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담학에서 공감 연구에 대한 고찰 : 상담학 분야 주요학술지 중심으로

        하소영(So Yeong Ha)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19 상담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공감 관련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상담에서의 공감 연구의 전망을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감’을 주제어로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의 상담학 분야 주요 학술지(상담학 연구, 한국 상담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청소년 상담연구)에 게재된 총 3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연구 논문 수는 2014년부터 증가하다가 2018년부터 감소하였다. 둘째,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23.7%)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로는 성격․적응 연구(47.4%)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92.0%), 측정도구로는 IRI, 통계분류기준으로는 회귀분석 연구(44.3%)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변인으로는 정서적 특성과 자아 및 동기(22.2%)변인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감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Obju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cent empathy research and to discuss the prospect of empathy research in counseling. Methods: As a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38 papers on empathy published in major journals(Korea Journal of Couns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from 2014 to 2019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 was drawn. Results: First, the number of published empathy research papers showed an increase from 2014 and then decreased from 2018. Second, the survey on adults(23.7%) was the most. Third, personality․adaptation research(47.4%) was the most in terms of research subject. Fourth, IRI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 tool(47.4%) and quantitative research(92.0%) was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Regression analysis(44.3%)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 analysis. Lastly, in terms of research variables,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self-motivation(22.2%)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variabl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study,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s conclusions.

      • 역전이 개념에 대한 문헌 분석 및 연구 동향 분석: 상담학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오숙(Sook Oh)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19 상담교육연구 Vol.2 No.2

        역전이는 상담과정 및 상담성과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상담자의 발달과도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상담자가 역전이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상담과정에서 잘 활용할 수 있다면 내담자의 변화에 보다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상담학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에서 역전이 개념에 대한 문헌을 분석하고, 역전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문헌분석 결과 역전이 개념의 발달과정을 고전적 접근, 전체적 접근, 절충적 접근을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담과정에서 역전이 활용을 위한 주요 개념으로 투사, 투사적 동일시, 역전이 행동화, 상호생성물로서 역전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 상담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역전이와 관련된 주요 주제는 상담자 특성과 상담과정과 상담성과임을 확인하였고, 역전이 관련변인으로 애착, 상담자발달, 자기애, 우울 등의 상담자 특성과 상담과정과 상담성과가 주요 변인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역전이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Objectives: The countertransference not only affects the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outcomes, bu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counselor s development. If the counselor can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ountertransference and use it well in the counseling process, it can contribute more positively to the client s chang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on the concept of reverse transition in counseling research and analyzed the trend of reverse research. Result: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cept of countertransference is divided into the classical approach, the overall approach, and the eclectic approach. Conclusion: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published in major counseling academic journals, we confirmed that the main topics related to reverse transition were counselor characteristics,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outcomes. We confirmed that process and counseling outcomes were used as major variables.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박소연(So Yeon Park)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18 상담교육연구 Vol.1 No.2

        2004년 교육과학기술부의 Study Korea Project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과 한류열풍의 영향으로 유학생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외국인 유학생들은 자국과 다른 한국의 대학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한 상담적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52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행연구와 Baker & Siryk(1984)의 대학생활적응 모델을 토대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개념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과 대학 환경적 적응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하위개념별 요인을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요인으로는 교육(학위)과정, 거주형태, 경제수준, 성별, 연령, 체류기간 등 9개가 도출되었다. 학업적 적응에서는 언어능력, 교육 시스템, 전공, 성적 등 11개의 요인을, 사회적 적응에서는 대인관게, 문화차이, 사회적지지, 의사소통 등 7개의 요인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개인-정서적 적응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문화적응 유형,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등 30개의 요인과 대학 환경적 적응에서의 대학의 인종(차별)풍토, 물리적 시설 및 환경과 행정 시스템 및 제도 등 3개의 요인이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상담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Objective: As the world is globalized,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Study Korea Projec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04. Meanwhile, foreign students have a hard time adapting to a new and different environm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and worries and to help them. Method: To see factors affecting adjustment to colleg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y analyzing 52 researches published on domestic journals. Result: Adjustment to college is categorized into five sections. They a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has nine factors, academic adjustment which has eleven factors, social adjustment which has seven factors,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which has thirty factors, and attachment which has three factors.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some counseling programs that help foreign students adapt to a new situation and accomplish their goals in Korea.

