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베스트셀러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인성교육 덕목 분석

        임원신(Lim, Won-Shin),방은정(Bhang, Eun-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3

        본 연구는 최근 3년간의 국내 베스트셀러 그림책 98권에 나타난 유아인성교육 덕목의 경향성과 그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2012)에서 제시한 인성교육 덕목인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의 6가지 범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스트셀러 그림책에는 총 281개의 덕목 내용이 분석되었으며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 중 배려와 존중은 비교적 자주 나타난 반면, 효는 거의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범주들을 모두 분석해본 결과 1위가 가족을 위한 공감과 배려(14.2%), 2위가 자신과 전통문화에 대한 존중(10.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덕목들은 그림책에 다양한 내용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다양한 인성교육 덕목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특정 덕목에만 편중된 것으로 나타나, 좀 더 다양한 인성교육 덕목을 포함한 그림책이 대중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endency and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displayed in picture books for children. For that purpose, a set of 98 bestselling picture books in the past three yea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Six categories of character education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6) were adopted for this research: consideration, respect, cooperation, sharing, order and filial piety.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se picture books contained the contents dealing with all the six virtues and their nineteen subcategories. The category of consideration was presented more than the other categories, followed by respect and cooperation. In particular, filial piety was slightly expressed, whereas consideration and respect were relatively often presented in the picture books. Second, the analysis of subcategories found that consideration for family and respect for oneself and traditional culture were the top two elements present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books. It might be concluded that these picture books dealt with a very limited number of virtues, though a variety of virtue categories were expressed in them. Thus, it is necessary that picture books for children should deal with a balanced list of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어린이집교사의 셀프리더십,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역량 간의 관계

        임원신(Lim Won Shin),이진화(Lee Jin Wha)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교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조직시민행동, 조직역량의 세 변인간의 상 관성을 분석해 보고 어린이집교사의 셀프리더십 및 조직시민행동이 어린이집의 조직역량에 미치는 영 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함양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논의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교사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린 이집교사의 셀프리더십, 조직시민행동, 조직역량 간에는 .40 이상의 비교적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 였으며, 각각의 하위영역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셀 프리더십,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 직역량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셀프리더십(전체) 및 각 하위영역에서는 건설적사고, 자기기대가 조직역량(전체)과 조직역량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 직시민행동이 조직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조직시민행동(전체)과 시민정신, 양심 성, 스포츠맨십, 예의성 등이 조직역량(전체)과 조직역량 하위영역 별로 각각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및 직전 교사교육과정에서의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조직의 목표와 비전공유, 양방향적 의사소통 체계의 수립 등 어린이집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조직 시민행동 함양을 위해 필요한 내용들이 논의되었다. This current study sought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in-service teachers'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ir organizational competency to discuss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257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complete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date,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e relatively high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ompetency. Secondly, teachers’ self-leadership(total), the constructive thinking and self-expectation showed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ts sub-scal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organizational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ways were discussed to develop the ability of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 KCI등재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상 형성: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임원신 ( Won Shin Lim ),최예린 ( Ye Lin Choi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그림책에 나타난 교사에 대해 분석해 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교사상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C시에 소재한 대학의 아동복지학과 4학년 재학생으로서 교직실습을 앞둔 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연구기간동안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그림책을 읽고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하면서 좋은 교사상과 적절하지 않는 교사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좋은 수업에 대해 반성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교사는 좋은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임을 인식하였다. 둘째, 그림책 읽기를 하는 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과거와 현재에 자신이 경험한 유아교사를 회상하면서 바람직한 유아교사상을 형성하게 되었다. 나아가 예비유아교사들은 그림책에 등장한 교사의 모습을 통해 나는 앞으로 어떤 교사가 될 것인가 기대하게 되었다. 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 활동이 예비유아교사들의 바람직한 유아교사상 형성에 효과적인 교사교육의 한 형태라는 것을 제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ations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and journal writing after reading picture books. Participants consist of eleven student teachers preparing for kindergarten practice teaching. Data a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s` journals and small group discussion. Qualitative methods were employed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what makes a good or poor teacher to children through reading picture books. Secondly, they did reflective thinking about good lessons during discussion and writing journals. Thirdly, the pre-service teachers obtained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ations by remembering past teachers. Finally, they anticipated the kind of teacher they would become through reading picture books, because picture books show a variety of situations including good teachers, poor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in teacher education in developing teachers` expectations.

      • 산책활동에서 나타난 2세 영아의 자연과의 만남 및 이해

        임원신 ( Won Shin Lim ),한인숙 ( In Sook Han ) 한국유아체육학회 2009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2세 영아의 산책활동을 통해 자연과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자연이 영아들에게 어떻게 이해되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어린이집의 종일반 만2세 영아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영아들이 산책활동에서 보고, 느끼고, 경험하는 영아들의 세계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산책활동에서 2세 영아는 자연과의 만남을 매우 즐겁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산책활동의 횟수가 더해갈수록 발견하기, 탐색하기, 표현하기의 과정은 더욱 활발하게 나타나 영아의 언어, 신체 및 정서 발달 등 전반적인 발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책활동에서 놀이가 더 활성화 되고, 그 놀이를 통해 자연에서 스스로 많은 것을 배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아들은 자연과의 만남을 통해 끊임없이 발견하고 탐색하며, 적극적인 놀이와 학습으로서 자연을 이해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roll activities on two-year-old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na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selected two-year-old children. 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arried out to gather the data about what the two-year-olds saw and experienced and how they felt while they took a wal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two-year-olds appeared t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troll activities with joy and they seemed to be enjoyed to see nature. The detailed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wo-year-olds took an increasingly active attitude toward discovering, exploring and expressing as they were more involved in the stroll activities, which contributed to facilitate their overall development including verbal, physical, and emotional growth. Second, prolonged participation in the stroll activities encouraged the two-year-olds to play in a more dynamic manner, and they were able to learn more from nature on their own in the process. In a word, the two-year-olds continued to explore nature and discover more things in it, and they looked at nature as a vehicle of play and learning.

