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상형 충전제의 함량과 배향에 따른 PP복합체의 열팽창계수 영향 연구

        이기윤(Kee Yoon Lee),이용현(Yong Hyun Lee),정선경(Sun Kyoung Jeoung),황효연(Hyo Yeon Hwang),이승구(Seung Goo Lee) 한국고분자학회 2012 폴리머 Vol.36 No.3

        두 가지의 종횡비(ρα=a1/a3 and ρβ=a1/a2)에 의해 특징지어진 3차원 타원체(a1 > a2 > a3)를 사용하여 polypropylene 복합체의 판상형 충전제 함량과 방향이 열팽창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측정된 실험적인 값은 Lee와 그의 연구자들이 제안한 이론적인 모델에 의한 계산 값과 비교분석되었다. 판상형충전제로는 운모와 탈크가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로 운모의 경우 종횡비는 ρα= 13.5, ρβ= 1.8이 사용되 어, 20 wt% 함량일때 α11/αm는 약 0.56으로 감소하였으나, α33/αm는 오히려 1.018로 증가함을 보였다. 탈크의 경우의 종횡비는 ρα=3.7, ρβ= 1.4이었고 α11/αm는 0.63으로 감소하였다. 결국 운모와 탈크 모두 그 함량증가에 따라 종단방향과 횡단방향에서 열팽창률은 감소하였으나 수직방향에서는 초기 낮은 충전제 함량에서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regarding the effects of disc-like filler orientation and contents o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of polypropylene composites using the three dimensional ellipsoids (a1 > a2 > a3) analyzed by two aspect ratios(ρα=a1/a3 and ρβ=a1/a2). Measured data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approaches proposed by Lee et al. Mica and talc were useed as disk-like fillers in the composites. As experimental results, α11/αm decreased down to ca. 0.56 with mica content of 20 wt% and the aspect ratios, ρα=13.5, ρβ=1.8. However, α33/αm increased to more than 1. In the case of talc, α11/αm decreased to ca. 0.63 with 20 wt% and ρα=3.7, ρβ=1.4. Finally, the longitudinal CTEs (α11) of polypropylene composites decreased as filler contents increased, but normal CTE (α33) increased in the low filler contents like the theory.

      • KCI등재

        판상형 충전제의 함량과 배향에 따른 PP복합체의 영률 변화 연구

        서상범(Sang Bum Seo),이용현(Yong Hyun Lee),정선경(Sun Kyoung Jeong),이승구(Seung Goo Lee),이기윤(Kee Yoon Lee) 한국고분자학회 2012 폴리머 Vol.36 No.2

        이 논문은 판상형 충전제의 함량과 배향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복합체의 영률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 이론적인 예측은 Lee와 그의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두 개의 종횡비, ρα=a1/a3과 ρβ=a1/a2 를 이용하여 3차원 타원체의 형상을 계산하였고 실험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판상형 충전제로 운모와 탈크를 사용하였다. 충전제의 형태는 SEM을 이용해 관찰하였고, 종횡비는 고분자의 흐름을 기준으로 좌표축을 설정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계 산하였다. 충전제가 운모인 경우에 ρα=13.5와 ρβ=1.8이었고, 탈크의 경우는 ρα=3.8과 ρβ=1.4이었다. 또한 충전제 의 2개의 종횡비와 함량이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운모의 경우 30 wt% 함량일 때 E11이 약 2.7배 향상되었다. 탈크의 경우는 E11이 약 2.3배 향상하였다. This paper studied the effects of the content and the orientation of the disk shape fillers on the modulus of PP composites.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which included the three dimensional ellipsoids and analyzed by two aspect ratios, ρα=a1/a3 and ρβ=a1/a2 proposed by Lee and his researchers. Mica and talc were used as disk shape fillers in the composites. The shapes of mica and talc were observed by SEM and aspect ratios were statistically calculated. For the case of mica, the average aspect ratios were ρα=13.5 and ρβ=1.8, and for the case of talc, they were ρα=3.8 and ρβ=1.4. Also, the effects of two aspect ratios and the content of fill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studied: For 30 wt% of mica, E11 increased up to about 2.7 times, and for the other case of talc, E11 increased up to about 2.3 times, respectively.

