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과 한국 전통금사 금속의 과학적 분석 연구

        정선혜 ( Seon Hye Jeong ),유지아 ( Ji A Yu ),정용재 ( Yong Jae Chung ),심연옥 ( Yeon Ok Sim ) 한국의류학회 2013 한국의류학회지 Vol.37 No.6

        The metal component of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gold thread was analyzed nondestructively using P-XRF and classified morphologically. In the nondestructive analysis of 22 Chinese and Korean artifacts, there were 10 gold threads made up of Au in China and 7 in Korea; in addition, there were 4 silver threads made up of Ag in Korea and 1 copper thread made up of Cu in China. In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7 gilt paper strips were confirmed in China and Korea and 4 wrapped threads were identified in China and Korea. Zn, Sn and Fe (minor components of the threads) were detected. These components were assumed to be transferred from the metal found in burial goods.

      • KCI등재

        실천적 수학영재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자기평가와 교사의 관찰평가 비교연구

        정선혜(Seon-hye JEONG),백순근(Sun-Geun BAE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3

        이 연구는 실천적 수학영재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자기평가와 교사의 관찰평가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분석 및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등을 통해 학문적 수학영재성과 구별되는 실천적 수학영재성을 개념화 하고, 그것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초등학생용 실천적 수학영재성 검사를 활용하여 서울시 초등학생 497명을 대상으로 실천적 수학영재성에 대한 자기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해당 초등학생들의 실천적 수학영재성에 대한 담당 교사 20명의 관찰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의 자기평가 결과가 교사의 관찰평가 결과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1), 두 평가 결과 간의 단순상관계수는 .421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의 실천적 수학영재성을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관찰평가와 함께 학생의 자기평가와 같은 다른 방안들도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 of self-reported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 of teacher's observation evaluation on practical giftedness of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undertaken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 way of conceptualize the practical giftedness of mathematics which w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academic giftedness of mathematics and developed the scale to measure such finding. The self-reported evaluation on practical giftedness of mathematics using the scale was undertaken for 4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the teacher's observation evaluation was implemented on those students. As a result, the self-reported evaluation result was noticeably higher in statistics compared to the teacher's observation evaluation result (p<.01), and the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evaluations was 0.421 which was lower than our expect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teacher's observation evaluation alone would be insufficient to measure practical giftedness of mathema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easonable and reliable measurement.

      • 목조문화재 가해 미생물의 형태학적 특성 및 가해위험도 연구

        이민영,정선혜,김은송,김대운,정용재,Lee, Min-Young,Jeong, Seon-Hye,Kim, Eun-Song,Kim, Dae-Woon,Chung, Yong-Jae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保存科學硏究 Vol.30 No.-

        In the study, we confirmed morphological traits and calculated the Risk Class of 25 mould species, including Tyromyces palustris, through decomposition rate of substrate for characteristic confirmation of injured microorganisms. We received the injured microorganisms in wood and it was pure cultivated. We observed growth traits and decomposition rate of substrate. Also, it allows the calculation of Risk Class to be worried in the case of growth in wooden cultural properties. As a result, Tyromyces palustris, representative of brown-rot, has the characteristics about decomposition rate of substrate - Cellulose ; more active(+++), Lignin ; more active(+++), Xylan ; more active(+++), Starch ; active(++). We classified Tyromcyes palustris as a first Risk Class and as a second Risk Class about Schizophyllum commune et al(9 species, See table 1. We look forward to offering standard data base for evaluating Risk Class as a matter of applying preventive conservation in wooden cultural properties through our study.

      • KCI등재

        숭례문 복원 단청에 관한 연구

        김순관,한민수,정선혜,김미정,Kim, Soon Kwan,Han, Min Su,Jeong, Seon Hye,Kim, Mi Jeong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4 보존과학회지 Vol.30 No.4

        복원된 숭례문 단청에서 박리 박락 등의 손상이 발생함에 따라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사용된 안료 12종에 대한 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호분과 석간주를 제외한 10종은 인공안료로 확인되었다. 교착제의 종류와 비율을 달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고, 현장에서 채취한 단청 시편을 대상으로 용해 비교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단청 시편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착제의 도포 순서를 달리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촉진내후성을 평가하였다. 전체적으로 도막 층이 두꺼워지고, 다른 물성의 교착제를 교차하여 사용하였을 때 박리 박락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mainly about materials that are used in Sungnyemun gate's dancheong to find causes of dancheong's damage such as desquamation and peeling off. 12 kinds of pigments' components which are used in dancheoong are analyzed. Except for Hobun and Seokganju, the pigments are artificial. Samples are made with different conditions of adhesives and the rate of binder. To estimate promotion weathering test, adhesives are applied in a different order. Desquamation and peeling off presented especially when different adhesives are used on dancheong and also, generally the layer thickened.

