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幼兒體育의 正當化에 관한 一小考

        김성재 한국유아체육학회 2003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4 No.-

        본 연구는 유아체육이 正當化될 수 있는 방안을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 고찰해보고, 유아체육 활동 그 자체만으로 正當化될 수 있는 內在的 接近方式을 哲學的 硏究方法인 論理와 推論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에 연구목적이 있다. 유아체육의 正當化란 유아체육을 해야만 하는 이유와 그 가치에 관한 談論으로 이러한 요건들이 명확해질수록 유아체육을 해야만 하는 正當化 논리는 성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유아체육의 필요성과 그 가치를 논한 학문적 영역은 發達心理學的 接近方式에 머물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유아체육의 正當化 논의를 위해 人文學的 영역과 自然科學的 영역으로 이원화하고, 전자에는 哲學的, 歷史-思想的 接近方式을, 후자에는 醫學的 接近方式으로 보다 세분화하였다. 유아체육이 오늘날의 유아들에게 필요한 영역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유아체육 활동 그 자체가 目的性을 띨 수 있는 즉 內在的으로 正當化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하리라 본다. 다른 그 무엇인가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外在的 正當化 方式으로는 유아체육의 正當化를 논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유아체육이 신체발달이나 창의성 발달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적 가치로서만 중요하게 여겨진다면 유아체육을 꼭 해야만 하는 정당한 이유는 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굳이 유아들이 정규시간을 내어 체육을 하지 않더라도 다른 신체적 활동이나 자유선택놀이로 얼마든지 창의성과 신체발달 등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아체육 활동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있는 방안 즉, 유아체육의 目的的 價値는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골목길 놀이문화가 사라진 지금, 그 동안 유아들이 잃어버렸던 놀이문화의 회복과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놀이문화의 창출에 있다고 하겠다. 놀이문화에 접한다는 것은 공적 전통으로서 인류 공동의 신체문화에 입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놀이문화의 회복과 창출에 무게를 둔 目的的·內在的 正當化 方式이야말로 유아체육을 해야만 하는 이유다운 이유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ach regarding justif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n, it's to infer the importance and value of PㆍE for pre-school children. Because The justification of PㆍE for pre-school children must consider the importance and value of PㆍE.for pre-school children. It's used three approach about justification. Firstly, it's classified philosophical and historical-thought aspect as the category of culture science. Secondly, medical science as the category of natural science. Last, it's used immanent approach to justify of Physical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According to the philosophical approach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Polany's knowledge, there were two different types knowledge that one was about knowing-that and the other was about knowing-how which has been called tacit knowledge. So pre-school children should need to learn tacit knowledge through Pㆍ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investigation of historical-thought aapproach which was derived from a few thinkers's thought, we have to know that pre-school children must need to learn PㆍE to help the developent of holistic human. Namely, pre-school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perception and creative ability through PㆍE. The justification of PㆍE considering medical science was related to laughing and exhalation of stress. Finally. PㆍE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covery and invention of playing-culture according to the immanent approach to justify of PㆍE for pre-school children.

