In The Rain (PITR) can be used as a tool to understand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PITR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targets 256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two universities in Gyeonggi-do. The research tools used a PITR drawing test and a scale of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the data analysis was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stress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IT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tud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rain, direction of rain, strength of wind, number of clouds, number of puddles, area of puddles, and person contact with puddles.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 response resources in the PIT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direct protections, total number of protections, shape of face, and the size of person.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DI re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PIT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tud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ain wetness, strength of the wind, person in the drawing, person s mood, and the person s needs. Thes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ITR drawing test can be used as a tool to examine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집단회고요법이 재가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정영,백영주,Chung, Young,Baik, Young-Ju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996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mine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on deprssion of the elderly residing at home. The subjects were sampled from the members of senior citizens' centres located in Kwangju City. Total number was 73, 38 for the control group and 35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was carried out after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23 Jun. to 11 Nov. 1993. Reminiscence therapy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or 6 weeks. Depression level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reatment giv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ligion and family-attachment among socioeconomic characti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2. Religion and pocket - money provider among socioeconomic characti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level of life-satisfaction. 3.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0.777, P=0.000). 4.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treatment as contrasted with that of control group(P=0.004).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reminiscence therapy reduces depression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