      • KCI등재

        조선시대 노부행렬에 사용된 의장물의 직물 특성 및 재질 분석

        유지아(Yu Ji a),정선혜(Jeong Seon hye),정용재(Chung Yong jae),심연옥(Sim Yeon ok),이현주(Yi Hyeon ju) 국립고궁박물관 2013 古宮文化 Vol.- No.6

        노부鹵簿란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나들이할 때 갖추던 의장儀仗 제도, 또는 의장을 갖춘 거둥의 행렬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노부류 중 치미선, 소선 2점에 대한 직물 특성과 구성 재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치미선은 부채인 선과 목재 봉,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은 전면과 후면의 구성이 다소 다르며 직물과 종이로 이루어진 점은 같다. 전면과 후면 모두 꼬임이 없는 무연사로 제직되었으며 직물 두께 및 밀도가 다소 다르다. 치미선의 보존 상태는 전체적으로 긁힘, 찢김, 물번짐 등이 확인되었고 안료의 변색이 심한 상태였다. 섬유 분석 결과 견絹 섬유로 추정된다. 치미선 전면의 안료 분석 결과, 녹색은 Cu, As, 청색은 Pb, Cu, 백색은 Pb, 적색은 Pb, Hg, S가 주원소로 검출되었고, 후면 안료 분석 결과 녹색은 Cu가 주원소로 분석되었으며 고정 못과 틀과 같은 금속 분석 결과 Fe이 주성분으로 검출되었다. 소선은 한지가 배접된 직물과 나무 봉, 이를 장식하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물이 찢겨지거나 느슨해진 부분이 많았고, 먼지 등으로 보이는 오염 물질에 의해 더럽혀져 있다. 나무 봉의 상태는 양호하나 금속 장식은 부식되어 녹이 관찰된다. 섬유 분석 결과 정련한 견사로 밝혀졌으며, 금속 장식은 Cu와 Sn이 주성분으로 검출되었지만 이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다. Nobu is procession system for King’s visitation in the Joseon and Goryeo Dynasty. It was performed to study analysis of materials and characteristic of textile about Chimi-sun and So-sun of Nobu-ryu, the collections of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Chimi-sun was made up of fan (sun), wooden bar, and metal. The sun was comprised of differently on the front and back, but equally consists of fabric and paper. These were woven of untwisted yarn for both front and back from untwisted yarn, fabric thickness and density were some different. The chimi-sun had many scratches, tears, water stain and discoloration of pigments. The fibers were identified silk fiber. In the analysis results of pigment, a green color was analyzed Cu, As and a blue color was Pb, Cu and a white color was Pb and a red color was Pb, Hg, S for major element. And the following is analysis results of pigment and metal. In the front of chimisun, a green color was analyzed Cu, As and a blue color was Pb, Cu and a white color was Pb and a red color was Pb, Hg, S as major elements. In the back of chimisun, a green was analyzed Cu, metal was Fe as major elements. The Sosun was comprised of fabric and backing paper, wooden bar, and metal. It had a tear and dust and the wooden bar was in good condition but the metal was corroded. The fiber was identified in degummed silk and metal was analyzed in Cu and Zn.

