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부의 외상성 중수지 관절 탈구의 치료

        송석환,오재찬,이승구,이주엽,문창윤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 적: 수부의 중수지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이 필요했던 예에서는 정복을 방해하는 구조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27예의 수부 중수지 관절 탈구 환자 (무지 11예, 인지 14예, 소지 2예)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탈구된 중수지 관절의 정복을 방해하는 해부학적 구조는 수술시에 확인을 하였으며,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던 예들에서도 연령과 손상된 구조물, 그리고 최종적인 임상 결과를 평균 7개월간 추시 관찰하였다. 결과:동반한 복합 탈구가 8예 있어 관혈 정복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만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다. 관절염이 있던 1예는 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수지의 중수지 관절의 탈구는 Kaplan의 개념에 따라 탈구를 수술 정복하였고 파열된 수장판을 복원하였으며, 1예에서 수술시 표재 중수 횡인대만의 절개와 이완으로 정복할 수 있었다. 소지 중수지 관절 탈구의 2예에서 파열된 요측 측특별한 운동 제한이나 불안정성 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적절한 국소 마취하에 도수 정복을 1 ~ 2회 시행할 수 있지만 단순 정복이 가능한 탈구가 부적절한 견인으로 정복이 불가능한 복합 탈구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탈구는 대부분 관혈적 정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복 방해 구조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색인단어:253 ※통신저자: 이 승 구 150-71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2번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정형외과 전화e-mail: cmcos@catholic.ac.kr 254 y 대한골절학회지 / 제16권 제2호

      • 수부의 외상성 중수지 관절 탈구의 치료

        이승구,송석환,이주엽,문창윤,오재찬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적 : 수부의 중수지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이 필요했던 예에서는 정복을 방해하는 구조물에 대해 분석하고 도수 정복이 가능했던 예에서는 성별 및 탈구 형태에 따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총 27예의 수부 중수지 관절 탁구 환자 (무지 11예, 이지 14예, 소지 2예)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탈구된 중수지 관절의 정복을 방해하는 해부학적 구조는 수술시에 확인을 하였으며,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던 예들에서도 연령과 손상된 구조물, 그리고 최종적인 임상 결과를 평균 7개월간 추시 관찰하였다. 결과 : 무지 중수지 관절의 탈구 11예 중 파열된 전방 관절낭, 수장판과 단무지 굴건의 파열을 동반한 복합 탈구가 8예 있어 관혈 정복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만 도수 정복이 가능하였다. 관절염이 있던 1예는 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수지의 중수지 관절의 탈구는 Kaplan의 개념에 따라 탈구를 수술 정복하였고 파열된 수장판을 복원하였으며, 1예에서 수술시 표재 중수 횡인대만의 절개와 이완으로 정복할 수 있었다. 소지 중수지 관절 탈구의 2예에서 파열된 요측 측부인대가 수술시 관찰되었고 이를 복원하여 수지의 불안정성을 예방하였다. 이들의 최종 결과는 특별한 운동 제한이나 불안정성 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적절한 국소 마취하에 도수 정복을 1~2회 시행할 수 있지만 단순 정복이 가능한 탈구가 부적절한 견인으로 정복이 불가능한 복합 탈구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탈구는 대부분 관혈적 정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복 방해 구조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Purpose : To analyse the obstacles to prevent the reduction for dislocation of the metacarpophalangeal (MP) joints of the hand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 and dislocation type in closed reduction case.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27 cases of MP joint dislocation of the hand (11 cases of thumb, and 14 index and 2 little finge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anatomical structures to prevent the reduction were confirmed at operation and the cases which were reduced immediately were also analysed for their ages and differences of damaged structures, and finally their complications or outcome were reviewed for average 7 months after reduction. Results : In 11 cases of thumb MP joint dislocations, the complex dorsal dislocations in which the protruded metacarpal neck was caught by buttonhole of torn anterior joint capsule, volar plate and FPB were reduced by open method in 8 cases, and closed reduction was done in 2 cases but one old case required arthrodesis. In other finger MP joint dislocations, the Kaplan's concept to prevent the reduction was confirmed. But reduction of torn volar plate and incision of transverse metacarpal ligament were sufficient to reduce the dislocation with gentle longitudinal traction during the operation. In two cases of little finger MP joint dislocation, the ruptured radial collateral ligaments were noted after open reduction and it must the repaired to prevent the finger instability later. Their overall end results were good without any significant restriction of MP joints motions and finger instabilities. Conclusion : One or two times of closed reduction with proper local anesthesia could be tried, but simple reducible dislocation can be converted to complex irreducible ones by the inappropriate traction method, and so proper reduction technique by closed or even in open way is important with the knowledge of anatomical obstacles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s.