      • 발달적 체육교육에 기초한 유아체육의 발전방안

        이희선 한국유아체육학회 2000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유아 체육의 개념과 유아의 성장 및 발달 특성을 바탕으로 한 발달적 체육 교육에 기초하여 유아 체육의 발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발달적 체육 교육은 유아의 발달 단계별 체육 프로그램 운영을 말하며, 발달적 체육의 중요한 공헌은 운동 발달 영역이며, 운동 발달은 개인과 환경 그리고 과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개인의 운동 행동을 점차적으로 변화시킨다. 운동 발달의 단계는 초기 단계, 기초 단계, 전이 단계, 응용 단계, 평생 활용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6-7세 정도면 성숙 단계에 이르게 되지만 그 시기는 개인차가 크게 나타난다. 성숙 단계의 움직임 기술은 무든 스포츠 기술의 기초가 되므로 유아기에 학습 되어져야 한다. 유아 체육은 가정에서 시작되어 유아 교육 기관과 사회 체육 센터 및 일반 체육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유아 체육이 발전하여 평생 체육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현대 사외에서 유아 체육의 중요성과 체육의 교육적 기능을 교육학자, 체육학자, 유아 교육의 현장 교사 뿐만 아니라 일반인이게 인식시키는 것이다. 2) 발달적 체육 교육에 의거하면 일반적으로 유아기에 형성되는 성숙 단계의 운동 기술은 다른 동작으로 전이되어 평생 유용하게 활용된다.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동작을 위한 학습과 동작을 통한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체계적인 유아 체육 교사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3) 유아 교육 기관과 지역 사회 스포츠 클럽의 협동 테제 구축으로 교육으로서의 유아 체육과 사회 체육으로서의 유아 체육이 균형 있게 발전되기 위하여 체육 시설이 부족한 유아 교육 기관의 유아들은 주 1-2회 인접한 스포츠 센터에서 활발한 신체 활동을 할 수 있게 하고, 일반 체육관에서는 스포츠 기술뿐만 아니라 유아의 인지 및 정서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이 실시될 수 있어야 한다. 4) 발달적 체육 프로그램에 기초한 유아 체육이 평생 체육으로 연계되기 위해서 유아기 신체 활동은 재미있고 즐거운 놀이 중심 활동으로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활발하게 운동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a plan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based on the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The objective and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have not been clear although a lot of people earnestly desire to bring up their children to be health adult.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means to perform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lo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contributes to the domain of motor development. Movement development gradually changes individual physical activities which are composed of the task, the biology of the individual, and the condi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fundamental movement skill phase is made up of six stages; initial stage, elementary stage, mature stage, transition stage, application stage, and life-long utilization stage. Generally the mature stage can be attained by age six or seven children frequently, but children reach this stage at varying rates. Mature fundamental movement skills are the basis of all the sport skills, so they should be learned in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begins at home, but it has tendency to be accomplished at kindergarten, gymnasiums, and sport center. Therefore, the plan to develop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into the life-long physical education is as follows 1) The importance and the function of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recognized by the public as well as a learned man and physical educators. 2) The proper program about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nd it should educate teachers of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3)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in both education and social dimensions. 4) It is necessary to study of connecting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based on the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and life-long sports.

      • 유아스포츠지도사 양성 제도의 뉴 패러다임 제안

        이형국 ( Hyung Kook Lee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3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체육의 정규교육을 담당하는 정규 유치원 체육교사가 양성 되어 학문성을 기초로 한 전문적 유아체육이 이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따라 서 유아운동활동 부문에는 급변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전문성을 갖춘 국가 체육지도자를 양성하고 그에 따른 발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가 자격으로 설정된 유소년스포츠지도사 양성 제도의 올바른 정착과 시행을 위해, 우리 모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유아체육학이 정착이 선결되어야 하며, 이어서 유아체육 교과내용이 지금보다 더 객관화, 체계화되어 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아체육지도자 양성제도와 관련하여 뉴 패러다임을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체육의 정체를 정확히 파악하고, 규정함으로써 학문으로서 체계적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치원 정규 교과과정 내의 유아체육의 콘텐트를 학문성에 근거하여, 확립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유치원 정과수업 외 방과 후나 주말 등에 이루어지는 유아운동활동 분야에서 차별화 된 교육내용 형태를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향후 유소년스포츠와의 관계를 정확히 함으로써, 유아운동활동 프로그램을 교육내용을 원칙에 입각해 구체화, 전문화하여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looked into professional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cultivation of teachers of physical education for kindergarten, who are responsible for the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based on academic foundation.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measures for cultivating the nation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specialization who can cop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rapidly changing era in the field related to the children sports activity. We need to make concerted effort to ensure that the children sports instructor develop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government certification of qualification takes root and can be implemented properly. For that, the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study needs to be established first. In addition, the contents of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become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In relation to the system to cultivate the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he new paradigm can be proposed as follows: First, By identifying and defining the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correctly, the well-organized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as part of academic study. Second, The contents of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academic context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of kindergarten. Thir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differentiated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children sports or exercise activities after school or weekends, in addition to regular classes of kindergarten. Forth, By clearly defi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future children sports, the children sports or exercise activity programs should incorporate the specificity and specialization based on the education contents.

