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 - 문합부 합병증과 예방책 -

        이문수,강길호,조규석,김용진,김형수,이화수,김성용,백무준,김창호,조무식,Lee, Moon-Soo,Kang, Gil-Ho,Cho, Gyu-Seok,Kim, Yong-Jin,Kim, Hyung-Soo,Lee, Hwa-Soo,Kim, Sung-Yong,Baek, Moo-Jun,Kim, Chang-Ho,Cho, Moo-Si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2

        목적: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은 안정성과 간편함, 신속성 등 여러 장점으로 인해 점점 그 선호도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기계문합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고찰을 통해 이 술식의 안전성을 위해 보완해야 될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위암으로 근치적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하여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시행한 5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합부위의 출혈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시작하였던 2001년 1월을 기점으로 그 이전을 제1군(n=219), 그 이후를 제2군(n=375)으로 분류하여 각 군 간의 임상적 특징과 문합부와 관련된 술후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 간 합병증 비교에서, 문합부의 누출은 제1군이 4예(1.8%), 제2군이 3예(0.8%) 발생하였고(P=0.196), 문합부 협착은 두 군 모두 발생하지 않아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 출혈은 제1군이 43예(19,6%), 제2군이 2예(0.5%)로 제1군에서 많게 나타났다(P=0.019). 결론: 위암 환자의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은 이 술식이 갖는 여러가지 장점으로 권장되는 술식이나, 문합부 출혈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어 술 중 문합부 출혈 유무를 육안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기계문합법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Purpose: The circular stapled Billroth I gastrectomy has been gradually popularized because of several advantages.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at to be supplemented for the safety of this technique by examining the potential complication after the circular stapled Billroth I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selected 594 patients who underwent the circular stapled Billroth I gastrectomy because of the gastric cancer in our department of surgery from Jan. 1998 to Dec. 2004 as the subjects. As of Jan. 2001 when the bleeding on the anastomosis site was visually checked through the small incision at the opposite curvature to the lesion of the stomach to be resected and so the operation was complet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I (n=219) and Group II (n=375), which were the patients before and after Jan. 2001, respectively. The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stoperative anastomotic complications of both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For the comparison of complications between two groups, the anastomotic leakage was found in four cases in Group I and three cases in Group II (p=0.196). The stenosis on the anastomosis region was not observed in both groups. The bleeding on the anastomosis region illustrat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with 43 cases and 2 cases, respectively (P=0.0019). Conclusion: The circular stapled Billroth I gastrectomy is recommended because of several advantages of this technique. However, the bleeding on the anastomosis site may be indicated as the critical issue. Accordingly, the visual check on the bleeding on the anastomosis site during the operation will improve the safety of circular stapler.

      • Cis-9-Octadecenoic acid와 trans-9-Octadecenoic acid의 열분해에 관한 연구

        이문수,이운철,곽재진,Lee, Moon-Soo,Lee, Un-Cheoul,Kwag, Jae-Jin 한국연초학회 1987 한국연초학회지 Vol.9 No.1

        The pyrolysis of geometrical isomers of 9-octadecenoic acid were conducted at $600^{\circ}C$ under nitrogen, and its pyrolytic behaviors were investigated. The pyrolytic products of both fatty acids, cis-9-octadecenoic acid(oleic acid) and trans-9-octadecenoic acid(elaidic acid), were analyzed using a gas chromatograph and GC/MS spectrometer. Twenty-seven different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these pyrolyzates, and the chief products of them were ketones, alcohols and aromatic hydrocarbons. And also, the pyrolytic mechanisms of two geometrical isomers of this fatty acid were discussed by a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 황색종 잎담배의 건조과정중 비휘발성 유기산과 지방산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문수,이운철,Rhee, Moon-Soo,Lee, Un-Chul 한국연초학회 1982 한국연초학회지 Vol.4 No.2

        During the process of curing of the tobacco (Nicotiana tabacum L. ) leaves the concentration change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Higher fatty acids of the flue-cured tobacco leaves was observed. The conten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flue-cured tobacco leaves were as follows, malic> oxalic>malonic>citric>succinic acid. Higher fatty acids was linolenic>Palmitic>oleic >stearic$\geqq$linoleic acid, Citric acid content of last curing time was increased about 4~5 times in compare to before curing tobacco. It was concluded that significant changes of three variety flue-cured tobacco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mposition of Daegu gold variety.

