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GCMG를 이용한 단축 불안정 시스템의 안정화 제어 기법 개발

        이준식,이준용,유지훈,김지철,전동익,오화석,Lee, Junsik,Yi, Junyong,Yoo, Jihoon,Kim, Jichul,Cheon, Dongik,Oh, Hwa-Suk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3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7 No.4

        Control Moment Gyroscope(CMG)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momentum exchange devices for satellite attitude control and essential device for agile maneuver system. This paper presents the details of a designed Single Gimbal CMG with a constant speed momentum wheel and single axis attitude control unstable to stable. In order to keep the naturally unstable equivalent point, it should be controlling the gimbal constantly. The experimental data are compared with theoretical result and requirements are used to verify their performance specifications.

      • KCI등재

        <기획논문 - 기록으로 보는 3·1혁명> 3·1혁명과 친일파의 대응 양태

        이준식 ( Lee Junsik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26 No.-

        1919년의 3·1혁명은 제국에서 민국으로의 전환을 가져온 일대사건이었다. 3·1혁명에 참여한 사람들은 일제 식민통치로부터의 해방과 완전한 자주 독립국가의 실현이라는 민족혁명의 꿈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혁명의 꿈은 민족혁명에만 그치지 않았다. 3·1혁명은 국민이 주권을 갖는 주권재민의 민주공화제가 우리 역사에서 처음 실현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3·1혁명은 민주혁명이기도 했다. 그런데 세상의 모든 혁명은 혁명에 대한 반동 곧 반(反)혁명을 수반한다. 3·1혁명도 반혁명에 직면했다. 3·1혁명이 이루려고 한 민족·민주혁명의 일차적인 반대세력은 식민통치권력이었다. 일제는 비무장의 만세시위대를 무자비한 폭력으로 진압했다. 그 와중에 수천 명이 학살되었고 수만 명이 부상을 당했다. 그러나 3·1혁명의 반대편에 선 것은 일제만이 아니었다. 일반적으로 3·1혁명을 거족적이라고 한다. 실제로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3·1혁명에 참여했다. 그러나 3·1혁명에의 참여를 거부하고 나아가서는 3·1혁명에 반대한 사람들도 분명히 존재했다. 친일파가 그랬다. 3·1혁명은 민족·민주혁명을 추구한 민족운동 세력과 반민족·반민주의 길을 걸은 친일파의 분화가 본격화되는 계기로도 작용했다. 3·1혁명은 민족운동에도 새로운 전기가 되었지만 친일파에게도 일제 식민통치의 동반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친일파는 그 기회를 현실화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친일파는 일제의 강압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친일의 길을 걸은 것이 아니다. 친일파에게도 나름의 친일 논리가 있었다. 특히 일제의 식민통치 아래에서도 유력한 정치세력이 되기를 원했던 친일파의 경우는 더 그랬다. 이러한 의미에서 3·1혁명은 친일파에게도 강제병합 못지않은 일대사건이었던 것이다. 일부의 친일파는 3·1혁명으로 조성된 일제 식민통치의 위기를 자신들의 정치적 욕구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로 파악했다. 그러면서 3·1혁명 이후 일제가 추진한 친일파의 육성이라는 새로운 정책에 적극적으로 편승하려는 했다. 친일파는 각종 매체를 통해 3·1혁명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는 한편 더 나아가서는 노골적으로 3·1혁명 저지를 내건 단체를 조직하는 데 앞장섰다. 기꺼이 반혁명세력이 되려고 한 것이다. 그리고 3·1혁명 이후 일제가 표방한 문화정치 아래 친일파는 참정권운동 등의 활발한 정치운동을 벌이게 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3·1혁명은 역설적으로 반혁명세력인 친일파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로도 작용한 것이다. Every revolution in the world is accompanied by a reaction to the revolution, so-called counterrevolution. March First Revolution also faced its counterrevolution. Japanese Empire did not stand alone against the Revolution.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also opposed the revolution and refused to participate in it. March First Revolution became a turning point for a National revolution i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simultaneously a political opportunity for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The pro-Japanese actively tried to make the opportunity real. They realized the crisis of Japanese rule as a chance to get their political desires in Korea.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clearly stated that they opposed March First Revolution and took the head in stopping it. Under the cultural rule that had proclaimed by the Japanese Empire since the Revolution, the pro-Japanese led political movements such as suffrage movement. For this reason, March First Revolution also served as a momentum to strengthen the political power of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in Korea.