      • 자기초점주의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현다윤(Da yoon Hyun)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3 상담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자기초점주의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CI에 등재된 논문 67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및 통계분석, 연구변인, 측정도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초점주의에 관한 연구는 2002년에 시작되어 2008년부터 매년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2016년도에 연구 수가 급증했고 이후 2022년도까지 매년 평균 6편 이상의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으로는 2편을 제외하고 모두 양적 연구였으며,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구조분석계열 방법의 빈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기초점주의는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으로서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초점주의와 함께 연구된 다양한 변인들을 8개의 범주로 나누었을 때, 정서, 대인 및 사회, 인지, 자기 및 동기 등의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원)생 외의 다양한 연령별과 직업별을 대상으로 한 연구 필요성’, ‘자기초점주의에 대한 질적연구와 혼합연구 필요성’, ‘부정적 자기초점주의 완화 및 감소 요인 연구 필요성’,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및 자기초점주의의 긍정적 측면 연구 필요성’ ‘자기초점주의 척도 다양화 필요성’ 등 향후 연구과제를 제안하였으며, 이후, 본 연구의 한계 및 의의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Self-Focused attention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this end, 67 KCI-listed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research objects and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o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is, research variables, and measurement t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Self-Focused attention began in 2002 and has been steadily conducted every year since 2008.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tudies rapidly increased in 2016, and since then, an average of more than six studies have been conducted every year until 2022. Second, the most common objects of the study wer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Third, all but two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and the frequency of structural analysis methods was the highest as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urth, Self-Focused attention was mainly stud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mediating variable. Finally, when various variables studied along with Self-Focused Attention were divided into eight categories,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emo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cognition, self and mo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future research tasks such as “the need for research on various ages and occupations other than university students,” “the need for qualitative and mixed research on Self-Focused Attention,” “the need for research on mitigating and reducing negative Self-Focused attention.” After that,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국내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동향

        이영은(Yeong Eun Lee)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2 상담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국내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직무소진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CI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 31편을 중심으로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통계분석, 측정도구, 연구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는 2009년과 2017년을 제외하고 2006년 이후 꾸준히 게재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직종, 직무에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1편을 제외하고 모두 양적연구였고, 연구주제는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통계분석은 회귀분석이 가장 많았다. 넷째, 측정도구는 MBI-GS를 신강현(2003)이 타당화한 척도가 주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연구변인은 직무소진을 종속변인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소진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향후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job burnout and to provide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job burnout focusing on major domestic counseling journal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31 papers from the journals register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from 2006 to 2021 by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statistical analysis, scales, and research variables. Results: First, the studies of job burnout were steadily published in major domestic counseling journals from 2006 to 2021, except for 2009 and 2017. Secon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job burnout studies were most studied for various workers without any restrictions on occupations. Third, the research methods were all quantitative studies except for one. The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ccounted for the majority at 83.87%, and regression analysis accounted for the most at 65% for statistical analysis. Fourth, in terms of scales, the MBI-GS(Th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validated by Shin(2003) was used in the highest frequency. Finally, for research variables, most of the studies used job burnout as an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13.79% of the studies using job burnout as a mediating variable and 6.9% of the studies using job burnout as an in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에 대한 문헌 분석

        공은선(Eun Seon Kong)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18 상담교육연구 Vol.1 No.1