      • 3-5세 누리과정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의 체육현황과 발전방안

        조영희 ( Young Hee Cho ),김옥자 ( Ok Ja Kim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3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정의 누리과정의 도입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체육활동 현황을 살 펴보고 이에 따른 발전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를 참고하여 체육관련 활동 내용을 분석하고 유아체육의 위치와 발전방안을 살펴보았다. 현재 누리과정은 5새 영역(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체운동·건강영역은 신체 인식 하기, 신체 조절과 기본 운동 하기, 신체 활동에 참여 하기, 건강하게 생활하기, 안전하게 생활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누리과정의 도입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체육활동에 몇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첫째, 체육활동 포함한 특별활동 오후 시간대 편성으로 인한 유아체육교사들의 활동시간 축소를 가지고 왔다. 둘째, 체육활동 포함한 특별활동영역 교육비에 대한 학부모의 부담을 가지고 왔다. 셋째, 누리과정안의 신체운동 및 건강영역 지침서를 통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체육활동의 교육이 가능할 수 있다. 넷째, 원장과 유아체육지도자간의 견해차이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기관 내에 전담 체육강사 필요, 유아 체육지도자의 국가자격증 제도 보완 필요 신체운동 · 건강 영역에 관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체육지도자의 재교육이나 연수의 체계적인 실시, 유아체육의 법적 근간이 마련,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교수자료와 교재, 도구 및 교구의 개발, 보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nt conditions of the children physical activity and to find out the improvement ways to activate the children physical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Nuri Curriculum for age 3-5. The category of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consisted of body awareness. body control, performing basic movement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healthy life, and safe life. The problems according to Nuri curriculum were as follows ; First, reduced activity of children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because of changing afternoon classes. second, parents` burden about education expenditure, Third, possibility of physical activity teaching by children teachers, Forth, difference of directors an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The solutions were as follows ; First, Employment as Physical activit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Need of national Certificate and License, Third,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contents according to Nuri, Forth, Education for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Fifth, Legislative requirement about physical activity, Sixth, Development and supply of teaching programs, tools.

      • 유아체육 현황과 향후 방향

        김양례 ( Yang Rea Kim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3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체육의 현황 분석과 향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먼저 유아 체육에 대한 정부지원의 당위성을 살펴보았으며, 국내외 유아체육 관련 조직과 정책에서의 유아체육을 분석한 후 유아체육의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아체육 은 체육활동을 통해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고 생애체육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전인적 발달은 체육활동이 유아의 인지적, 정의 적, 사회적, 신체적 발달을 조화롭게 달성하도록 한다는 의미로서, 체육활동을 통 한 학습 방향과 부합하는 것이다. 생활체육 기반 구축이란 유아기 체육활동 입문 기회를 확대하여 운동 습관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평생 동안 체육활동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자는 의미로, 체육활동을 위한 학습 기회 확대 방향에 부합하는 것 이다. 따라서 유아체육의 향후 방향을 체육을 통한 학습 기회 확대와 체육을 위 한 학습 기회 확대인 생활체육 참가 기회 확대 측면에서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need for the government support to th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current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organizations and policies associated with domestic and overseas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and presented the future courses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The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should ensure the well-rounded development of children based on th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ctivities and help lay foundation for lifetime physical education. The well-rounded development means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children in terms of cognitive, affective, social, and physical development, and maches the learning direction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ctivities. Laying the foundation for lifetime physical education means expanding the opportunity for children to be involved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ctivities, thus making the exercise a habit, and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ctivities throughout their lives, and matches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learning opportunities for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ctivities. Thus, the future course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based on the expansion of opportunity for the learning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long with the opportunity for participating in everyday sports activities that can help increase the learning opportunity for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 유아스포츠지도사 양성 제도의 뉴 패러다임 제안