      • KCI등재

        조선로동당 규약과 북한 헌법의 관계 연구

        이준식(Lee, Junsik) 북한대학원대학교 2024 현대북한연구 Vol.27 No.1

        이 글은 조선로동당 규약과 북한 헌법의 관계를 사회주의 당이론과 법이론에 비추어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당의 국가에 대한 영도원칙을 근거로, 당 규약이 헌법보다 상위 규범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당 영도는 정치적 영도인 반면, 법은 당 노선·정책의 반영물로서 국가 전반적 구속력을 가진다. 당 규약의 내용은 당 강령, 당 조직·운영원리, 당 조직의 권한 및 대외 영도방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 규약과 헌법의 관계는 성격을 달리하는 각 부분을 구별해서 고찰해야 한다. 당 강령을 헌법에 반영하므로 당 강령은 헌법보다 선결적(先決的)이지만, 그렇다고 당 강령이 헌법보다 규범적 우위에 있는 것은 아니다. 당 강령에 맞게 헌법을 제·개정해야 한다는 것은 정치적 의미에서의 우위일 뿐이다. 당의 조직·운영원리는 적용 대상이 달라서 헌법과의 위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당 권한 중 국가 활동과 관련된 것은 이 분야에 대한 당의 지도권한을 규정한 것이지 국가 활동에 대한 직접적 권력 행사가 아니다. 결론적으로 당 조직·당원을 규율하는 당 규약이 국가 전반적 효력을 가지는 헌법보다 규범론적으로 상위 규범은 아니다.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s (kyuyak)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Chosŏn Rodongdang; the “Party”) and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Constitution”) in light of the socialist party and theories of law. Based on the leadership principle for the state of the Party, existing research tends to recognize that the Rules of the Party (“Rules”) are higher norms than the Constitution. But the party leadership is political leadership and the socialist laws are reflections of the party’s lines and policies, and have universal binding power throughout the state. The Rules are composed of the Party’s platform, the Party’s organizational/operational principles, and the Party organizations’ authority and leadership polic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s and the Constitution needs to be considered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se par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t is normal for the Party to set the Party platform first and then to reflect it in the Constitution. In other words, the Party platform is precedent to the Constitution. Meanwhile, the primacy of the Party platform does not mean its normative superiority over the Constitution. It is only possible to recognize the superiority in the political sense that the Constitution should be enacted/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Party platform. The organizational/operational principles of the Party are different from the constitutional matters, so in principle, they do not conflict with the Constitution. That is, there is no hierarchial issue with the Constitution. Among the powers of the Party organization, those related to state actions stipulate the Party’s leadership authority in this field, and do not presuppose direct exercise of power over state actions. In conclusion, the Rules governing the Party organizations and the Party members are not normatively higher than the Constitution, which has an overall national effect.

      • KCI등재

        산화물 반도체(NiO/ZnO)기반의 투명 광전 소자 및 역바이어스를 통한 광응답 특성 향상

        이준식(Lee Junsik),Naveen Kumar,Malkeshkumar Patel,신봉주(Shin Bong-Joo),김준동(Kim Joondong)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22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42 No.6

