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llopurinol이 Rat에서의 Arachidonic Acid 유발 혈소판 응집과 Mice에서의 혈전성 폐색전에 미치는 효과

        이주몽,허인회 중앙대학교 약학연구소 1995 약학 논총 Vol.9 N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ree radical scavenging of xanthine-oxidase inhibitor, allopurinol. In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mic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allopurinol decreased dose-dependently mortality or paralysis by intravenous infusion of collagen plus epinephrine. But, Ca^2+ antagonists (p.o.) did not cause significant decrease in thromboembolism. Among Ca^2+ antagonists, nifedipine with allopurinol decreased significantly thrombotic challenge. In arachidonic acid (AA)-induced platelet aggreagtion, allopurinol only caused inhibition platelet aggregation at 10^-3 M. Pyrogallol increased AA-induced platelet aggregation by superoxide anion production. Allopurinol at any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the increment of AA-induced platelet aggregation by pyrogallol. In conclusion, allopurinol had the mechanism of free radical scavenging other than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nd had the activity to be show protection on the pulmonary thromboembolism with vasodilator.

      • KCI등재후보

        중소 소비자들의 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 기대 연구

        주몽가(Zhou Meng Jia),이철한(Lee, Cheol-Ha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사회과학연구 Vol.20 No.2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 이미지 개선과 해당 기업 제품의 구매 결정으로 이어진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면서 이제는 필수 활동으로 되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기업의 이해관계자 중의 일원인 일반인이나 소비자를 대상으로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 대한 인식이나 기대 분석에 관한 연구도 시도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 소비자들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 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기대를 비교하고 또한 한국 기업의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활동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가설과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서베이를 수행하였고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대응 t분석과 다변량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중국 기업에 대해서 한국 기업보다 더 큰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기대가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결과와는 다른 결론이다. 연구문제로 설정된 사회적 책임활동 기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사회적 이슈 관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소득수준이 사회책임활동 기대에 영향을 끼쳤다. 즉,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좋을수록, 개인적으로 사회적 이슈에 대해 관여도가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한국 기업의 사회책임활동에 대한 기대가 커졌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consumer expecta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CSRs) by foreign firms operating in China. The present research suggest that the expectation on CSR of foreign and domestic companies would be different, aimed to verify this empirically, and additionally, expects that the consumer’s preference on a home-country of a foreign company would also have influence on expectation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s used SPSS statistic program and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 The respondents were recruited from the students of AnHui University and this survey used a random sampling method via Interne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provided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expecting that the expectation of consumers on CSR of a foreign company would appear more highly than expectation of consumers on CSR of a domestic company was rejected. Secondly, the research questions that the worse the county image is, consumers expect much more on CSR was not found. Future study is advised to diverse foreign corporations with a diverse CSR activity.

      • KCI등재

        자막번역의 수용자 영향 분석을 위한 시론 - ‘기대지평’의 융합을 위한 번역방식 비교를 중심으로

        최지영,주몽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5

        이 글은 야우스의 기대지평을 번역연구에 적용하여 자막번역에 대한 수용자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첫째, 영화에서 자막번역은 관객의 기대지평의 융합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둘째, 관객의 기대지평이 낮다고(‘수용거리가 멀다고’) 예측할수록 TL중심 번역을, 반대의 경우 SL중심 번역 비중이 높을 것이다라는 두 가지 전제를 가정한다. 이에 따라 자막의 번역방식을 기대지평에 따른 수용거리와의 관계에서 SL/TL중심의 6가지 방식으로 구분하고, 이를 <霸王別姬>1994/2017 판본에 적용하여 통계 비교를 하였다. 또한 ST에 없는 내용이 추가되는 번역방식을 TT확대개조역으로 명명하고 역사적·사회적 맥락에서 기대지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대지평이 가지는 역동성과 추상성을 고려한다면, 실제 번역에 반영된 기대지평의 영향을 추출해 내기는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수용자의 기대지평에 대한 예측과 자막의 번역방식과의 관계를 고찰하여 수용자 영향 분석에서 기대지평이 방법론적으로 가지는 타당성의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시도는 번역연구에서 번역자를 포함한 독자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향후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지역경쟁력지수와 지역경제 효율성에 관한 실증연구