        이형국 ( Hyung Kook Lee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5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6 No.1

        유아스포츠지도사를 올바르게 양성하기 위해서 일의 선·후를 어떻게 할지에 관해서는 이 분야 전문가들이 허심탄회하게 그리고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지금 벌어지고 있는 그리고 우리들이 시급히 해야 된다고 인식된 과제부터 해결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미래 유아체육학 발전과 밀접한, 〈유아스포츠지도자〉 양성 제도의 올바름과 체계화 정립과 더불어, 다각도의 노력과 애정 및 관심을 지속하는 것은 이 분야의 발전에 큰 족적으로 남게 되지 않을까 믿어 의심치 않는다. 미래의 유아체육지도자 양성제도와 관련하여 뉴 패러다임을 제안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체육의 정체를 정확히 파악하고, 규정함으로써 학문으로서 체계적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 학문관련 용어와 자격관련 명칭 등을 명확히 설정하여야 한다. 둘째, 유치원 정규 교과과정 내의 〈유아체육의 콘텐트〉를 학문성에 근거하여, 확립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규교과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유치원 체육교사” 를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를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유치원 정과수업 외 방과 후나 주말 등에 이루어지는 〈유아운동활동 분야〉에서 차별화 된 교육내용 형태를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체육 분야는 한국유아체육학회 산하, 가칭) “유아스포츠지도사” 자격 제도를 시급히 설립 시행하여, 초등학교 체육과의 연관을 도모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유소년스포츠〉와의 관계를 정확히 함으로써, 가칭) “유아스포츠 지도사”가 시행할 〈유아운동활동 프로그램〉을 교육내용을 원칙에 입각해 구체화, 전문화하여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Ultimately, we must join forces for a proper enforcement and settlement of <Youth Sports Instructor>training system that meets high standards. For this <Child Physical Education> must be correctly fixated, along with strictly objectifying and organizing <Child Physical Education Course Contents>. To properly nurture Child Sports Instructors, professionals need to have an open-mind and profoundly contemplate on this issue. It is necessary to start from where it needs to be altered and improved the most. If the <Child Sports Instructor Foster System>, which is closely linked to the future of youth physical education, has a surpassing system with the support of continuous care and interests, it will bring enormous advancements in this field. These are the following proposals in setting a new paradigm: 1. Youth physical education must be set with clearer identity and methodical structure. Terminologies for the study and qualifications needs to be established distinctively and specifically. 2. <Youth Physical Education Contents> must be based on scholarly knowledge, while focusing on ways to secur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qualified to teach regular curricula. 3. Afterschool programs must have differentiated contents and activities from the regular curricula. For this <Child Sports Instructor Foster System> must be pushed forward as soon as possible. 4. In order to enforce the new <Child Sports Instructor Foster System> child and youth exercise programs must be created according to these proposals.