      • KCI등재

        지질매체내에서의 $^{241}Am,\;^{152}Eu,\;^{160}Tb,\;^{60}Co$의 흡착특성비교: 지표지질내에서의 Am의 거동특성을 위한 최적 유사체로서의 Eu

        이승구,이길용,조수영,윤윤열,김용제,Lee, Seung-Gu,Lee, Kil-Yong,Cho, Soo-Young,Yoon, Yoon-Yeol,Kim, Yong-J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4

        희토류원소는 지각의 진화, 분화작용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지질학적 역사를 이해하는 매우 유용한 도구로서 활용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이 희토류원소는 방사성폐기물의 처분과 관련된 물-암석반응연구에 있어서 액티나이드 원소의 유사체로서 사용되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희토류원소인 Eu와 액티나이드 원소인 Am의 유사한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토대로 지질매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희토류원소와 액티나이드 원소의 거동이 매우 유사하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회분식(batch experiment) 실험을 수행하였다. 회분식 실험에는 4종류의 암석(화강암, 화강암질 편마암, 앰피볼라이트, 응회암)을 지질매체로 선택하였고, 고준위 방사성 핵종으로는 액티나이드계열인 $^{241}Am$, 희토류원소 계열인 $^{152}Eu,\;^{160}Tb$을 선택하였고, 중저준위 핵종으로는 $^{60}Co$를 사용하였다. 특히 $^{160}Tb$와 $^{60}Co$는 $^{241}Am-^{152}Eu$의 흡착능과 다른 방사성핵종의 흡착능을 비교하는데 사용되었다. 핵종과 혼합한 흡착실험용 용액의 pH는 5.5전후로 조절하였다. 실험결과, $^{241}Am,\;^{152}Eu,\;^{160}Tb$의 흡착 특성은 암상의 변화에 관계없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60}Co$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60}Co$의 흡착특성은 암상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지시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1) 희토류원소 중 Eu이 지표지질하에서의 Am의 거동을 추적하고 예측하기 위한 최적 유사체이고, 2) 비록 암석가루의 비표면적 혹은 양이온교환능과 같은 물리적/화학적 특성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SiO_2,\;TiO_2,\;P_2O_5$같은 화학조성 및 Eu의 이상과 같은 희토류원소의 분포도의 차이가 지표지질하에서의 방사성 핵종의 흡착거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지시해주는 것이다. Rare earth elements(REEs) have been used as an useful tool in understanding the various geological processes such as evolution and differentiation in the crust. The REEs also have been used as an analog of actinides for radioactive wastes at the water-rock interactions. Us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REEs and actinides, we have shown that Eu is an optimum analogue for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Am in subsurface environments. Factors affecting sorption behavior of radioactive nuclides in groundwater were investigated by batch experiments. Four nuclides such as $^{241}Am,\;^{152}Eu,\;^{160}Tb\;and\;^{60}Co$ were selected to test our hypothesis, and $^{160}Tb$ and $^{60}Co$ were specifically used to compare to the sorption behavior between $^{241}Am-^{152}Eu$ and other radioactive nuclides. Four different rock samples and one groundwater were used in the batch experiments where solution pH for all experiments was fixed at 5.5.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241}Am,\;^{152}Eu,\;and\;^{160}Tb$ show similar sorption behavior whereas $^{60}Co$ is different in sorption behavior at the mineral-water interface, suggesting that the sorption behavior of $^{60}Co$ is affected by different rock types. Our results also show that 1) Eu in REEs is optimum analogue of fate and transport of Am in subsurface environments, and 2) mineral compositions such as $SiO_2,\;TiO_2,\;P_2O_5$ and distribution of REEs such as Eu anomaly play key roles in affecting sorption behavior of radioactive nuclides even thoug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ological materials such as specific surface area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an not be ruled out.

