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中國 東北地域 後期舊石器 製作技術의 變遷과 系統 硏究

        장용준 동북아역사재단 200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15

        Addressing the Upper Palaeolithic lithic technologies in Northeastern China JANG, Yong-jun (Gimhae National Museum) In Northeast Asia, the beginning of the Upper Paleolithic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emergence of blade technologies, use of siliceous or glassy raw materials, long-distance movement of materials, bone/antler working, regional style, beads and pendants. However, there is no clear evidence about the lithic artefacts applied blade technology. The research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in the Upper Palaeolithic period. The principal flaking technique at the sites located in Liaoling, Jilin and Heilongjiang province was mainly direct hammer percussion, bipolar percussion and pressure flaking in micro-lithic culture. In particular, the harpoon from the Xiaogushan Cave was the earliest example in Eurasia. The harpoon and bone point may have been used to exploit water food resources such as fishes and tortoises. The obsidian from Mt. Baekdu Mountain were the major raw material to make stone tools in Northeastern China, Russia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stone assemblage included flakes, cores, chunks, scrapers, burin, blades, micro-blade and micro-blade core. Major blanks for tools fabrication were flakes and blades. Based on the general features of these artifacts, they belonged to the micro-lithic industry type in Northeastern Chin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rtifacts and the fact that no polished stone tools and pottery shards were found in the late period of the Pleistocene or of the late Palaeolithic. It was very important that big-sized cores made by obsidian were found at a few sites located in the Jilin province (Duman River) near Mt. Baekdu. These facts provided important data for studying the distribution, origin and tradition of obsidian. 중국 동북지역 후기 구석기 제작기법의 변천과 계통연구 東北 三省(遼寧省, 吉林省, 黑龍江省)은 한반도의 구석기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역이었다. 동북지역은 소형박편석기군과 세석인석기군 또는 큰 석기전통이 추가되는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나 기술적인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비석인계 박편석기군, 세석인석기군, 백두흑요석석기군으로 세분화시켰다. 후기 구석기시대는 전반, 중반, 후반, 종말기의 네 단계로 설정하였고 대략 4만 년 전~8천 년 전에 해당하였다. 遼寧省까지는 華北지역의 영향이 간접적으로 미쳤거나 기존의 비석인계 박편석기제작기술을 토대로 세석인기술을 출현시켰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吉林省과 黑龍江省의 세석인기술은 자체발전보다는 주변지역의 세석인문화와 접촉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遼寧省지역은 西八間房유적을 제외하고는 세석인기술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며, 동북지역은 정식 조사된 2만년~1.5만 년 전의 절대연대를 지닌 세석인관련 유적이 없었다. 吉林省과 黑龍江省은 松花江과 黑龍江에 분포하는 쐐기형 세석핵으로 미루어 보아 華北지역의 영향을 받았다기 보다는 두 지역과 인접한 내몽고와 시베리아지역과 접촉의 가능성이 높았다. 吉林省을 중심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는 백두흑요석석기군은 양면조정에 토대를 둔 쐐기형세석핵의 제작기술의 영향을 받아 성립된 것이며, 박편을 이용해 세석핵을 제작하는 것도 동일한 기술개념의 변형에 지나지 않았다. 중국 동북지방의 석기계통을 파악하는데 華北지역을 중심에 두고 다른 주변지역과의 관련성을 深度깊게 고려하지 않는 것은 一元論적 해석의 확장결과로 볼 수 있었다. 지금까지 백두산 흑요석의 원산지를 둘러싼 많은 논쟁이 있었지만, 石人溝유적을 통해 原産地를 찾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었다. 특히 대형 흑요석 원석이 발견되어 향후 한반도지역의 흑요석제 석기의 기원을 찾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Trade-employment linkage of FTAs in Korea: Inter- and intra-industry reallocations of production resources

        장용준,조미진,김한성 한국무역학회 2018 Journal of Korea trade Vol.22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link between trade liberalization and employment through the export channel under Korea’s FTAs by distinguish firm heterogeneity (i.e. size) as well as sector-level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e. comparative advantage). Design/methodology/approach – Using the firm-level data during 2000–2009, the authors drive the difference-in-difference-in-difference model on Wagner (2007)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of labor productivity and employment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free trade agreement,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firm size and payroll costs. Findings – The authors find that the economic benefit of FTAs in Korea is not concentrated in large enterprises or firms with comparative advantage. Accordingly, the authors conclude that FTA or trade liberalization brings positive effects to business as a whole, rather than to specific industries or group of firms. Research limitations/implications – The Korean Government has continued its policy of suppor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for a long time by recognizing them as socially underprivileg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increase in export through FTAs improves firm’s labor productivity and increases employment, especially for SMEs, which can be a practical and efficient support for them. Originality/value – The paper provides the empirical evidences that how the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on labor depend on firm heterogeneity,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or both and thus how labor is reallocated in response to trade liberalization in Korea.