        주몽(Na JuMo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12 도시 행정 학보 Vol.25 No.4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index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understand business situation of regional economy and to describe the conditions of regional development. Moreover, in order to examine more accurat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ompetitiveness, analyzing the efficiency of regional economy is highly recommended simultaneous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competitiveness index and economic efficiency in regional economy. Then, this study estimates economic efficiency in 16 Municipalities and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efficiency and factors of regional competitiveness index during 11 years using panel data of 16 Municipalities in Korea. First, The average efficiency in CCR model was the highest in the Ulsan area. and next, a high average efficiency is Seoul(0.867), Jeollanamdo(0.784), Daegu (0.713), Gyeongsangbuk-Do(0.707), Gwangju(0.701), respectively. The economic efficiency in the BCC model was the highest in Ulsan, Seoul and Jeju. Second, relative efficiency in CCR model for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actors of the income level, industrial development, human-base and SOC·financial strength excluding the factor of innovative capabilities in the regional economy. The result of the panel analysis shows that the factors of income level, industrial development, human-based have important functions in reg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the factor of SOC·financial strengths did not contribute to promote reg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일본의 문화예술창조도시정책과 창조기반전략의 정책적 함의: 가나자와와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주몽 ( Jumong Na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문화예술창조도시를 대상으로 창조도시정책에 사업추진실태의 특성을 살펴보고, 가나자와와 요코하마의 문화예술창조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의 창조기반전략 관점에서 지자체의 문화예술창조도시정책을 재조명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창조기반전략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조기반전략의 거버넌스 관점에서 보면 가나자와는 시민주도적 협력적 네트워크를 통해 거버너스를 수행한 반면, 요코하마는 지방정부주도적 협력적 네트워크를 통해 창조도시정책의 거버넌스를 추진하였다. 둘째, 지역이 가지고 있는 내생적자원의 여건을 자연·건축환경, 사회적·상징적 자본, 경제활동·문화시설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가나자와와 요코하마의 내생적자원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의 경로가 상이하였다. 셋째, 가나자와와 요코하마의 영역적 착근성 관점에서 보면 창조핵심지구에 있어 고객중심 원활한 보행자 접근성이 용이하고, 국내외 수요에 대한 교통접근성이 원활하며, 어메니티가 잘 갖추어져 있었다. 그리고 두 사례지역 모두 영역적 착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시민과의 연대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ity policy for Japanese culture and arts creation cities and finds the implications of culture and arts city policy by reexamining the examples of Kanazawa and Yokohama from the viewpoint of creation-based strategy of the city. The policy implications of creative-based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governance of the creative-based strategy, Kanazawa conducted governance through a citizen-led cooperative network, while Yokohama promoted creative city policy through a local government-led cooperative network. Seco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endogenous resources of Kanazawa and Yokohama was different. Third, the territorial embeddedness in Kanazawa and Yokohama was easy for pedestrians to access to the customer center in the creation core area. Both cities have good access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and, and amenity is well established.

      • KCI등재

        신규 캄토테신계 항암제 CKD-602의 약물동태 : 분포, 대사 및 배설

        이주몽(Ju Mong Lee),이준희(Jun Hee Lee),김준겸(Joon Kyum Kim),신희종(Hee Jong Shin),이형기(Hyung Ki Lee),이상준(Sang Joon Lee),홍청일(Chung Il Hong) 大韓藥學會 1998 약학회지 Vol.42 No.4

