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막 편평상피유두종의 임상양상과 수술적 치료의 결과

        찬주(Chan Joo Ahn),김남주(Nam Ju Kim),정호경(Ho Kyung Choung),현준영(Joon Young Hyon),곽상인(Sang In Khwar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결막 편평상피유두종 환자들의 임상양상과 수술적 치료 방법 및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0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및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안과에서 결막 편평상피유두종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시행 받은 31명 32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31명 중 9명은 본원 내원 전 같은 종류의 병변에 대한 절제술을 받았으나 재발한 경우였다. 25안에서 한 눈에 1개, 2안에서 2개, 5안에서 3개 이상의 종양이 관찰되었다. 종양은 눈꺼풀판결막에 가장 많았다. 재발한 환자에서 이전 치료경력이 없는 환자에 비해 종양의 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수술적 치료로 총 32안 중 13안에서 종양절제술만, 15안에서 종양절제 및 냉동치료, 3안에서 종양절제, 냉동치료 및 인터페론 점안요법, 1안에서 종양절제 및 양막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1.1개월이었다. 수술 후 5안에서 재발하였으며,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4.22개월(3일-9개월)이었다. 종양절제술만 시행하고 재발한 경우가 3안, 종양절제술과 냉동치료 후 재발한 경우가 1안, 종양절제, 냉동치료 및 인터페론 점안요법 후 재발한 경우가 1안이었다. 재발한 5안에 대하여 추가로 종양절제와 냉동치료 또는 종양절제와 인터페론 점안요법, 또는 종양절제, 냉동치료 및 인터페론 점안요법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결론: 결막 편평상피유두종은 수술적 절제 치료를 해도 재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술 후 장기간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surgical treatments, and their outcomes in conjunctival squamous papilloma.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on 31 patients with 32 eyes that were treated for conjunctival papilloma from October 2000 to February 2015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Results: Among the 31 patients, 9 patients had papilloma which recurred after previous surgical excision at another hospital. Twenty-five eyes had one papilloma lesion, 2 eyes had 2 lesions, and 5 eyes had more than 3 lesions. The most affected location of papilloma was the tarsal conjunctiva. The recurrent group displayed a tendency to have multiple lesions. Surgical excision without any adjuvant therapy was performed in 13 eyes; surgical excision and cryotherapy in 15 eyes; surgical excision, cryotherapy, and topical interferon alfa-2b in 3 eyes; and surgical excision and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in 1 eye. The mean postoperative follow up period was 11.1 months. There were 5 cases of recurrence and the mean time of recurrence after surgical excision was 4.22 months (range, 3 days to 9 months). Among 5 cases of recurrence, 3 cases were after surgical excision only, 1 case was after surgical excision and cryotherapy, and 1 case was after surgical excision, cryotherapy, and topical interferon alfa-2b. These 5 recurred cases were re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and cryotherapy, surgical excision and topical interferon alfa-2b, or surgical excision, cryotherapy, and topical interferon alfa-2b. Conclusions: Conjunctival squamous papilloma is likely to recur even though the tumor is completely removed. Therefore, long-term postoperative follow up may be necessary for recurrence.

