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색 자극의 시각적 특징이 공간적 배열의 맥락 단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장유리(Yuri Jang),정고은(Koeun Jung),민윤기(Yoonki Mi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4

        방해 자극들 사이에 표적 자극이 제시되는 시각 장면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우리는 표적의 위치와 방해 자극의 공간적 배열 사이의 연합을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을 탐색하는 속도는 새로운 화면보다 반복 화면에서 더 빠르며, 이러한 탐색 시간의 이득을 맥락 단서 효과(Contextual cueing effect)라고 한다. TL 탐색 과제를 사용한 맥락 단서 효과는 주로 자극들의 공간적 배열로 정의되어 왔으나, 실제 물체 탐색 과제를 사용한 최근 연구들에서는 맥락이 자극들의 공간적 배열과 시각적 특징의 합으로 정의된다고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배열맥락이 시각적 특징 맥락보다 더 강할 때, 시각적 특징 맥락이 공간적 배열 맥락 단서의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물체 탐색)과 연구 2(TL 탐색)는 공간적 배열의 독립적 학습과 이에 시각적 특징 맥락이 더해지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맥락 단서의 학습은 두 과제에서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과제에 따라 맥락 단서의 학습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표적의 위치를 예측해주고 연합장벽(associative blocking)이 발생하지 않을 때 맥락 단서에 대한 학습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hen visual displays in which a target is presented among distractors are repeatedly presented, we able to lear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distractors and target’s location. Search speed is faster in the repeated displays than in the novel displays. This benefit of search time is called the Contextual cueing effect. The contextual cueing effect using the TL search task has been defined primarily as a spatial configuration of stimuli, but the recent studies by Makovski(2016, 2018), using the real-world object search task, suggest that the context is the sum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visual features of stimuli.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ontext of visual features affects the learning of context of spatial configuration when the context of spatial configuration is stronger than the context of visual features. Study 1(using the real-world search task) and Study 2(using the TL search task) showed the independent learning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additive effect of the context of visual features. Also, the learning of contextual cu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tas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arning of contextual cue not depends on task, but it is possible when the contextual cues can predict the target location and associative blocking does not occur.

      • 우이산호 유류유출 주변 조간대 퇴적물에서의 PAHs 모니터링 및 유지문 분석

        장유리(Y.L.Jang),정해진(H.J.Jeong),박신영(S.Y.Park),김기범(G.B.Kim),김흥윤(H.Y.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5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2014년 1월 31일 광양항에서 발생한 우이산호 유류유출 사고로부터 PAHs의 잔류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2014년 5월부터 2015년 5월까지 계절별로 사고 주변의 조간대 퇴적물에서의 PAHs를 모니터링하였다. 16종과 alkyl PAHs 농도 범위는 각각 137 ± 309 ng/g dw.에서 215 ± 430 ng/g dw.와 101 ± 175 ng/g dw. 에서 134 ± 347 ng/g dw.,으로 조사기간 동안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유류유출 사고지점과 인접한 신덕 정점에서 2014년 2월 4일에 채취한 풍화유와 유류유출 사고시 유출되리라 예상되는 Basrah 경유 그리고 총 시료들의 이중지수(D3/P3과 D2/P2)를 이용하여 유지문 분석을 한 결과, 풍화유와 Baseah 경유는 같은 기원으로 판단되어지나 시료와는 서로 다른 기원임을 알 수 있었다. To assess the residual level of PAHs from WuYiSan oil spill, 31 January 2014, we mornitored each seasonal PAH concentration in the intertidal sediment around Gwangyang bay from May, 2014 to May, 2015. Range of PAH concentration was relatively constant during investigation period. Sixteen and alkyl PAHs were from 137 ± 309 ng/g dw. to 215 ± 430 ng/g dw., from 101 ± 175 ng/g dw. to 134 ± 347 ng/g dw., respectively. Also from oil fingerprint using ratios of D3/P3 and D2/P2 about a weathering oil collected in Sinduk to adjacent oil spill accident on 4 Feburary, 2014, Basrah light crude oil and sediment samples, the weathering oil and crude oil (Basrah) are same source but the source of PAHs sediment different frome weathering oil and crude oil.