      • KCI등재

        아음속 캡슐트레인 아진공(0.001atm) 튜브 주행 공력 실험장치 설계를 위한 차원해석 및 이론적 분석

        장용준,이택기,이관섭,윤수환,이창영 한국철도학회 2020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23 No.3

        Dimensional analysis is performed for reduced-size model experimental measurement of aerodynamic drag inside partial vacuum (0.001atm) tube for subsonic (Mach<1) capsule train and aerodynamic-related dimensionless parameters are investigated. Aerodynamic drag inside tube is found to be related to Geometric similarity, Mach number, and Reynolds number. Propagation length of compression wave in front of train and normal shock behind train in tube are investigated using 2D RANS method with compressible flow. The speed of capsule train is increased from 100 to 320 m/ sec. Compression wave in front of capsule train propagates as far as 250 times the tube diameter and normal shock behind train propagates as far as 120 times tube diameter, which means the compression wave influence on the tube flow lasts longer than the normal shock. Concept design for 1,200 km/h aerodynamic experimental facility inside partial vacuum tube is proposed based upon this research.

      • KCI등재

        정보교육을 위한 ICT 활용 유형의 분석 및 개선안에 관한 연구

        장용준,한선관,Jang, Yong-Joon,Han, Seon-Kwa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1 No.1

        2000년 교육부에서 제시한 $\ulcorner$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운영지침$\lrcorner$ 을 보면 정보탐색하기, 정보 분석하기, 정보안내하기, 웹 토론하기, 협력 연구하기, 전문가와 교류하기, 웹 펜팔하기, 정보 만들기의 8가지 정보통신기술 활용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 교사들이 이 8유형에 대해 실제 ICT 활용에 대한 근본적 접근이 어려우며, 교사들 역시 수업에 이 유형을 적용하기가 어렵다고 느끼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정보교육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 기본적인 ICT활동 유형부터 개선하고 정보 과학을 기반으로 구체적 활용유형에 대해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의 의견을 통하여 개발된 활동유형이 타당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교사들이 ICT활용에 있어서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 정보과학을 토대로 개발된 점을 고려하여 정보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후기 구석기인의 생존 전략 :  

        장용준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5 동원학술논문집 Vol.7 No.-

        아직 논의의 여지가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후기 구석기시대는 대략 40,000년 전부터 30,000년 전 사이에 시작된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후기 구석기시대에 생존했던 사람은 지금 살아가는 우리와 비교해 두뇌 능력 면에서 크게 뒤지지 않았다. 이 시기는 석기 제작 측면에서 기존에 많이 사용되어온 석영계 석재보다 균질제 석제를 사용해 석인 기법과 세석인 기법을 이용해 원하는 도구를 만들었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시베리아지역에서는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에서 치레걸이, 새나 사람과 같은 조각품, 붉은 안료 등이 확인되며, 사람을 매장한 흔적도 남아있다. 현생인류가 복합적 인지능력을 가진 덕택에 여러 상징행위가 처음으로 확인되는 시기다. 아쉽게도 우리나라의 후기 구석기시대는 위와 같이 명확히 예술품이나 장식품으로 분류할 수 있는 예는 아직 없다. 이러한 열악한 조건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후기 구석기문화를 이해하는 최선의 방법이 석기를 검토하여 생활상을 복원하는 것이다. 많은 구석기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들에는 생존을 위한 다양한 행위가 투영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후기 구석기시대의 기후와 동물상을 살펴본 뒤 후기 구석기시대의 석기 종류를 개관하고, 그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석기가 가지는 사회적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후기 구석기인의 생존전략에 대해 접근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천마총 출토 백화수피제 장니의 제작과 특징

        장용준,김종우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동원학술논문집 Vol.16 No.-

        1973년 발굴 조사한 천마총에서는 백화수피를 이용해 만든 천마도로 유명한 장니 1쌍(2점)이 출토되었다. 발굴조사가 끝난 뒤인 1974년에 장니 두 점은 국보 제207호로 지정되었다. 장니는 말이 달릴 때 기승자의 의복을 깨끗하게 유지해주고, 말을 탔을 때 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말을 등자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도 한다. 천마총이나 금령총처럼 왕과 귀족의 위세품이나 부장품으로도 사용되었던 귀한 물건이기도 했다. 그 동안 천마총에서 출토된 장니 중 백화수피제 천마문 장니는 자작나무의 껍질, 즉 백화수피로 만들었고, 여기에 그림이 그려졌다는 사실 이외에는 알려진 것이 많지 않았다. 국민들에게 천마도로 알려진 천마문 장니는 장니(하)로 그 위에 놓여있던 장니(상)의 아래쪽에서 출토되어,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했다. 2014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개최한 천마총 특별전 『天馬, 다시 날다』와 2015년 『천마총출토 천마문장니(天馬塚出土 天馬文障泥)』의 발간으로 보존수복되지 않았던 장니(상)을 처리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장니(상)과 장니(하)의 제작기법을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신라시대 장니가 어떠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백화수피의 특징을 살펴보고, 사용된 나무를 추정해보았다. 다양한 실험과 관찰로 장니판이 어떻게 제작되고, 장니 2점의 도상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3D스캔 등을 활용해 제작 당시의 장니 모습을 복원해보았다. From April to December 1973, archaeologists conducted excavations in and around Daereungwon Ancient Tomb Complex in Gyeongju, uncovering a total of 11,526 artifacts from the Silla Dynasty. One pair of mudguards, referred to in Korean as jangni, decorated with a painting of the 'heavenly horse' made of birch bark, were excavated in 1973 from the Cheonmachong Tomb, whose name translates to the “heavenly horse” tomb. In the process of conserving and restoring the well-known mudguard (saddle flaps) with 'heavenly horse' painting (below) and the other jangni (above),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jangni was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ttest that the mudguards provide important re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levels of technology and painting among the people of the Silla period, as well as their views on the afterlife.