      • KCI등재

        학습자 작문 교육을 위한 텍스트의 구어성 측정 연구

        의정 ( Eui Jeong Ah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7 No.-

        최근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사용역을 고려한 언어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어휘의 사용 양상은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러한 어휘 선택이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즉, 작문에서 학습자들은 구어 어휘를 선택하는 오류를 흔히 범하고 있다. 학습자들의 이러한 어휘 사용 양상을 살펴서 학습자가 생산한 문어 텍스트의 구어성을 측정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안의정(2009)에서는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어휘의 구어성과 문어성을 측정하여 이를 어휘 목록으로 정리한 바 있다. 본고는 여기서 제시한 목록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의 구어의 여러 텍스트들을 구어성의 정도에 따라 나열해 볼 수 있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구어성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구어성의 개념을 검토하는 이유는, 다양한 구어 텍스트의 구어성 정도를 정리하여 본고에서 제시하는 구어성 점수의 타당성 검증에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는 모국어 화자의 구어 텍스트를 이용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텍스트의 구어성 측정을 위한 방법과 그 과정의 전반을 소개하였으며, 특히 구어성 측정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안의정(2009)의 목록을 면밀히 검토하여 구어성 어휘의 등급을 1~4등급으로 나누어 활용하였다. Resently the research of teaching Korean language becomes more active, the importance of teaching Korean language is being highlighted regarding the register. Use patterns of vocabulary depends on the types of text, and these selection of word is not easy to foreign students. In other words, learners often make mistake of choosing a vocabulary in writing. This study aims to measure colloquial features of texts which generated by learners by observing these patterns using the vocabulary of learners. With regard to this, Ahn(2009) made colloquial and formal features to list with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the corpus linguistics. I studied the methods of measurement based on this list, and as a result, I could list up colloquial features of existing several spoken texts.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 have summarized the concept of colloquial features in chapter 2. I have reviewed the concept of colloqual feature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because I want to use colloquial features to validate ``colloquial feature score`` which I have marked on existing spoken texts. I used spoken text in their native language speakers for validation. In chapter 3 I introduced the method for the mesuriing of the colloquial features of texts and the entire process of it. In particular, the list of Ahn(2009) used directly in measuring the colloquial features was examined closely and the level of spoken language vocabulary was utilized by being divided into 1-4 grades.

      • KCI등재

        특발성 망막앞막, 황반원공에서 유리체 절제술 후 주입한 가스 종류에 따른 백내장 진행

        자영(Ja young Ahn),김체론(Che Ron Kim),공민귀(Min gui Kong),한용섭(Yong Seop Han),정인영(In Young Chung),박종문(Jong Moon Park)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1

        목적: 특발성 망막앞막과 황반원공 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 후 주입한 가스의 종류에 따른 백내장의 진행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 절제술 후 액체/공기 교환술(Group 1), 20% SF6 주입술(Group 2)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 1, 2, 4, 6, 12개월째의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LOCS) III 분류를 이용한 핵경화도, 굴절력(구면대응치)을 측정하였다. PentacamⓇ 샤임플러그 이미지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ean nuclear density와 maximal nuclear density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40명, 40안 중 액체/공기 교환술만 시행한 환자(Group 1)는 21안, 20% SF6 가스를 주입한 환자(Group 2)는 19안이었다. 두 군 모두 수술안이 비수술안에 비해 mean nuclear density와 maximal nuclear density, LOCS III를 이용한 백내장 진행의 분석에서 핵경화의 진행이 빨랐다. 가스의 종류에 따른 비교에서 mean nuclear density는 수술 후 4개월째 두 군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maximal nuclear density는 수술 후 2개월과 4개월째 두 군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LOCS III는 수술 후 2개월과 4개월째, 구면대응치는 수술 후 1개월부터 6개월까지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유리체절제술 전과 수술 후의 백내장 진행 정도는 주입한 가스와 관계없이 수술안이 비수술안에 비해 핵경화의 진행이 빨랐다. 20% SF6 주입술(Group 2)을 시행 받은 군에서 핵경화의 진행이 더 빨리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나 수술 후 12개월에는 가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핵경화의 변화 정도는 비슷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745-1751> Purpose: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f quantitative lens nuclear opalescence change after pars plana vitrectomy and intravitreal gas injection in patients with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and macular hole. Methods: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ccording to the kinds of injected gases, either Group 1 (fluid/air exchange) or Group 2 (20% SF6 gas injection). Lens nuclear opalescenc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Lens Opacities Classification System (LOCS) III, mean nuclear density and maximal nuclear density of Pentacam?? scheimpflug image changed by image J, besides refractive errors were evaluated before surgery and 1, 2, 4,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Out of 40 eyes of 40 patients included in the analysis, 21 received only fluid/air exchange (Group 1) and 19 received 20% SF6 gas injection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lens nuclear opalescence between the study and control (unaffected) eyes. In both groups, the study eyes experienced significant progression of cata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eyes, in terms of mean nuclear density, maximal nuclear density and LOCS III. In comparison according to the kinds of injected ga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nuclear density after 4 months, maximal nuclear density after 2 months and 4 months, LOCS after 2 months and 4 months, and refractive error after 1, 2, 4, and 6 months between both groups (p = 0.003). Conclusions: After vitrectomy and intravitreal gas injection, changes in postoperative lens nuclear opalescence of the study eyes progressed more rapidly compared with the control eyes. This study identified that lens nuclear opalescence of Group 2 progressed rapidly, but after 12 month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lens opacity between the kinds of injected ga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745-1751

