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天理本狂言六義』에 나타나는 추량표현 - 조동사「べし」를 중심으로 -

        이수향(李粹?)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3

        This study discusses usage patterns of べし in terms of its conjugational forms and semantic usages observed in “Tenribon Kyougenrikugi”, the late Middle Ages colloquial data, in order to clarify the process of change of べし.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njugational forms, the Shuushikei べし shows the highest appearance followed by the Rentaikei べき and further by the Mizenkei べから. The Renyoukei べく and the Izenkei べけれ are not found. As the time passed, the frequency of the use of べし decreased, whereas べき increased. The increased use of べき was in particular deemed to be caused by the ‘unification of the Shuushikei and Rentaikei’, which began occurring from the late Middle Age. The current study also found two cases whereべき was used as Shuushikei instead of べし. Second, in terms of semantic usages, it was used in the order of [Suitability · Suggestion · Order] - [Guess], [Naturalness · Necessity] - [Will] - [Possibility] - [Prohibition]. It is thought that [Suitability · Suggestion · Order] was used frequently for the reason that the script did not clearly differentiate dialogues and narratives, and it also described actions of performers and stage productions together within the overall scenario. Third, the main semantic usage of べからず was [Prohibition], and the semantic meaning of [Prohibition] was manifested only by べからず. From this, it is deemed that the limited use of べからず for [Prohibition] continued to Modern Japanese while other meanings of べからず declined since the Middle Ages.

      • KCI등재

        수퍼비전 작업동맹척도(WAI-T) 요인구조 탐색

        이수현(李守賢),김동민(金東敏)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수퍼비전 작업동맹 척도(WAI-T)의 요인구조를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상담 수련생 245명(남 26명, 여 219명)을 대상으로 수퍼비전 작업동맹 척도를 실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검토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요인 모형, 2요인 모형, 3요인 모형 모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새로운 요인추출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 1은 긍정진술문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요인 2는 부정 진술문 문항(역채점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요인에는 원래 목표, 과제, 정서적 유대로 분류되었던 문항들이 골고루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수퍼비전 경험이 많은 참여자만을 대상으로 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부정 진술문 문항으로 구성된 요인 2는 요인 1과 그 의미상 같은 구인을 측정하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전체 WAI-T의 구인 타당도와 신뢰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WAI-T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Inventory-Trainee(WAI-T). WAI-T was administered to 245 trainees who were currently engaged in clinical supervision. The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best model among the three models(one factor model, two factor model, three factor model). However, none of these models showed acceptable values on the fitness indice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other factor structur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this analysis, two factors were extracted. Regardless of the original item classifications, the items loaded on Factor 1 were all positively stated. All the negatively stated items were loaded on Factor 2. Factor 1 showed higher correlations with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ub-scales than both Factor 2 and full WA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ed that at least some of the Factor 2 items were problematic, in that they were interfering with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at least Korean trainee may not judges supervisory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goal, task, and emotional bond as suggested by Bordin(1983).

      • 광학부품 제조 공정 및 각 공정별 주의사항(1)

        이수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1999 光學世界 Vol.11 No.5

        대우고등기술연구원 이수상 책임연구원이 '광학세계' 독자들을 위해서 광학부품 제조의 전 과정, 가공별 특징, 공정별 주의사항을 정리한 내용이다. 지난 6월 28일 열린 '99 광기술교육'(인하대학교 광기술교육센터 주최)에서 강의한 '정밀광학부품의 제작' 가운데 현장에서 필요한 '가공 공정'부분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수 있도록 이수상 연구원이 다시 설명을 덧붙였다. 이번 호에 이어서 11월호까지 2회에 나눠서 연재한다.

      • KCI등재

        학업소진척도(MBI-SS) 타당화 연구

        이수현(李守賢),이동엽(李東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학업소진척도(MBI-SS)의 국내 타당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의과대학 재학생들(4개 학년, 총 382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 설문지를 실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하위요인(정서적 고갈, 무능력감, 냉소성), 총 14문항(정서적 고갈 5문항, 무능력감 5문항, 냉소성 4문항)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요인구조 모델이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 모형이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하위요인이 적절한 신뢰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소진 척도는 우울과 정적상관을, 학업효능감과는 부적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타당도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MBI-SS (Masla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 Scales were validated using 382 medica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3 factors with 14 items (5 items in exhaustion, 5 items in inefficacy, and 4 items in cynicism). After EFA, the hypothesized model was verif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model was found in the good fit. Each factor also produc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Finally, it was found that factor-derived scale scores were related to scores on a measure of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negatively related to academic efficacy.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농업 · 농촌창업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의 정책 방향