      • 족관절의 골-연골성 골극증 - 족관절 전방 충돌 증후군 -

        이승구,우영균,송석환,권순용,이화성,정진화,오재찬,Rhee Seung-Koo,Woo Young-Kyun,Song Seok-Whan,Kwon Soon-Yong,Lee Wha-Sung,Chung Jin-Wha,Oh Jae-Cha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2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 No.1

        목적 : 중년기이후의남성에서, 경골 원위 관절면의 전방이나, 거골경부의배부, 또는거골과경골의원위부관절면양측에골극이발생하여족관절배굴장애와통증을호소하는소위, 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족관절전방부위골-연골성골극증)의수술경과및방사선학적검사상골극발생부위의특이성을알아보고자한다. 대상및방법 : 1994년3월부터2001년3월까지본대학부속성모병원정형외과에서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으로진단되어수술가료한14명17족관절(양측3예)를대상으로하였다. 14명17족관절(양측이환3예)중우측이13예, 좌측이4예였고, 14명모두남자였고, 평균연령은47세였다. 명백한족관절외상력은없었으나, 족관절통증(특히배굴시)과쪼그려앉기장애가주소로서평균15개월(4개월$\~$3년11개월) 이상증상이계속되었고, 특별한운동기왕력은없었다. 수술전X-선, 배굴및척굴위측방X-선, CT그리고, 술후X-선과임상과정을최단18주에서최장26개월(평균13개월)까지추적하였다. 결과 : 족관절측부X-선상거골골극이10예로가장많았고, 경골골극이5예(유리골편2례), 그리고거골과경골양측골극형성이2예였다. 14예는족관절전측방도달법을이용하여골극및유리골편을절제하였고, 나머지3예는관절경을이용하였다. 술 후 2주경부터는일상생활보행을허용하였으며, 수술후평균13개월추적조사에서골극이나충돌증후군의재발은없었다. 결론: 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은운동량이많은중년기남자에빈발하며, 거골경부전방의골극형성이주요원인이었다. 족관절배굴및척굴X-선및CT가진단에도움이되며수술적으로골극을제거하여치료할수있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steochondral ridges of talus and ankle. Materials and Methods : We have analyzed their clinical symptoms and signs, radiologic and CT findings and post-operative results in 17 ankle joints of 14 patients (bilateral in 3), followed them for average 13 months after surgical excision. Results : No definite trauma, but mostly in male after middle age. Their chief complaints are pain on ankle, especially in dorsiflexion or squatting position, and symptom durations are very long, more than average 15 months. Definite diagnosis was made by lateral radiograms of ankle joint. Osteochondral ridges are common in talar neck (10 cases), tibia (4 cases) and both side (3 cases). After excision of osteophytes, all patients gained normal ankle without pain and any limited motion. Conclusions :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s are common in middle aged male, but no definite correlation with sports. Plantar and dorsiflexed lateral radiographs are helpful in definite diagnosis for impingement, and surgical excision is best for treatment.

      • KCI등재후보

        활막성 연골종증의 병태생리

        이승구(Seung-Koo Rhee),정진화(Jin-Wha Chung),이주엽(Joo-Yup Lee),임영욱(Young-Wook Lim),강수환(Soo-Hwan Kang),오재찬(Jae-Chan 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1

        목적: 활막성 연골종증의 수술시의 관절내 소견, 골연골종, 활액막의 조직학적 및 방사선학적인 검사를 통하여 활막생 연골종증의 병태생리와 이에 따른 효과적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이후 본원 정형외과에서 활막성 연골종증으로 수술한 후 평균 39개월간 추시가 가능하였던 2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제거한 골연골종과 활액막의 조직학적, 방사선학적 소견에 따라 골연골종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치료방법을 연구하였다. 결과: 총 21예 중 견관절이 9예, 슬관절이 7예, 고관절이 3예, 주관절이 2예 있었다. 전례에서 골연골종의 제거를 시행하였으며, 이 중 수술시 활액막내에서 작은 연골 종괴들이 촉지되었던 4예에서는 부분 활액막 절제술을 병행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상 활액막은 심한 증식 소견을 보였고, 골연골종은 조직학적으로 세 가지 단계, 즉 미숙형, 진행형, 성숙형으로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활액막내에 위치하였던 골연골종은 모두 미숙형으로 분류되었다. 최종 추시상 전례에서 재발은 없었다. 결론: 활막성 연골종증은 조직학적 성숙도에 따라 미숙형, 진행형 및 성숙형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이 가능하며, 대부분 골연골종의 제거만으로도 충분하나 수술시 활액막 내 연골종괴가 촉지되는 미숙형이나 진행형의 일부는 부분 활액막 절제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confirm the pathophysiology and proper treatment of synovial chondromatosis according to preoperative radiographs, intraoperative findings, and postoperative histolog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one patients with synovial chondromatosis who underwent the removal of loose bodies and synovectomy since 1995 were investigated. Patients were analyzed in terms of various radiologic and histologic findings of osteochondromas and synovium. Results: The joints involved were the shoulder joint in 9, the knee in 7, the hip in 3, and the elbow in 2 patients. Removals of osteochondromas were performed in all patients, and four who had intrasynovial proliferating nodules were treated by partial synovectomy. Histologically, the synovia were hypertrophied, and osteochondromas classifiable as three distinct types: premature, maturing, and matured. Osteochondromas in the synovium were of the premature type. There were no recurrences at an average 39 months of follow-up. Conclusion: Based on a study of 21 cases of synovial chondromatosis, there appear to be three separate types of this disease: premature, maturing, and matured. Partial synovectomy may be necessary in premature and maturing types with intrasynovial proliferating nodu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