      •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유자(JANG, YOU-JA)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09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원장이 어떤 리더십을 발휘할 때에 교사효능감과 교직만족도에 더욱 효과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유아교육 기관의 원장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장의 리더십을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였으며, 교사효능감은 일반적 교사효능감(general teaching efficacy)과 개인적 교사효능감(personal teaching efficacy)을 분류하여 정의하였다. 교직만족도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동료 교사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직무 성취, 근무 환경, 보수와 승진 기회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 원장의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에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날 것을 기대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200명이며,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결측치를 제외하고 194명이었다. 연구 결과, 원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모든 영역의 교사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하였을 때 교직만족도는 일반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에서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이나 거래적 리더십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경우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원장의 리더십 유형과 교직만족도와의 관계는 원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에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보다 교사의 교직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most efficient leadership of preschool director, which could influenced on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satisfaction. Leadership of preschool’s director is divided into two part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Teaching efficiency is divided into general teaching efficien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iency. Teacher satisfaction could be influenced in 6 factors, which are by co-working teachers, the director, and achievement of work, environment of work, payment and opportunity of promotion. This study is based on kindergartens in Seoul, and Kyunggi-do, and total teachers are 200. Except of bad data, this study used total raw data has 194 persons. As a result of study, when a preschool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ives positive influence on teaching efficiency. However, in the other hand, preschool director's transactional leadership made not statistics meaning but make negative relationship on general teaching efficien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iency. Also, on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eschool director's is better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to make better teacher satisfaction and more teaching efficiency. As a result of this study, neit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nor transactional Leadership make more general teaching efficacy. But personal teaching efficacy is mo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Conclusion of the relationship pattern of leadership and teacher satisfaction is more effectiv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on teacher satisfaction. Main conclusion of this study is more effective making teacher efficacy more formational leadership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Wh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make positive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to teacher satisfaction, but transactional leadership make negative relationship teacher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산재장애인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장유미(Y. M. Jang),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5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의료재활서비스와 심리사회재활서비스, 직업재활서비스 만족도가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대상자 2,000명 중에서 산재장애가 있으면서 재활서비스를 이용하는 97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3가지 모델에 대한 변인간의 관계는 SPSS Macro 및 Sobel 방법을 적용하여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직업재활서비스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심리사회적재활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자료를 평균 중심화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의료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면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증가하고,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면 일상생활만족이 높아지고, 심리사회재활서비스가 높아질수록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서비스가 일상생활만족에 간접효과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산재장애인이 재활서비스를 통해 일상생활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habilitation servic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nd how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fluence in this relation. For this, it analyzed 977 people who were using rehabilitation service with industrial disaster disability among 2,000 research subjects using the first year materials of industrial disaster insurance panel of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For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on the suggested 3 model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 the relation of medical rehabilitation of the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nd life satisfaction by applying SPSS Macro and Sobel method and did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control effect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by the mean centering of the material.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when the satisfaction on the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wa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n the voacational rehabilitation was increased, when the satisfaction o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wa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ed, and when the satisfaction on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was increased the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had a indirect effect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 관리 취약점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장유종 ( Yujong Jang ),곽진 ( Jin Kwa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용자간의 통신수단 및 자신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다양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 가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컴퓨터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디바이스 내부에는 캐쉬, 히스토리와 같은 일반적인 웹 서비스 이용 로그 기록을 남기게 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원활한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 친구 정보, 대화 내용과 같은 유출되면 악용 될 수 있는 민감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 내부에 저장하여 서비스 한다. 이러한 민감한 데이터는 적절한 보안 관리가 실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다양한 보안 취약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 관리 보안 취약점에 대하여 분석하고 대응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

      • KCI등재

        노년기 자기 통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장유리(Yuri Jang),이정남(Jeongnam Lee),윤현숙(Hyunsook Yoon),김수영(Soo-Young Kim)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4

        자기 통제감은 노년기의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밝혀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자기 통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영향 요인을 (1) 사회 인구학적 특성, (2) 신체 건강 상태, (3) 최근 일어난 부정적 생활사건, (4) 사회 관계적 자원으로 분류하였다. 국내 다섯 개 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91명(평균 연령=69.9)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자기 통제감은 Pearlin과 Schooler(1978)의 Mastery Scale의 7항목으로 측정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경제 수준, 만성 질환, 일상생활 수행 장애, 시력,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자기 통제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년기 자기 통제감 증진을 위한 개입이나 사회적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Given the central role of sense of control in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sense of control among Korean elders. We consider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self-perceived economic status), health-related factors (chronic conditions, functional disability, and sensory impairment), stressful life events, and network-related resources (network of relatives, network of friends, and filial satisfaction) as potential predictors. Sense of control was measured with Pearlin and Schooler's (1978) Mastery Sca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ith 291 Korean elders aged 60 or older (M age=69.9) identified lower self-perceived economic status, more chronic conditions, greater functional disability, greater vision impairment, more stressful life events, and lower filial satisfaction a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a diminished sense of control. Because most of the identified risks represent normative experiences during later life, the results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or promoting sense of control for older adul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쿠바의 풍력 단지 예정지와 해상 풍력 에너지 평가