      • 차세대 모빌리티 경량화 소재 적용에 따른 최신 도료기술 동향

        재범(Jae Beom Ahn)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2

        차세대 모빌리티의 과제 중 하나는 전동화에 따른 연비 효율의 향상으로 최소 동력으로 최대의 주행거리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시키긴 위해선 구동, 동력 기관 성능 향상도 중요하나 자동차 프레임과 판넬을 구성하고 있는 금속의 경량화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무게가 가볍고 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 적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중 CFRP, PC, MIC 공법 사출 소재(TPO) 등은 자동차 판넬류, 유리를 일부 대체하고 있으며 소재의 내구성, 외관 향상을 위해 표면처리를 하는 도료도 적용 및 개발이 진행 되고 있다. CFRP, MIC 사출 소재, PC 에 적용하는 도료는 소재의 내구성 향상과 고외관 구현이 가능 해야 하므로 각 소재의 특색에 맞는 도료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먼저 CFRP 소재용 도료의 경우 도장공정 단축과 함께 고광택 외관 구현을 위해 ACRYL RESIN 을 이용하여 PRIMER, CLEAR 를 도료 하여 외관뿐만 아니라 소재의 내구성도 향상 되었으며 MIC 공법의 사출 소재용 도료는 염소화시킨 아크릴 수지를 PRIMER 화 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사출 소재 색상을 유지하면서 고외관을 가지는 도료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PC 소재용 도료의 경우 기존 UV 도료를 일부 사용하고 있으나 유리 수준의 경도를 구현하기 위해 polysiloxane 을 이용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도료를 개발 진행중에 있다. 이처럼 다양한 소재의 표면처리에 필요한 도료 개발을 통하여 자동차 경질화 플라스틱 소재의 고급화와 도료 시장의 점진적 확대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소아 급성호흡곤란증후군에서 체외순환막장치 적용에 대한 RESP, PRESERVE, ECMOnet 점수 체계의 유용성

        원기 ( Won Kee Ahn ),한정호 ( Jung Ho Han ),김윤희 ( Yoon Hee Kim ),설인숙 ( In Suk Sol ),윤서희 ( Seo Hee Yoon ),김민정 ( Min Jung Kim ),김경원 ( Kyung Won Kim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u-earn Kim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2017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5 No.3

        Purpose: With increasing use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for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in children, development of standardized strategies for survival prediction has become crucial; however, this has not been accomplished yet. We evaluated the adult scoring systems for survival prediction used for their applicability in pediatric ARDS and validated them. Methods: A total of 11 children with ARDS receiving ECMO from 2013 to 2014 were evaluated with adult scoring systems, including the Respiratory Extracorporeal-membrane-oxygenation Survival Prediction (RESP), the PRedicting dEath for SEvere ARDS on VV-ECMO (PRESERVE), and the ECMOnet scores. We compared the scores on these scale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urvivors and nonsurvivors. Results: Eight of the 11 children died (72.7%). The PRESERVE score (survivors vs. nonsurvivors: 2 vs 5.25, P=0.048), and the ECMOnet score (4.1 vs. 5.63, P=0.048) were lower in survivors than in nonsurvivors. They correctly predicted mortality predi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 score between survivors and non-survivors (-4.33 vs -2.62, P=0.63). The parameter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is study were peak inspiratory pressure, platelet, and delta neutrophil index. All children who were under immunocompromised conditions, such as those with tumors, or underwen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died. The immunocompromised status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for survival prediction in children with ARD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pilot study to apply the survival prediction scoring system to pediatric ARDS with ECM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modify the survival prediction score system for pediatric ARDS with ECMO.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7:5:141-146)

      • KCI등재후보

        음이온(SDE)/양쪽성(TDB, ODB) 계면활성제 혼합미셀의 물리화학적 특성

        범수 ( Beom Shu Ahn ) 한국유화학회 200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21 No.3

        N/A The interaction between anion and zwitterionic surfactants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surface tension, NMR spectroscopy, and fluorescence studies. These systems are N-tetradecyloxymethyl-N,N-dimethyl betaine (C_(14), TDB), N-octadecyloxymethyl-N,N-dimethyl betaine (C_(18), ODB), and sodium dodecylethoxy sulfate (SDE). These systems show a composition dependency in micellar properties. When the molar fraction of TDB and ODB was about 0.6, the cmc values of these systems showed minima, whereas the solubilized amount of a water insoluble dye, NMR line width showed maxima. These changes comes from the intramolecular complexes formed in the mixed micelles. The complexes are due to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of oppositely charged head groups of betaine and sodium dodecylethoxy sulfate. A comparison of betaine and SDE alkyl methylene group line widths to those of n-methyl group indicates that the interior of the micelle in the restricted region is more immobile than the head group.