      • KCI등재후보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신임 교사 사례 연구-

        강완 ( Wan Kang ),장윤영 ( Yun Young Chang ),정선혜 ( Seon Hye Jeo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初等 數學敎育 Vol.14 No.3

        이 연구는 2년차 신임 교사의 사례 연구를 통해 수학 수업에 대한 신임교사의 발문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확인을 위한 발문이 가장 많았으며(69%), 이해를 위한 발문(25%), 성찰을 위한 발문(6%) 순이었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은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신임교사의 발문과 관련된 대안적인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을 제안해 보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recognition of teacher on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ing sentence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for the mathematics class through the case study for the 2ndyear teachers. The study participants` class was recorded in video and individual interview was made for 4 times. The pattern of the questioning sentence in the observed class was analyzed using the classification frame with addition of creativity related items to the classification frame suggested by Mogan & Saxton(2006). The questioning sentence and recognition on the mathematics class for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ndividual meeting and class materials. In result, the questioning sentence for confirmation was most frequent (69%) and questioning sentence of understanding (25%) and the questioning sentence for introspection (6%) in its priority. It was known that the questioning sentence for extending the creativity didn`t make it at all. It wa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 teachers in this study used the questioning sentence pattern for fact confirmation of the student most frequently and the use of the questioning sentence for accelerating the creative thinking of the student was lacked. In addition,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y manage the class oriented to questioning sentence for obtaining the concept. It was known that the education for the questioning sentence which accelerates the creativity and other thinking as well as the fact confirmation pattern is necessary through the training for the new teachers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적의(翟衣) 유물의 색과 금사 분석

        정용재(Chung Yong Jae),유지아(Yu Ji A),정선혜(Jeong Seon Hye) 국립고궁박물관 2011 古宮文化 Vol.- No.4

        본 연구는 소장처 및 형태가 다른 적의 유물(국립고궁박물관 적의, 세종대학교 박물관 적의, 서울역사박물관 적의)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금사의 성분과 색도를 분석하고, 각 3점의 과학적 분석 결과에 대한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첫째, 적의 유물 부위별 금사의 형태적 분석으로 디지털 영상현미경을 이용하여 금사의 꼬임 횟수 및 너비 등을 분석하였다. 둘째, 휴대용 합금분석기(portable XRF)을 이용하여 적의에 사용된 금사 성분을 분석하였다. 셋째, 색도계를 이용하여 적의의 각 부분별색도 분석과 함께 적의 3점의 색도 비교를 통하여 정확한 색의 기록 및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형태적 분석 결과 서울역사박물관 적의에서 금사의 꼬임 횟수 및 폭, 금박의 폭이 다른 2점과는 차이점을 보였고, XRF를 이용한 성분 분석 결과 고궁박물관 적의와 세종대 적의는 금사에서 금(Au)이 검출되어 금사로 확인되었으나, 서울역사박물관 적의의 경우 구리(Cu)가 검출되어 금속사로 확인되었다. 하피에 위치한 금박의 경우 전부 금이 검출되어 금박으로 확인되었으며, 고궁박물관 적의와 세종대 적의의 폐슬에 사용된 금사 역시 금이 검출되어 금사로 확인되었고 금속의 경우 은과 금의 합금(Au-Ag)으로 추정된다. 적의 유물 3점의 색 분석 결과, 적의 유물과 하피 유물의 청색 색도에서 서울역사박물관 적의·하피 유물의 청색 색도와 다른 2점의 청색과는 거의 다른 계열의 청색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유물 및 색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어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적의 유물 3점에 대한 금사의 형태적 통계 및 성분분석 통계, 색도 통계를 산출하고 비교함으로써 향후 금사의 과학적 규명 연구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study for three pieces of jeogui(collected i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ejong university museum, Seoul Museum of History) through componential, chromaticity analysis. First, we analyse a twist number, width of gold thread through a digital microscope to know each part of gold thread. Second, we use a portable XRF to analyse component of gold thread. Third, we use a color-difference meter to compare each parts of jeogui textile.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is a difference to twist, width of gold thread in other two jeogui’s. In jeogui’s which are owned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ejong university museum, XRF analysis can detect gold(Au). But in jeogui which is owned Seoul Museum of History, XRF analysis can detect copper(Cu). So we could know jeogui’s which are owned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ejong university museum is composed a gold thread, and we could know jeogui which is owned Seoul Museum of History is composed a metal fiber. gilt located in hapi is illuminated gilt because gold detected. Also pyeseul located i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jeogui, Sejong university museum jeogui identified gold thread because gold detected. And metal is presumed gold-silver alloy. As a result of color difference analysis, there is a difference to blue color in jeogui, hapi of Seoul Museum of History. And there is a very little difference in other color. By computing formal, components, and chromaticity statistics of three pieces of jeogui’s gold thread and comparing domestic gold thread cas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ocument for scientific investigation research of gold thr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