      • KCI등재
      • KCI등재

        동래온천수의 $^{14}C$ 연대의 지구과학적 의의

        이승구,김통권,김형찬,이태종,Lee, Seung-Gu,Nakamura, Toshio,Kim, Tong-Kwon,Ohta, Tomoko,Kim, Hyoung-Chan,Lee, Tae-J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9 자원환경지질 Vol.42 No.6

        한반도 남동부에 위치한 동래온천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온성 온천중의 하나이다. 동래온천수의 수질형태는 Na-Cl형이고, 상부의 일반 천부지하수는Ca(-Na)-$HCO_3$ 형으로서 서로 간에 연결성이 매우 미약하다. 이 논문에서는 동래 온천수의 $^{87}Sr/^{86}Sr$비와 AMS를 이용하여 측정한 $^{14}C$ 동위원소 년대를 토대로 동래온천수의 나이 즉 온천수-지하수-지표수-천수간의 순환속도를 토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2008년도의 2차례에 걸쳐 채취된 동래온천수의 $^{87}Sr/^{86}Sr$비는 0.705663-0.705688로 매우 안정된 값을 갖고 있으며, 이는 천부지하수, 지표수, 해수 및 천수보다 낮은 값이다. $^{14}C$ 동위원소 연대에 의하면, 온천수는 1271년에서 2467년 비보정연대(BP)를 보여주고, 지표수는 -495년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래온천수의 순환속도가 적어도 2500년 이상임을 지시해준다. 이와 같은 순환연대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동래온천수는 과거에 가열된 고온의 물과 현재의 천부지하수와의 혼합수임을 지시해주는 것이다. The Dongrae thermal water area located at the southeastern margin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one of the oldest hot springs in Korea. The Dongrae thermal water shows Na-Cl type of water chemistry, whereas the shallow cold groundwater is Ca(-Na)-$HCO_3$ type.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age of the Dongrae hot spring, i.e. groundwater cycle among meteoric water-surface water-shallow groundwater-hot spring water. The $^{87}Sr/^{86}Sr$ ratios of the thermal water in Dongrae area range from 0.705663 to 0.705688 and are lower than those of groundwater, surface water and rain water as well as aquifer bearing granite. These Sr isotopic signatures in the Dongrae thermal water indicate that the circulation rate between thermal water and current meteoric water including groundwater, surface water and rain water in the Dongrae area should be very slow. The $^{14}C$ age of the Dongrae hot spring water range from $1,271{\pm}36$ BP(before present) to $2,467{\pm}36$ BP whereas that of the shallow groundwater is $-495{\pm}33$ BP. This suggests that the period of groundwater cycle among meteoric water, surface water, shallow groundwater and hot spring should be more than 1,270 years. Then, it also indicates that the present Dongrae hot spring may be a mixed water between the old thermal water heated for at least 1,270 years and the present shallow cold groundwat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물-암석반응에 따른 물에서의 Sr동위원소의 거동에 대한 예비실험결과

        이승구,김정찬,Lee, Seung-Gu,Kim, Jeong-Cha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3

        물-암석 반응에 따른 물속의 Sr의 농도와 $^{87}Sr/^{86}Sr$ 비의 변화를 조사하기위해 실온에서의 회분식 실험(batch experiment)을 수행하였다. 실험방법은 기원이 서로 다른 2종류 화강암(강화 석모도 흑운모 화강암과 포천 석류석 화강암), 증류수, 지표수를 사용하여 암석을 증류수 및 지표수와 1:1의 비율로 각각 반응시킨 후의 물속의 양이온 및 음이온의 농도변화 및 물속의 $^{87}Sr/^{86}Sr$ 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암석과 지표수의 경우, 혼합비의 차이에 의한 비교를 위해 암석과 지표수의 비율을 1:10으로 하여 반응시킨 후의 물속의 양이온과 양이온의 농도변화 및 $^{87}Sr/^{86}Sr$ 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물속의 용존성분의 함량은 초기 3-4개월간은 증가하였지만, 1년간 방치하여 놓은 시료에서는 함량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반면에 물속의 $^{87}Sr/^{86}Sr$ 비는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암석의 $^{87}Sr/^{86}Sr$ 비로 이동해가면서 비교적 안정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물-암석반응에 의한 물속의 $^{87}Sr/^{86}Sr$ 비는 거의 거의 평형에 도달한 이후에는 Sr 함량이나 기타 용존이온들보다 쉽게 안정됨을 지시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서로 다른 대수층에 분포하는 지하수의 연계성 혹은 혼합비를 계산하는데 있어서 $^{87}Sr/^{86}Sr$ 비가 유용하게 활용되어 질 수 있음을 지시해준다. A batch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variation of Sr concentration and $^{87}Sr/^{86}Sr$ ratio in the solution by water-rock interaction.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room temperature using two kinds of granites (biotite granite and garnet-bearing granite), de-ionized water. surface water. Water/rock ratio was 1:1. For comparison, we also performed another experiment under water/rock condition of 10:1. Then, the concentration of the cations and anions in the solutions showed severe variation during water/rock interaction. However, after sometime, the $^{87}Sr/^{86}Sr$ ratio of the solution moved to the $^{87}Sr/^{86}Sr$ ratio of the rocks and showed relatively constant value. This suggests that the $^{87}Sr/^{86}Sr$ ratio between water and rock becomes to be stable faster than the elemental equilibration of the element in the solution, and is not affected by interaction condition. Therefore, $^{87}Sr/^{86}Sr$ ratio of the groundwater may be useful in calculating the mixing ratio between different aquifer.