      • 신체질환이 있는 소아청소년의 정신신체의학적 관리-총론

        이문수,조숙행,Lee, Moon-Soo,Joe, Sook-Hae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8 정신신체의학 Vol.16 No.1

        소아청소년에서의 정신신체의학은 자문조정 정신의학이라고도 불리며 신체적 질환이 있는 소아청소년에서의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신과에서는 정신사회학적 질병모델에 익숙한 반면 타과 의료진의 경우 생의학적 질병모델에 입각하여 접근하기 때문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타과 의료진과의 협업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신체질환이 있는 소아청소년의 정신과적 문제에 대해서는 개별 질환에 초점을 맞추고 의학적 심리적 정신과적 인자들의 상호작용과 그 영향을 밝히는 범주적 접근법과 질병에 걸렸다는 사실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아동 자체에 대한 접근에 주안점을 두는 비범주적 접근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신체질환이 있는 소아청소년의 치료에 그들의 발달단계에 맞는 고유한 치료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비약물학적인 치료의 경우 경험적으로 입증된 치료(empirically supportive therapy)들을 구분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Psychosomatic medicine is also known as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Pediatric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is composed of all consultation, liaison, diagnostic, therapeutic support and research activities carried out by psychiatrists and other mental professionals in pediatric ward to provide mental health services to physically ill pediatric patients. As the differences in the basic concepts of disease models between psychiatry (psychosocial model) and pediatrics(biomedical model) exist,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ld psychiatrist and pediatric medical staffs is required. Although the general guidelines are similar, there are specific considerations for consult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uch work is still needed to identify empirically supported treatments which are effective for managing a board range of psychosocial difficult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한국의 고등학생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

        이문수,정유숙,홍성도,고영훈,김승현,조숙행,정인과,김린,이헌정,Lee, Moon-Soo,Joung, Yoo-Sook,Hong, Sung-do-David,Ko, Young-Hoon,Kim, Seung-Hyun,Joe, Sook-Haeng,Jung, In-Kwa,Kim, Leen,Lee, Heon-Jeong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2

        목 적:기분과 행동에서의 계절적 변동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있었지만 아직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의 고등학생들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의 빈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서울의 남동쪽 지역에 거주하는 656명의 남녀공학 고등학교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계절성 양상 평가 설문지(SPAQ)의 한국어 번역판을 통하여 응답하였다. 이들에게서 계절성 정동장애(SAD)와 아임상성 계절성 정동장애(S-SAD)의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서는 Kasper가 제시한 기준에 따랐다. 결 과:결측치가 발생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전체 56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의 평균 연령은 16.73(SD=0.65)세였다. 이들에서의 전반적 계절성 점수의 평균은 5.88(SD=4.72)이었다. 응답자의 73.1%는 자신들이 계절성의 변화가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전체 SAD의 유병률은 13.6%, S-SAD의 유병률은 10.8%로 나타났다. 이 중 여름철 SAD는 5.1%, 여름철 S-SAD는 3.2%였으며, 겨울철 SAD는 0.5%, 겨울철 S-SAD는 1.1%로 조사되었다. 결 론:여름철 SAD 및 S-SAD의 유병률이 겨울철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다른 아시아 국가인 중국이나 일본의 결과와 유사한 것이다. 여름 동안의 고온 다습한 날씨에서 오는 불쾌감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는 SPAQ의 적용에 있어서 동아시아 국가의 기후 특성에 맞는 계절성 정동장애를 위한 새로운 기준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Objectives: Although many reports have been written on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in foreign countries, few reports have dealt with Korean adolescents, except medical student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frequency of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656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outheaster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with the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the Seasonal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 and their responses were evaluated for seasonal patterns in mood and behavior change according to Kasper's criteria to make SAD (seasonal affective disorder) or SSAD (subclinical seasonal affective disorder) diagnosis. Results: A total of 565 subjec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nd the responses (M:F=324:241)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mean age was 16.73 (SD=0.65) years, and mean global seasonality score 5.88 (SD=4.72). Of the respondents, 413 (73.1%) reported problems related with seasonal changes. Total prevalence rates were 13.6% for SAD, 10.8% for S-SAD. The estimated frequencies were 5.1% for summer SAD, 3.2% for summer S-SAD, 0.5% for winter SAD and 1.1% for winter S-SAD. The prevalence rate of summer SAD or S-SAD was higher than winter SAD or S-SAD. Conclusion: The subjects showed a higher prevalence rate of summer type than winter type in SAD or S-SAD.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studies carried out in East Asian countries. However, the unpleasant feelings resulting from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in summer rather than depression may have influenced the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new SAD criteria of the SPAQ suitable for East Asian countries.