      • 일본의 유아체육

        이정숙 ( Jnng Sook Lee ),전교명 ( Akira Maehashi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4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일본의 유아체육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유아체육은 1964 년 도쿄올림픽 대회를 기점으로 연구와 교육은 1970 년대 무렵에 시작되었다. 그 후 산업계에서 조기교육 개발이 일본 유아체육 활성화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의 유아체육 교육자들의 관심내용은 초기에는 체력기르기에서 비롯되어 사회과학계와 자연과학계 분야에서 관심이 높았으나, 1990 년 후반부터 의학과 생리학으로 연구 분야가 확장되었다. 최근에는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말미암아 생활습관과 관련한 연구와 프로그램의 실천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본 유아체육의 목적은 다양한 신체활동을 통하여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고 운동욕구의 만족과 신체의 제 기능의 조화적 발달을 도모하고 정신발달 및 사회성발달을 촉진하여 심신이 건전한 유아로 기르는 것이다. 또한 일본의 유아체육은 유아가 살아가기 위한 힘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 유아체육 현장에서의 주요 프로그램은 운동기술과 운동을 통한 즐거움 행복감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야형사회로 인해 나타난 유아의 생활습관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현장실천 프로그램 연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의 유아체육지도자는 현재 한국의 상황과 여러 부분에서 유사하다. 유아체육 지도자를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기관은 학회 및 협회에서 주로 그 역할을 하고 있고 대학의 학과 및 교과과정에서는 구체적으로 유아체육 관련 수업이나 연구가 전문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Japan``s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Starting from the 1964 Tokyo Olympics, research and education for Japan``s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began in the 1970s. Later, the industry``s development of early education influenced the progressive growth of children``s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he interests of Japanese educators were initially on increasing physical fitness and therefore drawn towards the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In the late 1990s, the scope expanded to include medicine and physiology. Recently, studies on lifestyle and habit have swiftly emerged reflecting the rapi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The goal of Japan``s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is to promote mentally and physically healthy upbringing of children. This is realized by achieving educational goals through various physical activities, satisfaction exercise needs and balanced bodily development, and promoting healthy mental and social skills. The program aims to also increase children``s fitness. The main program in Japan``s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aims to help subjects experience enjoyment and well-being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and focuses on practical research and programs geared to normalize children`` s lifestyle in an increasingly an owl style society. Japanese educators share several similar aspects to their Korean counterparts. Institutes and societies are the main providers of professional training for educators and university departments and curricula do not offer in-depth courses on children physical education.

      • 한국의 유아체육 지도자 양성 문제와 발전적 활동 영역

        이희선 한국유아체육학회 2003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4 No.-

        본 연구는 한국의 유아교사 및 체육 지도자의 지위와 역할 모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가적 양성제도와 발전적 활동영역을 고찰한 결과, 첫째, 한국의 유아교사 및 체육지도자 양성제도는 크게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1) 한국의 국가적 수준에서의 유아교사는 행정적 제도상 크게 교육인적자원부와 보건복지부의 법령에 따라 이원병행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의 유치원 교사자격에는 유치원 2급 정교사, 1급 정교사, 원감, 원장 자격이 있고, 보건복지부의 보육교사자격에는 보육교사 2급, 1급, 시설장 자격이 있다. 2) 현행 국가공인의 체육지도자는 교육부에서 자격을 발급하고 학교체육을 담당하는 초, 중등 1급, 2급 정교사(체육)와 문화관광부 산하 체육과학연구원에서 관장하고 자격을 발급하는 경기지도자 2급, 1급과 생활체육지도자 3급, 2급, 1급이 있다. 3) 유아체육지도교사 자격증은 문화관광부 등록법인과 교육인적자원부 산하인 서울시교육청 등록 비영리 공익법인에서 발급하는 유아체육지도교사 2급, 1급 자격이 있다. 둘째, 유아체육지도교사의 발전적 활동영역은 유아교육기관과 사회체육기관에서의 활동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여가생활과 문화 프로그램을 접목하여 조화를 이루며 직접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활동영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체육 지도교사의 활동영역은 형식적 교육과정과 비 형식적 교육과정에서의 역할이 있고, 유아교육의 전문화 추세에 따라 특성화된 유아교육기관을 운영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다. 2) 사회체육 센타에서의 유아번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유아체육학교 운영은 유아체육지도교사의 발전가능성 있는 활동영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3) 유아체육지도교사의 새로운 발전적 활동 영역으로 방과 후 및 주말체육이 있다. 방과 후 혹은 주말에 잠시 시간을 내어 즐거운 시간도 보내고 건강관리도 하며 신나게 뛰어 놀도록 하는 어린이 스포츠 교실에서 유아체육지도교사는 각종의 체육 프로그램 진행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여가생활과 조화를 이루며 직접 경영할 수 있다. 4) 유아 및 아동의 스포츠 멤버 쉽 클럽으로 스포츠 레저 뿐 만 아니라 사회문화, 다양한 캠프와 이벤트 프로그램 등을 골고루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유아 및 아동들이 평소 접할 수 없는 뉴 스포츠프로그램 및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운영도 유아체육지도교사의 새로운 활동영역으로 발전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aining system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s physical education leaders in Korea.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bring up with the expanded spheres of activity for the teachers and the lead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ree kinds of education systems to trai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s physical education leaders in Korea. 1) Systems to train early education teachers are put into operations by coexistent laws;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Law, and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Law. The former qualifies for kindergarten teachers, deputy directors of kindergartens, and directors of kindergartens. Also, the latter qualifies day-care center teachers and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2) There are two national organizations in charging of training physical education leaders. The organizations are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Korea Sport Science Institute, a subsidiary research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first issues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qualifications for physical education. The next issues licences for Atheletic Coach (Level 1,2) and the leader of Sports for All(Level 1,2,3). 3) Training system for children s physical education leaders are developed and maintained non-profit organizations enrolled to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or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 representative example is Korean Federation of Child physical Education. From this organization, the qualification for children s physical education leaden are granted. Secondly, the activities of early education teachers and leaders of sports are growing into four independent spheres in Korea. 1)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ings required for early education teachers and leaders of sports are different whether the institution offers formal curriculum or informal curriculum. Whether the curriculum is formal or informal, the teachers and leaders can play leading roles in managing the institution due to the specialization trend for educating children. 2) Being in charge of preschool classes at sports centers or running physical education schools for children can be a practicable and favorable sphere of activity for the teachers and the leaders. 3) Early education teachers and leaders of sports can meet the children's need of physical education at their spare time, after-school and weekend. For children, early education teachers and leaders of sports can arrange programs for spending enjoyable time, learning sports, and managing health. Also, the teachers and the leaders can run these leisure sports institutions for themselves. 4) Early education teachers and leaders of spats can work for sports membership clubs and cultural enterprises for child. In these organizations, they can plan and coordinate programs and events in order to help children have various sociocultural experiences and learn newly-introduced sports in Korea.