      • KCI등재

        유아교사의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 소진,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임원신(Lim Won Shin),이진화(Lee Jin Wha)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 소진,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 이 있으며 이를 통해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현직유아교사 18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은 .54(p < .01)이상의 비교적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 며,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이 조직시민행동(전체)와 각 하위 영역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 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과 소진은 -.47(p < .01)의 비교적 높은 부정적인 상관관 계를 보여주었다.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은 소진(전체)과 각 하위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었 으며 부적인 방향으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소진과 조직시민행동은 -.59(p < .01)으 로 비교적 높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소진은 조직시민행동(전체)과 각 하위 영역에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었으며 부적인 방향으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 으로 조직커뮤니케이션만족과 조직시민행동 함양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This current study sought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in-servic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burn-out and to discuss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A total of 186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nalysis the dat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in early childhood teaching. Also,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fluencing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ly,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teach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burn-out. Also, teach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that had an influence on burn-out. Lastly,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s’ burn-out and its sub-scal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ways were discussed to develop and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정의 소득수준, 어머니의 우울 및 관계적 변인(사회적지지, 부부관계, 정서적 부모자녀관계)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임원신(Lim Won Shi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가정의 소득수준, 어머니의 우울과 관계적 변인인 사회적지지, 부부관계, 정서적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각 변인들이 갖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을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자료로부터 1017개 가정의 소득수준, 어머니의 우울, 사회적지지, 부부관계, 정서적 부모자녀관계 및 유아의 사회성 점수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가정이 저소득가정에 비해 어머니의 우울수준은 낮고, 사회적 지지 및 부부관계의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가정소득이 높고, 어머니 우울수준이 낮으며, 부부관계나 정서적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유아의 사회성이 높았다. 셋째, 정서적 부모자녀관계, 어머니 우울, 가정소득의 순으로 유아의 사회성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family income, maternal depression, social support, marital rel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 influencing child's sociality, to evaluate these factors, and to search for support measures related to the factor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1017 families having children aged from three to five years, and the scores of above factors were acquired from the data of index studies for Korean child and adolescent's development in 2009. Analysis with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test resulted in followings. Firstly, maternal depression factor showed lower scores in the general families than the low-income families, but social support and marital relation satisfaction factors showed higher scores in the general families. Secondly, lower maternal depression, favorable marital relation satisfaction and parent-child relation were well correlated with well child's sociality. Thirdly, parent-child rel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influences to child's sociality. In succession, maternal depression and family income were the important factor in decreasing order.

      • KCI등재후보

        부모와의 의사소통 도구로써 이메일 사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현황

        이진화(Lee Jin Wha),임원신(Lim Won Shi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 도구로써 이메일 사용에 대한 현황과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보육교사들이 부모와의 의사소통 도구로써 이메일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현직 보육교사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들은 이메일을 의사소통의 편리한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실제로 보육교사들은 부모와의 의사소통 도구로써 이메일을 많이 활용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이메일에 포함되어지는 의사소통의 내용으로는 학급 및 교육 정보제공 등에는 동의하지만 영유아의 교육 및 발달 상담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은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인 근무시설 유형, 연령, 경력, 담당유아연령에 따라 이메일 사용의 인식의 차를 살펴보면, 특히 이메일의 내용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으로 이메일을 부모와의 의사소통 도구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가 이메일 사용 시 다룰 수 있는 내용 선정에 대한 협의, 이메일 사용으로 인한 교사의 업무과다를 방지하기 위한 행정적인 지원, 이메일 사용에 대한 교육 등의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urvey daycare teachers’ perception of email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facilitate it in daycare centers. Total 285 day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s, revealing that they regard e-mail as a convenient communication method with parents, however only 64 teachers have used e-mail for that purpose. This limited use results from their perception that beyond class or educational information serious information such as developmental problem can not be communicated readily by e-mail.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email communication was observed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such as teaching experience, their age and affiliation, children age, etc.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eachers, parents and daycare center should lay down guideline on email contents for teachers to facilitate email communication with parents in daycare center. Since email communization may require additional work, daycare centers provide compensations such as more helpers and worktime reduce. In addition, consulting skills by email should be systematically educated to teachers.

      • KCI등재

        이주배경 중국동포 청소년의 정체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최운선 ( Woon-sun Choi ),임원신 ( Won-shin Lim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구 한국가족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26 No.2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identity of Korean-Chinese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living in South Korea.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four Korean-Chinese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and analyzed using a case study research method.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soon after migration, Korean-Chinese adolesc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and conflicts in language, academic and career choices, peer relations. Second, parents, peers, and teachers were included as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an adolescent’s identity. Third, bilingualism, nationality, and attitude toward their backgrounds emerged as important identity-related issues. Finally, the participants identified themselves as closer to Koreans or Korean-Chinese, and the more they adapted to Korean society, the more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being closer to Koreans from Korean-Chinese.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 guidelines to be considered for supporting Korean-Chinese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a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