      • 진행성 위암으로 오인된 조기위암 천공 1예

        이문수,김성용,오상현,채만규,정일권,백무준,박경규,김창호,조무식,Lee Moon Soo,Kim Sung Yong,Oh Sang Hyun,hCae Man Kyu,Chung Il Kwon,Baek Moo Jun,Park Kyung Kyu,Kim Chang Ho,Cho Moo Sik 대한위암학회 2001 대한위암학회지 Vol.1 No.1

        An exceedingly rare case of perforated early gastric cancer is reported. A 68-year-old man developed peritonitis due to perforation of early gastric cancer. An emergency radical operation was performed and was followed by an uneventful recovery. Histologic examination of the surgical specimen showed type III early gastric cancer composed of a signet ring cell carcinoma. Five years after surgery, the patients was alive with no evidence of tumor recurrence. The rarity of this complication in early gastric cancer is discussed,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is presented.

      • 위 전절제술에서 췌장보존 비장적출술의 합병증 및 보완술식

        이문수,강길호,조규석,김용진,김성용,백무준,김창호,조무식,Lee, Moon Soo,Kang, Gil Ho,Cho, Gyu Seok,Kim, Yong Jin,Kim, Sung Yong,Baek, Moo Jun,Kim, Chang Ho,Cho, Moo Sik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위 전절제술 시 췌장의 합병 절제로 인한 술 후 합병증의 감소를 위해 췌장보존 비장적출술이 소개되었으나, 이 술식을 적용했던 몇몇 보고에서 여전히 합병증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이에 따른 보완술식의 필요성과 해부학적 검토가 요구되어 본원에서 시행한 술식의 결과를 통해 그 보완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위암으로 위 전절제술 시 췌장보존 비장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술식을 시행한 38예(A군)와 췌장 미부의 괴사에 대해 보완 개발된 술식을 시행한 103예(B군)를 각각 두 군으로 구분하여 술 후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A군과 B군 두 군 간 술 후 합병증 비교에서는 췌장루가 각각 4예와 0예, 복강내 농양이 1예와 0예였고 췌미부 괴사는 2예와 0예에서 수술 중 발생되었으며 2예 모두 췌미부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그 외로 경미한 췌즙누출이 각각 2예씩 발생하였으나,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두 군 간 합병증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1). 결론: 위 전절제술에서 췌장보존 비장적출술의 합병증에 대한 보완을 위해 혈관 겸자를 이용해 임시적으로 비동맥의 혈류를 차단하여 췌 미부의 허혈성 변화를 관찰한 후 비동맥을 절단하는 술식을 적용한 보완된 췌장 보존 비장 적출술은 간편하면서도 술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A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PPTG) was introduced to decrease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ue to pancreatic resection. However, some complications, such as leakage of pancreatic juice, are still report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upplementary procedure based on the results of treatment for gastric cancer at our hospita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1997 to Dec. 2004, the cases of 141 patients who underwent a PPTG for gastric cance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 A (38 cases), patients who were treated using a conventional PPTG, and Group B (103 cases), patients who were treated using a new and improved PPTG. Thei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compared.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opathologic data were not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comparison of complications showed for groups A and B, respectively, 4 and 0 cases of pancreatic fistula, 1 and 0 cases of intraabdominal abscess, 2 and 0 cases of intraoperative pancreatic necrosis, and 2 and 2 cases of minor leakage. The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1).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PPTG-related complications, we used vascular clamps to observe the necrosis of the pancreatic tail before dividing the splenic artery, and this method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us, we conclude that our use of vascular clamps in a PPTG is a simple and useful method for prevent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D형 인격 척도의 표준화 예비연구 : 내적일치도 및 구성타당도

        이문수,박영민,임홍의,송우혁,안정천,김성환,이분희,한창수,김용구,조숙행,고영훈,Lee, Moon-Soo,Park, Young-Min,Lim, Hong-Euy,Song, Woo-Hyuk,Ahn, Jung-Chun,Kim, Seong-Hwan,Lee, Bun-Hee,Han, Chang-Su,Kim, Yong-Ku,Joe, Sook-Haeng,Ko, 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7 정신신체의학 Vol.15 No.2