        A photodetector is a device that converts a light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Most transparent ultraviolet (UV) photodetectors are composed of metal oxide materials having a wide energy bandgap. Here, we manufactured a high-performance transparent photodetector that specifies the UV region using a heterojunction structure of a metal oxide (n-type ZnO/p-type NiO). In particular, ZnO and NiO are less harmful to the human body, have a chemically stable structure, and are low cost due to abundant reserves. Our device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photoelectric devices, including solar cells and photodetectors, and human electronics. Owing to the photovoltaic effect of the ZnO/NiO device, the transparent photodetector can be operated in self-powered mode. To verify the optimum operation, bias tuning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device’s performances of response time and photocurrent. The characteristics of devices and their effects on electrical changes inside the device, including an increase in the depletion region, improvements in carrier collection and carrier velocity, and an increase in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were analyzed by reverse bias.

      • KCI등재

        특집 : 뒤늦은 국가차원의 친일청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준식 ( Junsik Lee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5 법과 사회 Vol.0 No.49

        한국사회의 과거사 문제는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지만 크게 보면 일제 식민통치가 남긴 과거사와 독재정권이 남긴 과거사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두 종류의 과거사가 사실상 동전의 양면과 같다는 데 한국 과거사 문제의 특징이 있다. 실제로 독재정권의 과거사 문제는 해방 직후 이승만 정권에 의해 친일파 청산, 더 나아가서는 일제잔재 청산이 좌초한 데서부터 비롯되었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독재정권과 친일파가 밀접하게 관련되었다는 사실이 사람들의 눈길을 끌게 되었다. 그러면서 한국사회 민주화의 한 과정으로 친일청산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반민특위의 와해로 좌초된 친일청산을 뒤늦게나마 마무리하자는 ‘제2의 친일청산운동’이 벌어진것이다. 시민사회에서 시작된 친일청산 요구는 국민의 여론을 등에 업고 국가로 확대되었다. 그 결과 2004년 3월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고 이 범에 따라 2005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출범했다. 반민규명위는 법에 정해진 바에 따라 친일청산을 위한 진상규명 활동을 벌였다. 친일청산에 반대하는 정치권과 보수언론의 집요한 방해공작에도 불구하고 1,006명에 대해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을 내린 것이야말로 반민규명위의 중요한 성과라고 할 것이다. 오랫동안 한국사회에서 금기의 영역에 속해 있던 친일의 문제를 국가차원에서 정리했다는 것 자체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반민규명위의 성과는 인권과 민주주의 시민의 연대의식이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해방된 지 60년도 더 지나 국가차원의 친일청산이 이루어지는 바람에 청산의 핵심이어야 할 사법적 처리는 불가능했지만 그나마 친일반민족행위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묻고 역사의 기록으로 남겼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하다. 60년도 더 지난 뒤의 과거사청산이라는 점에서 친일청산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것이기도 하다. 다만 다른 과거사청산처럼 국가차원의 친일청산도 국회에서 특별법을 만들고 법에 따라 설치된 진실위원회 형태의 기구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특별법 자체가 진상규명의 범위를 애초에 지나치게 좁게 잡아 놓았기 때문에 위원회의 활동도 그로부터 제약을 받았다. 처음부터 조사대상과 범위에 대한 신축적인 판단의 여지가 상당 정도 봉쇄되어 있었던 것이다. 국가차원의 친일청산은 시민사회의 친일청산 움직임에서 촉발되었다. 미완의 친일청산을 마무리하는 것은 다시 시민사회의 몫이 되었다. 반민규명위의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은 친일청산의 완결이 결코 아니다. 국가차원의 친일청산이 친일청산의 모든것이 될 수는 없다. 반민규명위의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은 앞으로 시민사회와 학계차원에서 이루어질 친일청산을 위한 토대이자 시금석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일제강점기를 비롯해 과거사의 진상을 규명하는 일은 현재진행형의 역사쓰기이자 앞으로 전개될 민주화 이후 우리 현대사의 첫 장을 여는 작업이기도 하다. 친일 진상규명작업은 민주화 운동의 성과물이기도 하지만 민주화 운동의 또 다른 시작이기도 한것이다. The past history of Korea is various types of problems. They can be divided largely into past of the colonial rule by Japan has left and by the abuses of dictatorial government. Peculiarly, their relationship is in line with each other such as both sides of coin. During a chaotic period of Korea achieved independence, all the makings of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was regarded as necessary for setting up to Syngman Rhee government which was actively supported by them. Obviously, the pro-Japanese liquidation by Syngman Rhee’s regime was sloppy, even that it ran aground. After June Democracy Movement in 1987, it began to catch the people``s eyes that the dictator regime was closely related to pro-Japanese. Sad to say, Korean society had failed to clear way Japanese colonialism by downfall of the