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조환(大造丸) 추출물이 ${\beta}$-amyloid로 유도된 Alzheimer's disease 병태(病態)모델에 미치는 영향

        이지인,정대규,Lee, Ji-In,Chung, Dae-Kyoo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07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18 No.3

        Ohjectiv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DJR on Alzheimer's disease. Method: 1.The effects of the DJR extract on IL.-$1{\beta}$, IL-6, TNF-${\alpha}$, cox-2, and NOS-II mRNA of BV2 microglia cell line treated with LPS; 2. the behavior: 3. the infarction area of the hippocampus, and brain tissue injury in Alzheimer's diseased mice induced with ${\beta}$A were investigated. Result: 1. The DJR extrac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L-$1{\beta}$, IL-6 and TNF-${\alpha}$ mRNA in BV2 microglia cell line treated with LPS. 2. The DJR extrac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L-$1{\beta}$, IL-6, and TNF-${\alpha}$ protein production in BV2 microglia cell line treated with LPS. 3. For the DJR extract group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he memory deficit was shown for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beta}$A in the Moms water maze experiment, which measured stop-through latency, and distance movement-through latency. 4. The DJR extract suppressed the over-expression of IL-$1{\beta}$ protein, TNF-${\alpha}$ protein and CD68/CD11b, in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beta}$A 5. The DJR extract reduced the infarction area of hippocampus, and controlled the injury of brain tissue in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beta}$A. 6. The DJR extract reduced the tau protein, GFAP protein, and presenilin1/2 protein (immunohistochemistry) of hippocampus in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beta}$A.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JR extract may h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Investigation into the clinical use of the DJR extract for Alzheimer's disease of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다변수 LSTM 순환신경망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미술품 가격 예측에 관한 실증연구

        이지인(Jiin Lee),송정석(Jeongseok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새로운 미술품 유통방식의 발달로 미술품의 미적 효용을 넘어 투자재로서 바라보는 시각이 활성화되고 있다. 미술품의 가격은 주식이나 채권 등과 달리 객관적 요소와 주관적 요소들이 모두 반영되어 결정되는 이질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가격 예측에 있어서 그 불확실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LSTM(장단기 기억) 순환신경망 딥러닝 모형을 활용하여 낙찰총액 순위 1위부터 10위까지의 한국 작가의 회화 작품을 대상으로 작가의 특성, 작품의 물리적 특성, 판매적 특성 등을 입력으로 하여 경매 낙찰가의 예측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모델에 의한 예측 가격과 실제 낙찰 가격의 차이를 설명하는 RMSE 값이 0.064 수준이었으며 작가별로는 이대원 작가의 예측력이 가장 높았고, 이중섭 작가의 예측력이 가장 낮았다. 투자재로서 미술품 시장이 더욱 활성화되고 경매 낙찰 가격의 예측 수요가 높아지면서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art distribution system, interest in art investment is increasing rather than seeing art as an object of aesthetic utility. Unlike stocks and bonds, the price of artworks has a heterogeneous characteristic that is determined by reflecting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factors, so the uncertainty in price prediction is high. In this study, we used LSTM Recurrent Neural Network deep learning model to predict the auction winning price by inputting the artist, physical and sales charateristics of the Korean artist. According to the result, the RMSE value, which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price by model, was 0.064. Painter Lee Dae Won had the highest predictive power, and Lee Joong Seop had the lowest. The results suggest the art market becomes more active as investment goods and demand for auction winning price increases.

