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포 분석을 통한 유아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

        이지인 ( Ji In Lee ),서현아 ( Hyun Ah So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자율적 양육태도 성향을 지닌 어머니가 유아기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어떠한 양육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양육 태도 검사를 거쳐 선별된14명의 자율적 양육태도 유형 어머니를 대상으로 1차적으로 메타포 검사를 실시하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자율기술식으로 작성케 하였다. 여기에 더해 메타포를 보다 의미있게 해석하기 위하여 생성된 메타포 내용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고 필요한 경우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후 생성된 모든 자료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에 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들이 가지고 있는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은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영양분’, ‘눈높이 엄마’, ‘유아와의 약속과 신뢰형성’, ‘몸에 배는 경험을 위한 무지개 빛 경험 제공’, ‘자율이라는 이름에 대한 오해’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율적 양육태도 성향을 지닌 부모들의 특성 및 목표와 내용, 방법, 자율적 양육태도를 위한 전제, 그리고 자율적 양육태도에 대한 현장의 오해 등을 밝혔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tern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early childhood and who were inclined to raise their children in an autonomous wa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 selected mothers who were found to have an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when a maternal attitude test was conducted. After a metaphor test was done, they were asked to describe the meanings of their metaphors. In order to make a more profound interpretation of their metaphors, conceptual diagrams were draw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hen necessary.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es. As a result, the maternal experiences of the mothers who had an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were categorized into five areas: "nourishment necessary for the child``s sound growth," "a mother who got down to her child``s level," "keeping promises with the child and building mutual trust," "providing rosy experiences for the child to gain practical experiences," and "misunderstanding the word autonom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great implications. The data show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with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and suggest a goal, content and method for the education of these parents as well as the prerequisites for autonomous maternal attitude and the fact that this attitude was misunderstood.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이지인(Lee, Ji In),서현아(Soe, Hyun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신건 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시와 울산시에 소재한 유치원 8곳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55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먼저, 어머니 삶의 만족도와 민주적-자율적 대 권위적-통제적 양육태도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애정적-수용적 대 적대적-거부적 양육태도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는 점과 정신건강이 두 변인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설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양육태도 함양을 위해 필요한 기본 정보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ental health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maternal attitud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58 selected mothers of preschoolers who attended 8 different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cities of Busan and Ulsa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Mental health had perfec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democratic-autonomous vs. authoritarian-controlling maternal attitudes. And mental health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affectionate-receptive vs. hostile-rejective maternal attitud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others were the variables to exercise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ternal attitude, and that mental health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maternal attitude in a more effective way.

      • KCI등재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일치수준과 자녀 놀이몰입 간의 관계 분석

        김성숙(Kim, Sung suk),서현아(Soe, Hyun ah)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6

        본 연구는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일치수준과 자녀 놀이몰입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아 293명과 그들의 부모 293명을 대상으로 놀이참여와 놀이몰입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아버지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자녀 놀이몰입의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자녀 놀이몰입의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은 일치 집단이 불일치 및 낮은 일치 집단에 비해 자녀 놀이몰입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놀이몰입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유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이 일치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향후 유아 놀이몰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agreement and infants’ play immersion. Accordingly, we measured the level of play participation of 293 parents and 293 infants’ play immersion using related measure.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had a higher level of play immersion in infants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play participation. Second,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mother’s play participation had a higher level of infants’ play immersion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Third, the congruent group with a high level of father and mother play particip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infants’ play immersion than the incongruent and low concordanc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or increasing infants’ play immersion, the level of parental play participation must consistently be high.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infants’ play immersion.

      • KCI등재

        유아의 놀이성과 문제행동 사이에서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김성숙 ( Kim Sung Suk ),서현아 ( Soe Hyun A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놀이성과 문제행동 사이에서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아 353명을 대상으로 유아 놀이성, 문제행동, 및 놀이몰입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나타난 결과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 놀이성은 놀이몰입에 정적인 예측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 놀이성은 유아 문제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유아 놀이몰입은 문제행동에 부적 예측 관계를 형성하였다. 넷째, 유아 놀이성과 문제행동 사이에서 놀이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유아 문제행동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최근 누리과정이 놀이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 운영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의 놀이성과 놀이몰입이 문제행동과 어떠한 관련을 맺는지 확인시켜 주어 유아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immersion betwee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problem behavior. For data, 353 young children located in city B were examined for playfulness, problem behavior, and play immer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playfulness had a positive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play immersion. Second, children's playfulness predicted child problem behavior negatively. Third, children's play immersion formed a negative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 Fourth, play immers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young child’s playfulness and problem behavior.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considerably meaningful in that they can identify the causes of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In particular, at a time when the Nuri curriculum has recently been reorganized and operated as a play-centered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have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confirming how children's playfulness and play immersion are related to problem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