        장유운(Jang, Yu-Woon),박일수(Park, Il-Soo),이강웅(Lee, Gang-Wo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7 중남미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쿠바 풍력에너지의 공간 분포를 평가하고, 다양한 풍력 터빈을 적용하여 풍력 에너지 자원을 평가하였다. 풍력단지 예정지인 중북부 연안과 동부 연안의 육상풍력 에너지는 풍력 터빈의 종류에 따라 운영 효율성이 34 % 향상되었다. 연안에서 2km 거리의 수심 50 m 이하인 지역에서 해상 풍력을 활용할 경우 운영 효율성과 전력생산량은 육상의 1.5 MW 풍력 터빈에 비하여 80 %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풍력 터빈의 로터 길이와 허브 높이를 향상시키고 해상 풍력을 운영할 경우, 풍속이 3.8 m/s로 낮은 수준인 남서부 지역과 북서 지역의 연안에서도 운영 효율성이 27 %로 평가되었다. 쿠바 연안의 해상 풍력 활용 가능성은 현재 40 %의 분산 전원을 구성하는 디젤발전기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쿠바 에너지 믹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Cuba is known to be rich in terms of wind energy. As the wind energy is not equal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the capacity factor of wind energy requires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The coastal region of the eastern and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have high potential wind energy over wind power class 3 while the western and southern parts have low wind energy with wind power class 1. In the coastal areas where the wind farms are scheduled to be constructed, the capacity factor is simulated to be improved by 34 % according to the types of wind turbines. The annual electricity production of offshore wind power with 3 MW wind turbine will be increased by 80 % comparing to the onshore wind power of 1.5 MW turbine. The capacity factor with 3 MW wind turbine is simulated with 27 % better in the southwestern and northwest coasts where the wind speed has even been low level at 3.8 m/s. The availability of offshore wind power on the Cuban coast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uban energy mix and it will contribute to replace the current distributed power which occupied 40 % of Cuban power.

      • 전력시설 재해 예방의 안전관리

        장유선(You Sun Jang),장유리(You Lee Jang),Choi,하동명(Dong Myeong Ha)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전력시설 관리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모든 시설에 대하여 충분한 안전 여유도를 갖추도록 설계해야 하며, 안전에 중요한 설비는 고장에 대비하여 정기 보수 시 실시하는 예방 보수를 포함하여 설비를 다중으로 갖추어 두어야 한다. 전력시설 설계수명 기간 동안 안전하게 가동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확인⋅감독 활동을 수행해야 하고, 안전성이 확보되었다 하더라도 만에 하나 중대한 사고가 발생하거나 사고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최적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중성, 독립성, 다양성, 견고성, 운전 중 상시 점검 기능, 고장 시 안전한 방향으로 작동 및 연동 기능 등의 설계원칙에 충실해야 한다. 안전과 사고 사이의 스펙트럼은 매우 넓으므로 확률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사고 발생확률은 잘 알려진 분포를 따라 확률적 접근을 해야 한다. 또한 안전 검사로서는 전력시설을 가동하기 전 설비의 기능과 안전확보를 위한 내용을 잘 숙지하며 사용 전에 안전 성능이 잘 유지되고 있는가를 재점검하는 정기 혹은 상시 검사가 진행되어야만 한다. 또한 노후화가 된 전력시설의 정해진 설계수명을 초과하여 계속 운전하는 것은 사고 위험성을 높이게 되고, 안전에 대한 보장이 어렵기 때문에 재료 및 설비의 노후화 예방, 노후화의 탐지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예방 방안을 검토하고 대책을 세워 큰 재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재난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대응을 통해 재난으로 인한 인명 및 시설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노동시간과 임금간의 관계 연구

        장유미(Jang, Yu-M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복지패널자료로 노동시간과 임금의 변화를 잠재적인 추이를 통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 패턴을 통해 역동적인 노동시장 안에서 연도별 개인의 효용극대화점의 변화와 노동공급곡선의 방향을 살펴보아 앞으로의 방향성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과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의 2009년부터 2012년간 가구 월기준으로 노동시간 과 임금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먼저, 2009년에서 2012년으로 변화함에 따라 노동시간과 임금은 증가함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비선형 성장곡선이 아닌 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9년에서 2012년 동안 추정해 보면 노동시간의 SLOPE와 임금의 SLOPE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2009년에서 2012년까지 노동시간과 임금이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기 때문에 노동공급곡선 가구의 한계효용점은 우상향으로 이동한다. 노동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추이를 지속적으로 보이므 로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를 좀 더 압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the value of leisure to develop a more accurate model of the labor market without necessarily losing the primary merit of the received model. Moreover, with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labor market dynamics, it can be seen that progressive era labor market legislation, which was designed to mitigate the effects of the bargaining power inequality in low wage labor markets, was in fact based on sensible economic foundations. These low-wage dynamics present an example of a positive feedback system or "vicious circle" at work in the economy. The market dynamics of the low wage sector push the wage away from the range that is consistent with a self-regulating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