      • KCI등재

        메타포 분석을 통한 유아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

        이지인 ( Ji In Lee ),서현아 ( Hyun Ah So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자율적 양육태도 성향을 지닌 어머니가 유아기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어떠한 양육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양육 태도 검사를 거쳐 선별된14명의 자율적 양육태도 유형 어머니를 대상으로 1차적으로 메타포 검사를 실시하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자율기술식으로 작성케 하였다. 여기에 더해 메타포를 보다 의미있게 해석하기 위하여 생성된 메타포 내용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고 필요한 경우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후 생성된 모든 자료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에 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들이 가지고 있는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은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영양분’, ‘눈높이 엄마’, ‘유아와의 약속과 신뢰형성’, ‘몸에 배는 경험을 위한 무지개 빛 경험 제공’, ‘자율이라는 이름에 대한 오해’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율적 양육태도 성향을 지닌 부모들의 특성 및 목표와 내용, 방법, 자율적 양육태도를 위한 전제, 그리고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현장의 오해 등을 밝혔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tern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early childhood and who were inclined to raise their children in an autonomous wa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 selected mothers who were found to have an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when a maternal attitude test was conducted. After a metaphor test was done, they were asked to describe the meanings of their metaphors. In order to make a more profound interpretation of their metaphors, conceptual diagrams were draw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hen necessary.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es. As a result, the maternal experiences of the mothers who had an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were categorized into five areas: "nourishment necessary for the child``s sound growth," "a mother who got down to her child``s level," "keeping promises with the child and building mutual trust," "providing rosy experiences for the child to gain practical experiences," and "misunderstanding the word autonom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great implications. The data show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with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and suggest a goal, content and method for the education of these parents as well as the prerequisites for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and the fact that this attitude was misunderstood.

      • KCI등재
      •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피드백 효과에 대한 연구

        이지인(Jiin Lee),김나은(Naeun Kim),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향후 자율주행 자동차 등장은 기존의 운전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꿀 것으로 보고 있다. 주행 과업을 위임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이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주행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자율 주행 환경이 될 수록 운전자에게 제공 되는 정보의 종류는 더욱 다양해지고 정보의 양도 늘어날 것이다. 특히, 운전자가 2 차 과업을 하고 있는 동안 혹시 모를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제공해줄 것 인지에 대한 고려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R 을 통해 자율주행 환경에서 다양한 위험 상황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위험도 별로 어떤 모달리티를 활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운전자의 주행 만족도와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 KCI우수등재
      • 부산거주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

        이지인(Ji-In Lee),김철권(Chul-Kwon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1 사회정신의학 Vol.16 No.2

        연구목적 : 부산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민여성들 중 베트남 여성들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알아보았다. 방 법 : 부산 여성문화회관에 등록된 결혼이민여성들 중 베트남 여성 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신건강 설문지는 국내 정신의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척도로 본 연구에서는 모두 베트남어로 재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정신건강은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 List-90-Revision),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자아 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사회지지척도(Social Support Scale)와 가족 적응력 및 결속력 평가척도(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III)를 이용하여 사회지지 정도와 가족 내 응집력을 알아보았다. 결 과 :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에서 공포불안이 7명(11.1%), 신체화 5명(7.94%), 불안 4명(6.3%), 우울 2명(3.1%)으로 나타났다. Beck 우울 척도 22점 이상을 받은 경우는 10명(15.9%)이었으며 상태-특성 불안 척도에서 상태불안은 40.13점, 특성불안은 43.97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갈등은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 척도 중 신체화(r=.34), 강박증(r=.45), 적개심(r=.42), 편집증(r=.36) 4개의 척도와 Beck 우울 척도(r=.33), 상태불안(r=.37), 특성불안(r=.39)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Beck 우울 척도(r=-.33)는 가족응집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정신 의학적 관점에서 결혼이민여성들의 정신건강 실태를 조사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정신건 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요인을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mental health of Vietnamese women migrants by marriage who are residing in Busan. Methods : Of women migrants by marriage who are enrolled in Busan Women’s Culture Center, 63 were evaluated in the current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mental health is a scale which is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psychiatry in Korea. It was translated into Vietnamese and then used in the current study. The mental health was evaluated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Symptom Check List-90-Revision,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nd the Self-Esteem Scale. In addition, based on the Social Support Scale and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FACES),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and the cohesion within the family were evaluated. Results : A Symptom Check List-90-Revision showed that there were seven cases (11.1%) of phobic anxiety, five cases (7.94%) of somatization, four cases (6.3%) of anxiety and two cases (3.1%) of depression. There were ten patients (15.9%) who were given more than 22 points on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On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State-anxiety and the Trait-anxiety were given 40.13 points and 43.97 points, respectively, both of which correspond to a relatively higher value. In addition, the social conflic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four scales on the Symptom Check List-90-Revision, including the somatization (r=.34), obsession (r=.45), hostility (r=.42) and paranoia (r=.36),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r=.33), the State-anxiety (r=.37) and the Trait-anxiety (r=.39). Furthermore,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r=-.33)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amily cohesion. Conclusion : The current study would be of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the status of mental health from a perspective of psychiatry in women migrants by marriage. Henceforth, however, further follow-up studies are warrant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mental status by considering more variables.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일회뇨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와 24시간 뇨 알부민 배설량과의 관련성