        Objectives: This study is performed to analyze the previous domestic literatures for the influence of emotional-related factors on marital satisfaction. This process tri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s of further research from examining which emotion-related topics and factors being discussed about marital satisfaction. Methods: After the procedural search about literatures, to meet the criteria about baseline year and topic, the total sixteen research papers which were written 2000 to 2016 are chosen and analyzed by the research method, purpose and result. Results: the emotional-related factors in research papers were categorized into the individual internal factors and marital relation factors. Among the sixteen papers, the eleven papers deal with individual internal factors, the other five papers discuss with marital relation factors. Conclusions: In addition, the results of each research are summarized by emotional related factors and criteria above. Finally, based on these summaries, a few issues were presented regarding the effect of emotional-related factors in marital satisfac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included.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을 연구한 국내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여 연구 동향과 그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첫째로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으로 어떠한 주제와 요인들이 논의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둘째로 추후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 연구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석 기준 년도와 주제에 적합한 16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첫째로 그 내용을 연구 방법과 연구 목적, 연구 결과에 따라 전반적으로 개관하였다. 둘째로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을 개인내적 요인과 부부관계 요인으로 나누어 각각의 연구 결과들을 요약하였고, 이러한 요약을 토대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 연구에서 나타난 이슈들을 논의하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외상 후 성장에 관한 국내 동향 연구 분석 : 반추 관련 중심으로

        신정민(Jeong-min Shin)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19 상담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반추 관련 외상 후 성장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고, 개인이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인생에 큰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장애를 겪고 있는 대상자에게 상담 개입을 위한 기초 제반적 자료를 수집하고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논문 52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등록된 학회지는 한국 심리학회지에 등록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해는 2018년이었다. 발달단계별 연구 대상 분포를 보면 연구 대상별 분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학업 단계별 연구 대상 분포에서는 대학생 대상이 가장 많았다. 연구 변인별 동향을 살펴 본 결과 반추는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외상 후 성장은 종속변인으로 설정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척도별 동향을 살펴 본 결과 반추 척도는 Calhoun 등(2000)이 개발하고 신선영이 2009년에 번안한 Rumination Scale: RS 반추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외상 후 성장 척도는 Tedeschi, Calhoun(1996)이 개발한 외상 후 성장 척도(PTGI)를 송승훈이 2007년에 번안한 한국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시사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survey the South Korean studies on the post-traumatic growth related to rumination and thereby collect and provide general basic data for counseling intervention for those individuals who suffer from big post-traumatic stress and disorder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 shown in 52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tween 2006 and 2018. Results: Its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st studies were registered with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 year that had the largest number of the related studies was 2018. To focus on the developmental stage,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ies were concerned with adults, to focus on the academic level,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cerned with college students. To focus on the research variable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had rumination as a mediator variable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as a subordinate variable. The survey of the measures showed that Rumination Scale: RS adapted by Shin Seon-Yeong in 2009 from Rumination Scale: RS developed by Calhoun(2000)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research , whereas for the post-traumatic trauma scale, the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dex (K-PTGI) adapted by Song Seung-Hoon in 2007 from the Post-Traumatic Growth Index (PTGI) developed by Tedeschi and Calhoun(1996).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 국내 독서치료 연구 동향 분석 : 2015년 – 2021년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최민아(Min Ah Choi)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2 상담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국내 독서치료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독서치료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을 통해 “독서치료”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2015년-2021년까지 발표된 논문 중, KCI에 등재 혹은 등재 후보인 학술논문과 석박사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독서치료의 개념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 시기, 연구자의 소속 학문 분야,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치료 도서, 연구 방법을 기준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서치료는 심리/상담 분야의 유아동을 대상으로 한 발달적 독서치료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사회적 기술 역량 증진이나 인지행동적 태도의 변화를 함께 도모하는 과정의 정서(감정)조절을 목적으로 한 주제가 많았다. 그림책을 매개로 한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프로그램 시행 후 효과를 질적, 양적 연구가 혼합된 연구방법으로 검증한 것이 대다수였다. 추후 독서치료의 발전을 위해서 개인적,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임상적 치료에 대한 연구, 치료 대상과 치료 도서의 확대, 치료 도서 선정을 위한 타 학문과의 협력, 상담학적인 이론과의 접목을 통한 전문성 확보를 과제로 삼아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and to present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future bibliotherapy. Methods: After the papers from 2015 to 2021 were searched on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with the keyword “Bibliotherapy”, some of them were chosen which were register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journals as well as in KCI candidate journals when others are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resenting the concept and purpose of bibliotherapy, they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 period, academic field, subjects, topics, books for treatment, and methods. Results: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developmental bibliotherapy studies targeting infants/children in the field of psychology/counseling. In addition, there were many topics aimed at regulating emotion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social skill competency or changing cognitive behavioral attitudes together. There was a high interest in treatment through picture book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was verified through research methods that mix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Conclusions: For the development of bibliotherapy in the future, there need to be research on clinical treatment consideri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expansion of treatment targets and books for treatment, coope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for book selection for treatment, and securing expertise through incorporation with counseling theory.