      • 족관절의 골-연골성 골극증 - 족관절 전방 충돌 증후군 -

        이승구,우영균,송석환,권순용,이화성,정진화,오재찬,Rhee Seung-Koo,Woo Young-Kyun,Song Seok-Whan,Kwon Soon-Yong,Lee Wha-Sung,Chung Jin-Wha,Oh Jae-Cha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2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 No.1

        목적 : 중년기이후의남성에서, 경골 원위 관절면의 전방이나, 거골경부의배부, 또는거골과경골의원위부관절면양측에골극이발생하여족관절배굴장애와통증을호소하는소위, 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족관절전방부위골-연골성골극증)의수술경과및방사선학적검사상골극발생부위의특이성을알아보고자한다. 대상및방법 : 1994년3월부터2001년3월까지본대학부속성모병원정형외과에서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으로진단되어수술가료한14명17족관절(양측3예)를대상으로하였다. 14명17족관절(양측이환3예)중우측이13예, 좌측이4예였고, 14명모두남자였고, 평균연령은47세였다. 명백한족관절외상력은없었으나, 족관절통증(특히배굴시)과쪼그려앉기장애가주소로서평균15개월(4개월$\~$3년11개월) 이상증상이계속되었고, 특별한운동기왕력은없었다. 수술전X-선, 배굴및척굴위측방X-선, CT그리고, 술후X-선과임상과정을최단18주에서최장26개월(평균13개월)까지추적하였다. 결과 : 족관절측부X-선상거골골극이10예로가장많았고, 경골골극이5예(유리골편2례), 그리고거골과경골양측골극형성이2예였다. 14예는족관절전측방도달법을이용하여골극및유리골편을절제하였고, 나머지3예는관절경을이용하였다. 술 후 2주경부터는일상생활보행을허용하였으며, 수술후평균13개월추적조사에서골극이나충돌증후군의재발은없었다. 결론: 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은운동량이많은중년기남자에빈발하며, 거골경부전방의골극형성이주요원인이었다. 족관절배굴및척굴X-선및CT가진단에도움이되며수술적으로골극을제거하여치료할수있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steochondral ridges of talus and ankle. Materials and Methods : We have analyzed their clinical symptoms and signs, radiologic and CT findings and post-operative results in 17 ankle joints of 14 patients (bilateral in 3), followed them for average 13 months after surgical excision. Results : No definite trauma, but mostly in male after middle age. Their chief complaints are pain on ankle, especially in dorsiflexion or squatting position, and symptom durations are very long, more than average 15 months. Definite diagnosis was made by lateral radiograms of ankle joint. Osteochondral ridges are common in talar neck (10 cases), tibia (4 cases) and both side (3 cases). After excision of osteophytes, all patients gained normal ankle without pain and any limited motion. Conclusions :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s are common in middle aged male, but no definite correlation with sports. Plantar and dorsiflexed lateral radiographs are helpful in definite diagnosis for impingement, and surgical excision is best for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