      • 한국 유아체육 20년, 그 성과와 과제

        이형국 ( Lee Hyung Kook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6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7 No.2

        현재 영유아교육의 발전이 진행되는 환경 상에서, 영유아들의 올바른 발육발달을 위해, 서로 협력해 온 우리 유아체육의 국내 20년을 돌아보는 것과 더불어 유아체육 발전을 위한 미래과제를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이를 위해 당면하고 있는 해결 과제를 유아체육 정책, 유아체육 정체성, 그리고 유아체육 학문성 측면에서 간략히 거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체육 정체성 정립에 매진해야 한다. 둘째, 유아체육 정책 측면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아체육 학문성 체계 갖추기에 보다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체육학 이론 및 현장학습 부문에서의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하다.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iscuss the future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to look back on the twenty years of Korean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cooperating with each other for the proper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development of infant education is progressing. 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is regard are briefly mentioned in terms of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olicy,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dentity, and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discipline. First, we must be committed to establishing identity of physical education for early-childhood. Second, act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terms of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olicies. Lastly,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equipping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in the theory of early-childhood physical education and field learning.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체육활동과 유아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분석

        이인성 ( In Sung Lee ),안을섭 ( Eul Seob An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5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6 No.1

        본 논문은 유아체육 현황을 살펴보고 유아체육활동과 유아의 건강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유아체육 정책 및 프로그램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2012년도 5차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체육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유아체육활동과 유아의 신체 및 심리적 건강상태와의 관계분석을 통해 유아체육이 유아의 전반적 발달과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체육정책 및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함께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solutions to develop physical education policy and programs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in Korea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physical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and cluld`s health and psychological condition. For analyzing, Panel Data on Korean Children(wave 5) collected by KICCE(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as used. The result of Hus study appeared that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various aspects in child`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health especially on lowering ADHA(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