        The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of CKD-602{20(S)-7-[2-(N-Isopropylamino)ethyl]camptothecin HCI), a new camptothecin derivative, were investigated in rats after a single administration of CKD-602. 1. The tissue levels of CKD-602 given to mice by the intravenous route at a dose of 20mg/kg were the highest in intestine,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kidney, liver, stomach,lung, heart, spleen and plasma. The concentrations of CKD-602 after 24hrs decreased to less than 2% of the peak level in most tissues except the skin. The urinary and fecal excretion of CKD-602 were 47.6% and 44.4% of the administered dose, respectively, with 0.7% remaining in the rinse. 2. After administration of CKD-602 at 10mg/kg in rats, metabolism of this compound was examined in plasma, urine, and feces. The plasma samples were collected for 24hr, urinary and fecal samples for 72hr. While any peak of CKD-602 in HPLC chromatograms was not detected from plasma and urine it was detected in feces (peaks, 9.8 min). However, additional peak area was about 0.5% of the peak area of parent CKD-602. Therefore, CKD-602 may be eliminated with the parent form and rarely metabolized in the body. 4. After I.v. administration of CKD-602 at 10mg/kg in rats, urinary and fecal excretions were examined for 72hrs post dose period. 87% of total urinary excretion of CKD-602 was excreted within 8hr after administration, 53%, and 32% of total fecal excreted amounts were determined in 0-24 hr and 24-48hr periods, respectively. The total excretion amounts of CKD-602 into urine and feces were 94% of the administered dose.

      • KCI등재

        연구논문 : 전라남도 이산화탄소의 배출구조와 배출격차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주몽 ( Ju Mong Na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1 지역개발연구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지역경제의 관점에서 전남의 산업구조의 특성과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구조과 배출격차를 분석하여, 이산화탄소배출구조와 배출격차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지자체의 기후변화대응과 녹색성장이 지역경제차원의 환경 및 경제정책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남의 에너지소비에 의한 이산화탄소배출량은 호남광역경제권 산업전체에 78%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전남을 대상으로 한 이산화탄소배출구조와 이산화탄소 배출격차의 분석은 호남광역경제권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대한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의 산업구조 특성은 기초소재형 제조업에 심하게 편중되어 있었으며, 전남의 이산화탄소 배출비중이 높은 주요산업은 제1차금속제품, 비금속광물제품, 화학제품이, 석유및석탄제품, 운수및보관 산업이었다. 둘째, 이산화탄소배출 비중과 경제파급효과와의 관계에 있어 생산유발효과가 큰 산업은 운수및보관 산업을 제외하면 모두가 기초소재형 산업에 해당되어 있다. 전남에서는 이산화탄소배출이 큰 산업이 지역경제에 유발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비중 및 생산유발효과가 높았던 제1차금속제품은 이산화탄소 영향력 계수가 여타산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이산화탄소 배출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변수(부가가치비중, 생산유발액, 이산화탄소배출비중, 이산화탄소 영향력계수)와 이산화탄소 배출격차와의 관계에 대해 상관분석을 한 결과, 이산화탄소 영향력계수를 제외한 부가가치비중, 생산유발액, 이산화탄소배출비중의 변수들은 이산화탄소배출격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산화탄소배출격차에 대해 생산유발액을 단순회귀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전남은 산업구조적 측면에서 경제성장과 더불어 이산화탄소 배출격차가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Recently, green growth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 for regional economic activity in terms of the global warm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JeollaNamdo industries in the Grand Economic Regions(GER) have generated 78% ratio of the CO2 gas emissions from oil, coal and natural gas in 2005.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arbon dioxide(C02) emission and emission disparity in the JeollaNamdo region of Korea. This paper use input-output method for analysi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between the CO2 emission and emission disparity. The empirical study has revealed that the basic material sectors in manufacture of JeollaNamdo are major factor caused to increases in CO2 emission in industr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 industrial structure of CO2 emission, The factors of the CO2 emission structur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utput, added value, CO2 emission and environmental DPG value in JeollaNamdo. Especially, Emission disparity by the environmental DPG value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output in industrial structure of JeollaNamdo.

