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서 감정상 볼펜 필획의 잉크 밀집도 및 너비 특성

        윤영욱,김진선,박초원,서지영,최진우,최미정 한국과학수사학회 2022 과학수사학회지 Vol.16 No.3

        문서감정 상 필기구의 식별분야에 있어서 볼펜의 잉크 및 볼 크기 추정을 위한 비파괴적 분석요소로써 필획의 잉크 밀집도(Ink stroke density)와 너비(width)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4종류의잉크(유성, 저점도 유성, 중성 및 수성)와 볼 크기(0.5~1.0 mm)의 볼펜 총 39개를 대상으로 일정압력(100~300 g)을 적용하여 필획의 밀집도와 너비를 각각 측정하였다. 필획 밀집도의 형태적 특징으로는, 1) 고점도 잉크의 선택적 확산, 2) 응집, 3) 점, 4) 저점도 잉크의 선택적 확산 등 4가지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밀집도의 침착정도는 잉크의 점도가 낮은 중성(78.19~84.66%)과 수성(44.96~85.26%)에 비해 점도가 높은 유성(33.74~47.26%)은 2배정도 낮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필획 너비는 볼펜에 작용하는 압력과 볼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잉크에 따른 필획 너비는 유성(225.27~415.20 μm)과 저점도 유성(243.04~444.50 μm)의 경우 유사하였으나 중성(328.20~523.46 μm)의 경우, 유성과 저점도 유성에 비해약 100 μm 이상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필획의 밀집도와 너비는 잉크의 점도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에 차이를 보였으며 필기구 식별을 위한 비파괴적 분석 순서로는, ① 잉크 밀집도의 형태적 분석 및 침착정도를 분석하고, ② 잉크 너비 측정을 통한 잉크 및 볼 크기를 추정하는 통합적 감정이 필요하며 문서감정시 필기구의 비파괴적 식별부분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Spectroscopic Identification of Isomeric 2,3- and 2,6-Dimethylbenzyl Radicals in Corona Discharge

        윤영욱,이상국 대한화학회 2013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4 No.3

        We resolved the controversial assignments of the visible vibronic bands observed from corona discharge of 1,2,3-trimethylbenzene. The vibronic bands belonging to the jet-cooled 2,6-dimethylbenzyl radical were clearly identified from the spectrum observed from corona discharge of 2,6-dimethylbenzyl chloride. After subtracting the bands of the 2,6-isomer from the spectrum observed from corona discharge of 1,2,3- trimethylbenzene, the vibronic bands of the 2,3-isomer were also identified. By comparing data with the known vibrational data of 1,2,3-trimethylbenzene and the results of ab initio calculations, we determined the electronic energies of the D1 → D0 transitions and vibrational mode frequencies in the ground electronic states of the 2,3- and 2,6-dimethylbenzyl radicals.

      • KCI등재

        Distance Estimation Scheme Exploiting IR-UWB Radar with Clutter Suppressing Algorithm in Indoor Environments

        윤영욱,박요한,이병무,현병천,김영옥 대한전기학회 2019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14 No.4

        This paper proposes a distance estimation scheme with an impulse radio ultrawide-band (IR-UWB) radar for a long-range target in an indoor environment. When the pulse is transmitted from the IR-UWB radar and is refl ected from the target, fading eff ects make it diffi cult to estimate the time-of-arrival of a direct path, which can be distorted by the clutter in indoor environments. The proposed scheme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distance estimation by mitigating the eff ect of the clutter with a low-rank approximation scheme and a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chem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s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in a general offi ce building,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track the dynamic distance of a target from the radar up to 11 m in an open space and 14 m in a narrow corridor, respectively, with an average error of less than 0.2 m.