        이지인 ( Jee In Lee ),권혁상 ( Hyuk Sang Kwon ),오수진 ( Su Jin Oh ),이정민 ( Jung Min Lee ),장상아 ( Sang Ah Chang ),차봉연 ( Bong Yun Cha ),손현식 ( Hyun Shik Son ),손태서 ( Tae Seo Sohn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4

        연구배경: 미세알부민뇨는 당뇨병성 신증의 선별검사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의 예측인자 중 하나이다. 미세알부민뇨는 24시간 알부민 요배설량(AER)을 측정하거나 일회뇨 알부민-크레아티닌 비(ACR)로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AER과 ACR의 상관관계 및 ACR의 기준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에 2006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입원한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AER과 ACR을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는 310명 이었고, 미세알부민뇨와 거대알부민뇨의 빈도는 각각 25.4%, 15.8%였다. 전체 대상 환자들에서 AER과 ACR은 상관계수(R)가 0.8인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거대알부민뇨보다 미세알부민에서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AER과 ACR의 회귀방정식과 ROC 곡선에서 나온 가장 적절한 ACR의 기준치는 31.2 μg/mg였다. 결론: ACR과 AER은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특히 미세알부민뇨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미세알부민뇨의 선별검사로서 ACR은 AER을 대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2형 당뇨병환자의 미세알부민뇨의 기준치는 31.2 μg/mg이었으나, 이 수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입원환자 대상이 아닌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Measuring urine albumin in diabetic patients is an important screening test to identify those individuals at high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e progression of kidney disease. Recently, spot urine albumin-to-creatinine ratio (ACR) has replaced 24 hour-collected urine albumin excretion rate (AER) as a screening test for microalbuminuria given its comparative simplicit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AER and ACR in the normal, microalbuminuric and macroalbuminuric ranges, and to identify the lower limits of ACR for both genders. Methods: A total of 310 type 2 diabetics admitted to one center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Following the collection of a spot urine sample, urine was collected for 24 hours and albumin content was measured in both specimens. Results: Mean patient age was 60.2 years. A total of 25.4% had microalbuminuria and 15.8% had macroalbuminuria. The data revealed a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ER and ACR across all ranges of albuminuria (R=0.8). The cut-off value of ACR for 30 mg/day of AER by the regression equation was 24 μg/mg for men, 42 μg/mg for women and 31.2 μg/mg for all patients. The diagnostic performance expressed as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0.938 (95% CI, 0.911-0.965) for ACR. ACR revealed a sensitivity of 84% and specificity of 84%, when a cut-off value of 31.2 μg/mg was employed. Conclusion: ACR was highly correlated with AER, particularly in the range of microalbuminuria. The gender combined cut-off value of ACR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as determined to be 31.2 μg/mg However, additional studies of large outpatient populations, as opposed to the inpatient population used in the present study, are required to confirm the utility of this value. (Korean Diabetes J 33:299-305, 2009)

      • KCI등재

        보육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인식 수준에 대한 연구

        이지인 ( Jiin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인식 수준에 대한 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P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9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해당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 ver.을 활용하였다. 분석은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개인정보보호의 일반적 경향성, 수준, 수준 차이 등을 확인하였다. 분석은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일반적 경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수준을 확인하면 A등급은 전체 인원의 1.3%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인원만 개인정보보호를 지키고 있다는 것으로 대부분 불합격 상태임을 나타낸다. 셋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과 경력이 낮을수록 개인정보보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보육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인식 증진을 위한 정책 마련과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ctual status of childcare teachers' privacy consciousness level.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964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P cit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5.0 ver. The analysis confirmed the general tendency, level, and level differen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tudy subject. Analysis was performed by chi verifi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care teacher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was low. Second, when checking the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childcare teachers, A grade was found to be 1.3% of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This indicates that only the relevant personnel are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most of them are disqualifi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the lower the age and experience, the higher the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prepar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to increase awar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childcare teach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