      • 한국이미지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

        주몽,심성문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09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0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재일코리안들이 한국방문과 한국인과의 교류경험을 통해 인식하는 한국 및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재일코리안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관련 연구는 후쿠오카도 김명수가 1994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모국과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당시 과반수이상인 56.1%가 1회 이상 한국을 방문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방문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질문한 결과 호감을 가지고 애착을 느꼈다고 응답한 비율이 42.3%, 복잡한 기분이나 소외감을 느꼈다고 응답한 비율이 57.7%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일코리안들이 한국방문으로 물리적으로는 가깝게 느끼고 있지만 심리적으로는 멀어지고 있다는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그로부터 10년 후 재일코리안들의 모국과의 거리감은 어떻게 변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07년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있다. 조사결과를 보면, 먼저 한국이미지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호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유학생인상, 역량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 역동성이미지는 교류기회와 유학생인상 및 유학정보, 그리고 친밀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 유학생호감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재일코리안들은 한국에 있는 개인이나 단체와 접촉, 혹은 한국의 인터넷이 많아질수록 그들에 대한 한국인의 불친절, 재일동포에 대한 편견과 차별 등으로 인해 한국과의 문화적 차이를 더욱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이미지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호감이미지는 교류기회와 유학생 인상, 역량이미지는 정보제공 및 유학생인상, 역동성이미지는 정보제공, 교류기회, 유학생인상, 유학정보, 그리고 친밀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조사결과, 재일코리안들에게 한국인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들은 정보제공, 교류기회 확대, 유학생인상, 유학생호감, 유학정보 등 이었다.

      • KCI등재

        한국이미지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

        주몽,임영언 한국동북아학회 2009 한국동북아논총 Vol.14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South Korea and Korean people which Japanese-Korean get through visits to Korea and interchange experience with Korean people in transnationalism. And it is our wish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Korean image-building and to seek ways of prompting competition on the network. The study on the image of Korea and Korean people that Japanese-Korean have was done by Fukuoka Yasunori and Kim Myoung-Soo in 1997 mainly about the sense of distance with Korea. Their study findings show that Japanese-Korean feel close to Korean physically, but not psychologically. Study's findings also show that the image of Korea is elevated when Korean-Japanese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interchange opportunities, and when they are treated kindly by Korean students, and etc.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factors that elevate the image of Korea are: providing of information, interchange opportunity, good image of Korean students, offering information on studying abroad, and etc. The result of study reveals that Korean-Japanese receive culture shocks more strongly from Korean's unkindnes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as there are a lot more contacts -either individual or public contacts or through the Internet -with Korean people although that the image of Korea and Korean people is reported to have improved since 1997.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rough information interchange and network activation, the image of Korea and Korean people can change from the negative image in the past. 이 연구의 목적은 재일한인들이 한국방문과 한국인과의 교류경험을 통해 인식하는 한국 및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가를 분석하여 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재일한인의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 관련 연구는 후쿠오카와 김명수가 1997년 모국과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한국방문으로 물리적으로는 가깝게 느끼고 있지만 심리적으로는 멀어지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이 연구결과는 그로부터 10년 이상 지난 현시점에서 재일한인들의 모국이미지가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보기 위해 2007년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조사결과를 보면, 먼저 한국이미지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호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유학생인상, 역량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 역동성이미지는 교류기회와 유학생인상 및 유학정보, 그리고 친밀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 유학생호감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국인이미지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호감이미지는 교류기회와 유학생인상, 역량이미지는 정보제공 및 유학생인상, 역동성이미지는 정보제공, 교류기회, 유학생인상, 유학정보, 그리고 친밀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사결과, 재일한인들에게 한국인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들은 정보제공, 교류기회 확대, 유학생인상, 유학생호감, 유학정보 등이었다. 조사결과 97년 조사에 비해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가 많이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한국에 있는 개인이나 단체와 접촉, 혹은 한국과의 인터넷이용이 많아질수록 재일한인들에 대한 한국인의 불친절, 재일동포에 대한 편견과 차별 등으로 인해 문화적 이질감을 더욱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가장 큰 발견은 정보교류와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과거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한 재일한인의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 제고에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