      • KCI등재

        韓半島와 日本 九州地域의 後期 舊石器文化의 交流- 슴베찌르개(剝片尖頭器)를 中心으로 -

        장용준 한국상고사학회 2007 한국상고사학보 Vol.58 No.-

        This paper discusses cultural exchange of tanged points(Sumbezzirugaes) for the Korean Late Paleolithic. After the tanged points(Sumbezzirugaes) were excavated in Whadae-ri, Jingeunul, Suyanggae, etc, it was found that this stone tools had been used i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anged points were made by the blade techniques(crest and non-crest). It can be said that tanged point was developed by combining the local tool type and the flaking techniques from the external world. The types of points in the Korean peninsula had been continuously changed from the tanged points(Gorye-ri & Jingeunul) to the composited points & the narrow-bladed points(Suyanggae) and then to the composited points & the leaf-typed points(Shinbuk-ri, Seokchang-ri & Wolpyeong-ri). The layer that Contained Airatanzawa tephra(24ka) was unearthed tanged point in Kyushu. From this lithic tool, it is postulated that Korean Peninsula has cultural relations with the Kyushu of Japan in Upper Paleolithic. But blade technique of this area didn't use in crest technique for blade(blank of tanged point). The tanged points of Korea have co-existed with microblades.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Upper Paleolithic of the Korea and that of Kyushu Island of the Japan. 한반도와 일본 九州지역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슴베찌르개는 당시 석기군의 양상으로 본다면 각 지역문화의 영역을 넘어선 접촉 또는 교류의 증거물이었다. 이 시기는 最大氷河 極盛期(LGM)에 해당하면서 해수면이 하강하여 陸橋까지는 아니지만, 구석기인의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두 지역이 가까웠던 시기였다. 이 때를 이용하여 한반도에서 처음 출현한 슴베찌르개가 일본으로 전해졌다. 일본출토 슴베찌르개(剝片尖頭器)는 여러 면에서 나이프형 석기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지만, 기본적인 박리기술과 석기 형식은 AT층 이전의 석기문화와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특히 석인 또는 종장박편을 활용하여 도구를 제작하는 개념의 전환은 이전의 석기군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다. 슴베찌르개의 등장과 함께 九州지역은 10cm이상의 대형 수렵구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갖추게 되었고, 그 후 이 지역에는 角錐狀石器(추형찌르개)․槍先形 尖頭器를 비롯한 여러 수렵구가 출현하였다. 이런 사실은 슴베찌르개가 단지 하나의 석기형식에 지나지 않지만, 그 근저에 깔려있는 하위 문화적 속성을 같이 전달시켜줌으로써 九州지역의 수렵문화에 많은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한편, 九州지역의 각추상석기의 원류가 한반도의 슴베찌르개에 있을 가능성이 높았다. 한국의 경우 슴베찌르개가 후기 구석기시대 후반의 세석인 단계까지 지속되는 반면, 일본출토 슴베찌르개는 단기간에 사용된 뒤 각추상석기로 변화하여 세석인단계 직전까지 사용되었다. 비록 한반도로부터 일본 구주지역으로의 대규모 이주증거는 찾을 수 없었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접촉 또는 교류가 있었음은 분명하였다.

      • KCI등재

        Trade Liberalization and Firm Productivity:Evidence from Korea

        장용준,조미진,김한성 한국무역학회 2015 Journal of Korea trade Vol.19 No.4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Korea’s FTAs on firm productivity at home. Among the various channels though which trade liberalization can affect firm-level productivity, we focus on the expansion of exports as the major channel. Using our unique firm-level data with 5,981 firms over the period 2001-2009, we first identify the major direction of causality from exports to firm productivity under Korea’s FTAs and find that 1) Korea’s FTAs have positive impacts on domestic firm’s TFP via the export channel, 2) mostly these effects happen after the effectuation of FTAs, 3) the positive ex post effects of FTAs on firm’s TFP are more prominent in the SMEs in the short-term but in large-sized firms in the long-term, and 4) in some parts there are positive ex ante effects (i.e., conscious self-selection) of FTAs on firm’s TFP in the group of large-sized firms in Korea. In sum, this paper presents the primary evidence for the positive role of FTAs in Korea’s economy, and our findings further suggest that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FTA depending on the firm siz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strategic and effective use of FT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