Special Committee for Prosecution of Anti-National Offenders due to constant sabotage under Syngman Rhee government. A public pressure was gradually mounting for demand of pro-Japanese liquidation and it had to be done as a process of democracy. Consequentially, it took place sporadically the “history clean-up” or “set the history right” campaigns, which referred a second pro-Japanese liquidation movement, and formed a social consensus to uphold historical justice. Strong demand from the civil society expanded to the country in an instant by acting in accordance with public opinion. At last, the Special Act on the Inspection of Collaborations for Japanese Imperialism pass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on March 2004 and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the Inspection of Collaborations for Japanese Imperialism was started at 2005 by it. The committee was clarifying the truth for the pro-Japanese prudently. Despite the relentless disturbance of political and conservative journalism, the committee came up with noticeable fruition what that it made a determination of fingering 1,006 people as pro-Japanese collaborators. There was important meaning itself that national institution clearly did indentify pro-Japanese issues that belonged to taboo areas in Korea. Also, In regard to past history liquidation after the past more than 60 years, Pro-Japanese liquidation would be an unprecedented. Even legal procedure as a core of settlement was not possible because it was delayed over sixty years after liberation, it made them take historical responsibility for their activities and was important to put that on record in Korea history. If there were desired, the activities of the committee was limited because it was installed by Special Act, which was based on political compromise in national assembly, and operated it as other past affairs. To crown it all, the special act itself placed first in excessively narrow hold a range of Truth. There was no room for flexible judgment of the survey and the range has been sequestered a considerable degree from the beginning. No one can deny that Pro-Japanese settlement of the national level was inspired from an earnest desire of civil society. Nevertheless, to finish the uncompleted pro-Japanese liquidation will belong to civil society again. The committee decision was not only enough but also it is not all for the pro-Japanese liquidation. However, it should be evaluated as a touchstone because it is not finished and must do it more than the committee by the civil society and the groves of academe. In conclusion, investigating the truth of the past history including Japan colonial era, it is ongoing history writing and also can be a first chapter of our modern history since democratization movements. The truth commission activity for Pro-Japanese is the product of the democracy movement. In other word, it was also in another of the beginning of the democratic movement.

      • KCI등재

        무라야마 도모요시의 진보적 연극운동과 조선문화 사랑

        이준식(Junsik Lee) 역사비평사 2009 역사비평 Vol.- No.88

        Tomoyoshi Murayama(1901~1977) was a cultural artist, who had made great steps in diverse fields such as play, literature, film, and art. He was so famous enough to be called "Da Vinci in Japan". Having affection to Korea and Korean, he was a progressive highly educated artist who had done everything he could do to keep traditional Korean culture with his own way. He had been so closely related to Korea that he visited Korea three times in 1938 and he stayed for almost a whole year in Seoul in 1945. Furthermore in 1938 he brought the traditional Korean classical play 〈Chunhyangjeon〉 into the stag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omoyoshi Murayama's progressive play movement was a people. He directly went into Korean people and understood Korean culture and did his best to preserve the vanishing Korean culture under Japanese control. Through the literature works containing fondness of Korea, by communications and transactions with Koreans, first and foremost with the performance of plays, he had looked for real solidarity between Korean culture and Japanese culture. Therefore he was not only a precious artist at that time but also he is precious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