      • 심리적 유연성에 관한 연구동향 : 2012년~2021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최은미(Eun Mi Choi)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1 상담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심리적 유연성이 국내에 학문적으로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2011년 이후를 기준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심리적 유연성’을 주제로 한국연구재단(KCI: Korea Citation Index)에 게재된 학술지와 학위논문 중 총33편을 기초로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및 연구주제, 연구변인별 동향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심리적 유연성과 관련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언하고 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연구시기별 동향을 보면 2012년 이후 점진적으로 관련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9년과 2020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은 대학생 집단(36.4%)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정신질환 유증상자(21.2%), 그리고 기타연구대상은 각기 다양한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및 연구주제별 동향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가 양적연구(94%)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주제별 흐름으로 살펴보면 변인간 연구가 다수의 비율(90.9%)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변인별 동향을 파악한 결과로는 심리적 유연성을 매개변인으로 진행한 연구가 33.3%, 독립변인으로 진행한 연구가 30.3%, 종속변인으로는 27.3%로 나타났으며, 기타 연구방법이 9.1%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끝으로 연구의 향후 제언, 한계점, 의의를 논의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analyzes the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doctoral theses in Korea under the theme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to provide directions and to suggest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For this purpose, ‘Psychological Flexibility’ was searched on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33 theses register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from 2012 and 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trends in the year of publication,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variables. Results: First, for the year of publication, the number of the articles was increasing gradually since 2012,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in both 2019 and 2020. Second, for study subjects, the university students(36.4%)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the next was persons with mental illnesses(21.2%), and others were shown to be various different groups. Third, for research methods and topics,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with quantative designs(94%), and in the trends of research topic,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ccounted most of the proportion(90.9%). Fourth, for research variables, 33.3% of the studies used psychological flexibility as mediating variables, 30.3% as an independent variables, 27.3% as dependent variables and 9.1% as other methods. Conclusion: Finally, the suggestion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학교폭력 상담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김민경(Mingyeong Kim)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2 상담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학교폭력 상담에 대한 국내연구 47편을 연도, 학술정보, 연구 대상, 학교폭력 유형, 연구방법, 연구 주제별로 분석했다. 6가지의 분석 기준에 대한 자료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2009년까지는 연구가 저조했으나, 2010년부터는 증가하였다. 학위논문이 학술지 보다 많았고, 대상을 지정한 연구에서는 가해자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학부모 대상 연구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의 유형 중 신체, 언어폭력을 다룬 연구는 많았으나, 강요와 사이버 폭력에 대한 연구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으로는 혼합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양한 통계 분석과 질적 연구가 사용되었다. 연구주제는 예방상담이 가장 많았으며 동향연구가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폭력 상담연구에 대한 특징을 정리할 수 있었고, 피해자 및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성화 돠어야 하며, 시대의 흐름으로 변화하는 학교폭력에 맞춰 사이버폭력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on school violence counseling in Korea. Methods: A total of 47 domestic studies on school violence counseling from 2000 to 2021 were analyzed by year, academ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types of school violence,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opics. To conduct data analysis on six analysis criteri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Results: Research on school violence counseling was poor until 2009, but increased from 2010. There were more dissertations for degree than papers in academic journals. Among the studies that designated the subjects, the most were the perpetrator-centered counseling studies.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tudies on parents were the lowest. In terms of the types of school violence, most studies dealt with physical violence and verbal violence, but studies on coercion and cyberbullying were confirmed to be few. Mixed methods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for research design. For statistical analysis, various methods were used such as verification of cronbach's α , analysis of covariance, etc. while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etc. were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For research topics, preventive counseling was the most common while trend research was the leas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counseling research were summariz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