      •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예진(Ye jin Ahn)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3 상담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국내 학교 밖 청소년 진로에 관한 연구 동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에 관하여 주요 키워드로 검색하여 총 53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발행연도, 연구 방법, 연구대상, 연구변인, 측정도구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 연도별 논문 수는 2022년에 가장 많이 발행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은 총 53편의 논문 중 37편이 양적연구로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으로는 53편의 논문 중 17편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2014, 2015, 2016, 2017)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되었다. 넷째, 변인별 동향은 개인적 진로요인이 독립변인으로 사용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측정별 도구로는 진로장애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제언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the careers of young people who are out of school in Korea.. This was searched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s the main keyword for 'the career path of out-of-school youth', and a total of 53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research variable, and measurement tool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pers by publication year was the most published in 2022. Second, as for the research method, 37 out of 53 papers were conducted as quantitative research. Third, as a research subject, 17 out of 53 papers were studied using data from a panel survey on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013, 2014, 2015, 2016, 2017). Fourth, as for trends by variable, most of the papers used individual career path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Fifth, career disability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 for each measuremen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suggestions were discussed.

      • 현수보도교 윈드케이블의 초기장력을 고려한 초기평형해석에 대한 연구

        성배 ( Ahn Sung-bae ),박민식 ( Park Min-si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현수식 교량의 해석을 위해 가장 먼저 자중을 고려한 초기평형해석을 하게 된다. 현수보도교의 경우 초기평형해석에 있어 복잡한 비선형해석 보다는 메인 케이블과 행어의 교차하는 절점에서 힘의 평형을 이용한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초기형상을 위한 부재의 장력을 결정하고 있다. 현수보도교의 경우 현수도로교에 비해 구조물 자중 및 재하하중이 적으며 풍하중에 의한 사용성 및 변위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풍하중에 저항하는 윈드케이블을 추가로 고려하고 있으나, 윈드케이블을 포함한 초기평형해석에 있어 메인케이블과 같이 자중에 의한 케이블 힘의 평형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여 초기평형을 해석할 경우, 구조계 전체의 자중을 저항하기 위하여 초기형상이 결정된 메인케이블은 자중이 적용될 경우 산정된 장력으로 초기형상이 유지되는 반면, 풍하중에 저항하기 위하여 초기형상이 결정된 윈드케이블은 케이블 자체의 자중만 고려되어 초기형상을 유지만할 정도 작은 장력만 산정되어, 풍하중이 작용할 경우 초기형상이 유지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 현수보도교 윈드케이블의 초기장력을 고려한 초기평형해석에 대한 연구

        성배 ( Ahn Sung-bae ),박민식 ( Park Min-si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현수식 교량의 해석을 위해 가장 먼저 자중을 고려한 초기평형해석을 하게 된다. 현수보도교의 경우 초기평형해석에 있어 복잡한 비선형해석 보다는 메인 케이블과 행어의 교차하는 절점에서 힘의 평형을 이용한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초기형상을 위한 부재의 장력을 결정하고 있다. 현수보도교의 경우 현수도로교에 비해 구조물 자중 및 재하하중이 적으며 풍하중에 의한 사용성 및 변위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풍하중에 저항하는 윈드케이블을 추가로 고려하고 있으나, 윈드케이블을 포함한 초기평형해석에 있어 메인케이블과 같이 자중에 의한 케이블 힘의 평형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여 초기평형을 해석할 경우, 구조계 전체의 자중을 저항하기 위하여 초기형상이 결정된 메인케이블은 자중이 적용될 경우 산정된 장력으로 초기형상이 유지되는 반면, 풍하중에 저항하기 위하여 초기형상이 결정된 윈드케이블은 케이블 자체의 자중만 고려되어 초기형상을 유지만할 정도 작은 장력만 산정되어, 풍하중이 작용할 경우 초기형상이 유지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