        연구목적 : D형 인격은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하며, 심혈관 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과의 관련성, 그리고 그 질환에 대한 예측인자로서의 가능성 등에 대해 아직까지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그러나, 기존 외국의 연구 결과들은 D형 인격이 심혈관 질환의 발병이나 경과에 중요한 예측인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현재에도 관련 연구결과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어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예비연구를 통해 D형 인격의 검사 도구인 DS14를 번안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D형 인격 평가 척도의 표준화된 기준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 1차 조사에서는 총 17문항으로 구성된 DS14의 예비 척도를 국문으로 번역하여, 서울 및 경기도 안산지역에서 무작위 표집한 심혈관 질환이 없는 정상인 372명에게 작성하도록 하였다. 예비척도에서 척도화가 가능한 문항을 추출하여 14문항의 DS14를 완성하고, 그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2차조사에서는 1차조사의 대상 중 40세 이상을 대조군으로 심혈관 질환 환자들과 DS14에 의한 D형 인격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결과 : 1차 조사에서 예비 척도의 분석결과 '사회적 억제' 하위척도의 10문항 중 7개의 문항이 결정되어 14문항의 DS14척도가 완성되었다. 부정적 정서와 사회적 억제 각 하위척도의 내적일치도를 나타내는 신뢰도계수는 각각 0.817, 0.797이었다. 2차조사에서는 관상동맥질환 군에서 일반인구군에 비해 D형 인격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한국어판 DS14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고려할 때 부정적 정서와 사회적 억제의 양상을 보이는 D형 인격의 평가에 유용한 척도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DS14척도를 사용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예측인자로서 D형 인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 The distressed personality (type-D) pattern, consisting of negative affectivity and social inhibition, has been shown by Denollet et al. For measuring the Type D characteristics, Denollet has devised the 14 item Type D scale (DS14). In the present study, this instrument was translated into Korea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DS14 was pilot tested. Methods : Preliminary version of the total 17-item DS14 scale was translated into Korean. 372 controls that did not have any coronary heart diseases (CHD) were randomly sampl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reliminary Korean version was applied to controls and 14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o maximize reliability of the scale. We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type-D personality among the normal controls, hypertensive patients, and the CHD patients. Results : 7 of 10 items in social inhibition were selected and final 14-item version was mad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negative affectivity (0.817) and social inhibition (0.797) were high. In addition, the prevalence of type-D personality in the CHD patient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s.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version of DS14 is a valid tool for measuring the type D characteristics. Type-D characteristics can be suggested to predict adverse prognosis in patients with CHD.

      • 천공성 위암의 수술 방법과 치료 결과

        이문수,채만규,김태윤,조규석,김성용,백무준,정일권,박경규,김창호,송옥평,조무식,Lee, Moon-Soo,Chae, Man-Kyu,Kim, Tae-Yun,Cho, Gyu-Seok,Kim, Sung-Yong,Baek-Moo-Jun,Chung-Il-Kwon,Park, Kyung-Kyu,Kim, Chang-Ho,Song-Ok-Pyung,Cho, Moo-Sik 대한위암학회 2002 대한위암학회지 Vol.2 No.2

        Purpose: Perforated gastric cancer (PGC) is rare and occurs in $1\∼4\%$ of all gastric cancers. Possible dissemination of tumor cells at the time of perforation of the gastric carcinoma has been a matter of concern. The intraoperative determination of what kind of operation should be done and how extensive the lymphnode dissection should be still remains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rvival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treatment for PGC.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2 patients were operated on for a perforated gastric carcinoma at Soonchunhyang University Chunan Hospital from 1983 to 2000. the age and the sexes of the patients, the location of perforation, the diameter of perforation, the histologic type of the tumor, the depth of wall invasion, the absence or pres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 distant metastasis, the stage of disease, the type of operation, and the outcomes were exam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using Fisher's exact test. Results: The stage distributions according to the UICC classification were 1 case of stage I, 6 cases of stage II, 17 cases of stage III, and 11 cases of stage IV. An emergency gastrectomy was done in 26 patients ($61.9\%$), with a 5-yr survival rate of $44\%$. The survival of patient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epth of wall invasion, the lymphnode metastasis, distant metastasis, the stage of disease, and the type of operation. Conclusions: an emergency gastrectomy i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most patients with resectable PGC. Choosing more a optimistic surgical approach for potentially curative cases of PGC should be one way to increase the patient's survival rate.

      • 뚜렛 증후군에서의 경두개 자기자극술

        이문수,Lee, Moon-S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0 정신신체의학 Vol.18 No.1

        뚜렛 증후군은 주로 아동기에 발생하는 만성적인 운동 및 음성 틱을 주소로 하는 질환이다. 기저핵-시상-피질 회로에서의 이상이 비자발성 틱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뚜렛 증후군은 흔히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나 강박장애와 병존한다. 경두개 자기자극술은 연구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신경생리학적 기법이다. 이 기법이 피질의 활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증거들이 많아서,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술은 피질의 활성도를 바꾸어서 결과적으로 내재한 서로 연결된 피질-피질하 회로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치료적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경두개자극술의 여러 신경생리학적 변인들과 임상적 응용에 관하여 기존의 연구보고들을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is a chronic motor and vocal tic disorder of childhood onset. Abnornmalities in basal ganglia-thalamo-cortical circuit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underlying the involuntary tics. It is often complicated by comorbi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TMS) is a neurophysiologic technique with research ap-plication. As there is good evidence that this technique can modify cortical activity, repetitive TMS is also used for treatment to change the cortical excitability and therefore affect underlying interconnected cortical-sub-cortical loop. We reviewed the neurophysiologic parameters and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TMS and rT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