        이수,김태곤,김상규,박정지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농촌창업을 통해 농촌인구 및 농가소득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OECD(2013)보고서에 따르면 창업한지 5년 이내의 기업이 6년 이상 된 기업에 비해 일자리 창출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창업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도입해 추진하고 있으며, 농림축산식품부도 최근 들어 6차산업화를 포함해 농촌창업을 활성화시키는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농촌창업이 농촌의 일자리 및 농가소득을 확대시키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농촌창업의 진입장벽이 낮아야 하고, 그 다음에는 창업기업의 경쟁력 및 생존율 향상이 전제되어야만 가능하다. 그러나 정도채(2016)등의 분석에 따르면 최근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농촌창업의 대표적인 사례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는 6차산업화 사업체의 경쟁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연간 5억원 이상의 흑자를 기록한 업체는 2000년 13개에서 2014년 337개로 증가한 반면, 적자 업체수는 동 기간 565개에서 5,205개로 증가하였다.2) 농촌창업이 농촌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농가소득을 증가시켜 농촌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농촌창업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농촌창업 사업체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과제에서는 농촌창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경기도 농촌창업 지원 플랫폼(가칭) 구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경기도 농정해양국,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센터,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 등 경기도의 농업 관련 기관들이 참여해 경기농촌창업지원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농촌창업 관련 교육 및 현장 체험, 농촌창업 관련 중앙정부/지자체/산하기관 등의 지원시스템 체계화, 농촌창업 콘테스트 개최 및 창업 지원, 농촌창업자(기업)에 대한 기술평가 및 펀드 지원 방안 모색, 농촌창업 인큐베이터 운영, 농촌창업 사업체에 대한 판매 지원 등 농촌창업과 관련된 지원시스템을 통합해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기도 예비 농업 창업존(가칭)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농업 창업은 초기 높은 투자비용이 소요되며, 창업에 실패할 경우 회복이 쉽지 않은 경제적인 부담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농업 창업의 진입장벽을 최소화해 젊은 인력의 농촌 유입을 확대시키고, 이들을 미래 농업 · 농촌의 주도 세력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 농업 창업존(가칭)을 구축해 운영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예비 농업 창업존은 예비 농업 창업자를 대상으로 2∼3년 동안 직접 농업경영을 체험하게 한 이후 창업을 하도록 함으로써 농업 창업의 실패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예비 농업 창업존의 유치대상은 농업 창업 관련 교육 이수자, 팜세어, 귀농・귀촌 현장 체험자 등 간접 농업 경영 체험자를 대상으로 하며, 운영방안은 수도작의 경우 화옹호 등 간척지를 활용하고, 시설농업의 경우 경기도가 직접 시설을 구축하거나 기존 시설을 인수해 예비 농업 창업자에게 2∼3년 정도 임대해 직접 농업을 경영해보도록 하는 것이다. 임대기간 동안 예비 창업자가 직접 농업 경영을 경험한 이후 창업 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적인 점을 감안해 생산비는 자비로 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다만 분야별 전문가를 배치하여 영농 방법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개방형 농촌창업 플랫폼 구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농업기술원, 농업 관련 대학 등에서 진행하고 있는 농산물 가공품 개발 등의 각종 연구 결과물을 예비 농촌창업자, 농촌창업 사업체 등과 공유해 연구결과물의 사업화를 촉진하고, 예비 농촌창업자 및 농촌창업 사업체에서 기술개발, 품질개선 등에 대한 요구가 있을 경우 관련 전문가를 1:1로 연계시켜 농촌창업 사업체의 제품개발 지원 및 질 좋은 창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Rural entrepreneurship is expanding interest in rural people and farm household income. Those following rural development trends have probably heard a lot about the need to encourage entrepreneurial activity in rural communities during the late years. According to the report of OECD(2013), young dynamic firms within five years contribute more to job creation than previously established within more than six years. Entrepreneurship has the potential to boost rural communities by utilizing local talent and resources, and also help keep rural populations from sharp decline i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n order to vitalize rural entrepreneurship, it need government polices to promote the rural start-up including 6th industrialization. In order for rural entrepreneurship to act as an opportunity of expanding employment and income, the entry barriers of rural start-up should have to low first. Then, it must be a premised on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and survival rate of the entrepreneurship company. Entrepreneurship relies on individuals risks, so community support is a core for succes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policy directions to raise the possibility of rural entrepreneurship succes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nstructing a Rural Entrepreneur Support Platform in Gyeonggi-Do. Agriculture-related government agencies in Gyeonggi-Do, participated to build a Rural Entrepreneur Support Platform to support the Rur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field experience, the system systematization of the rural start-up organization, start-up of the farm start-up contest, technical evaluation and fund for the rural entrepreneur, operation of start-up incubator. It is necessary to seek a plan to integrate support system for rural entrepreneurship systematically. Second, this study suggest to operate Gyeonggi Reserve Agricultural Start-up Zone. A scheme should be prepared to minimize entrance level of rural society, to expand rural influx of young people and nurture them in the future rural leader. Reserve Agricultural Start-up Zone is aiming for entrepreneur of preliminary agricultur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failure of rural entrepreneurship by making farmers experience agricultural management for 2 to 3 years. Third, it is need to prepare a plan for building an Open Rural Entrepreneurship Platform. It promote commercialization of shared research results, such as development of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which are being carried out by the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and agricultural-related universities. The platform will link the related experts to 1: 1 if there is a demand for technology development, quality improvement, etc. in the prep entrepreneur. And the platform supports product development of rural businesses and induces high quality rural entrepreneu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