      • 의료 및 소형 폐기물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의 특성

        윤영욱,강준구,전태완,신선경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급격한 산업화와 인구 증가 등은 국내 폐기물 발생량이 해마다 증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폐기물 처리방법이 수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폐기물 처리 방법 중 하나는 소각에 의한 폐기물 처리이며 다량의 폐기물 처리가 가능하고 특히 폐기물의 부피와 무게를 10~20% 정도로 감량할 수 있으며 소각열에너지를 회수하여 폐기물의 자원순환에 일조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국내 폐기물의 소각처리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폐기물 소각처리 중 발생하여 배출되는 다양한 오염물질은 환경에 큰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모니터링은 환경보전 문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의료 폐기물 소각로 44개소와 소형 폐기물 소각로 28개소, 총 72개의 가스 샘플을 채취하고 분석하여 주 대기오염 물질인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다이옥신을 측정하였고 배출허용기준과 비교하였다. 또한 주성분분석을 통해 오염물질 배출을 6개 그룹과 6개 샘플로 나누어 각각의 배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이옥신의 경우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시설은 의료 폐기물 소각로 7개소, 소형 폐기물 소각로 9개소로 나타난 반면,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의 경우 소형 폐기물 소각로 10개소에서만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의료 폐기물 소각시설보다 소형 폐기물 소각시설의 오염물질 배출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방지시설과 운전 조건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고형연료제품 품질 시험⋅분석방법 개선 연구

        윤영욱,박호연,권영현,권준화,강준구,전태완,이영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폐기물에너지는 폐기물을 변환시켜 연료 및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며 고형연료제품이 이에 해당한다. 고형연료제품은 가연성 생활폐기물, 폐플라스틱, 폐타이어, 폐목재 등의 고체폐기물을 파쇄, 분리, 건조, 성형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한다. 고형연료제품 사용은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폐기물 중 가용 자원의 재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형연료제품은 소각을 통해 열에너지를 회수하므로 그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오염물질 발생을 줄이기 위해 고형연료제품의 품질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고형연료제품의 품질기준 시험은 환경부고시 제 2014-135호 고형연료제품 품질 시험․분석방법을 기준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품질기준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고형연료제품 품질시험방법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행 고형연료제품 품질시험방법은 국외 고형연료제품 품질시험방법과 폐기물공정시험기준을 참고하여 번역․제정하였고, 그 과정에서 국내 실정에 맞지 않거나 용어, 문장의 오류가 다수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현행 시험방법을 개선하고 오류를 수정하여 고형연료제품 품질시험방법을 개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품질시험방법의 개정을 위해 고형연료제품 품질표시 시험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개정의견의 타당성은 전문가 회의, 적용성 시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적용성 시험은 고형연료제품 시료 운반 온도에 따른 성분 변화 분석, 회분시험 시료량의 변화에 따른 회분함량 분석, 마이크로파 전력 및 반응시간에 따른 고형 연료제품의 중금속 함량 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 고형연료의 중금속 함량 분석 개선 연구

        윤영욱,손지환,권영현,장미정,강준구,신선경,전태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국내 폐기물 발생량은 급격한 산업화와 인구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폐기물 처리방법이 수행되고 있다. 폐기물 처리방법 중 하나인 고형연료제품 제작은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폐기물 중 가용 자원의 재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로 간주되고 있다. 고형연료는 고체폐기물 중 폐합성수지류, 폐지류, 폐목재류 등 가연성 물질을 선별하여 파쇄, 건조 등의 처리과정을 거쳐 연료화시킨 것을 통칭하며 소각시설이나 발전시설에서 연료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고형연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고형연료가 안전한 제품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다수의 품질기준 적합성 검사가 필요하다. 고형연료 품질기준 중 중금속 함량 분석은 이러한 인식 제고에 반드시 필요한 시험 항목이기 때문에 정확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현재 고형연료 품질시험방법에 따른 중금속 분석방법은 전처리 과정에서 고형연료 시료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고형연료의 중금속 함량 분석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전처리 조건의 산 종류, 마이크로파 전력(W), 반응시간에 변화를 주어 이에 따른 17종의 중금속(As, Cd, Pd, Ca, Co, Cr, Cu, Fe, Li, Mg, Mn, Ni, Sb, Sr, Ti, V, Zn)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상 시료는 인증표준물질 ERM-EC680k를 사용하였고 마이크로파 전처리를 통해 제조된 액상시료는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분석기(ICP-OES)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