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WTO 「농업협정」의 평가와 전망

        심영규(Shim Young Gyoo)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5 No.2

        Upon concluding the "Bali Package" at the WTO 9th Ministerial Conference, held in Bali of Indonesia in December 2013, this article estimates and prospects the meanings and achievements of the WTO 「Agreement on Agriculture」(AoA), particularly through the agricultural trade dispute settlement cases. Since the adoption of the AoA, the agricultural trade dispute settlement case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past GATT, in both number and ratio. Through these cases, the AoA, combined with the WTO 「Dispute Settlement Understanding」(DSU), has been estima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 more market-oriented and rule-based agricultural trade system. As representative dispute settlement cases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trade under the WTO multilateral trade system, Canada - Dairy, Chile - Price Band System, EC - Export Subsidies on Sugar, US - Upland Cotton, etc., particularly dealing with whether the domestic agricultural support policies and programs, such as the farm price support system and agricultural subsidies, are consistent with the WTO obligations, have often been talked about on the implications of WTO agricultural trade litigation through the AoA and DSU for not only domestic agricultural policies but also WTO agricultural trade negotiations. These dispute settlement cases have presented a direction in conflict resolution based on rules and regulations, established a legal standard of domestic agricultural policies based on the WTO obligations, and provided a useful guidance for agricultural negotiations based on the coordination of mutual interests. In conclusion, the AoA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pelling both internal reforms and external negotiations through diverse and rich experience of agricultural trade dispute settlement, which has resulted in the progress of market-oriented and fair trade liberal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this recognition, policy makers and negotiators should effectively use the agricultural trade dispute settlement experience as a useful normative and political tool for agricultural policy reforms as well as negotiations.

      • KCI등재

        지역무역협정(RTAs)의 확산과 지속가능한 발전 : RTAs 내 환경규정을 중심으로

        심영규(Shim Young-Gyo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연구 Vol.50 No.1

        미국 내 '서브프라임 모기지’(sub-prime mortgage) 부실 사태 여파로 촉발된 세계금융 · 경제위기를 겪은 국제사회는 자유무역주의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공정성, 형평성, 지속 가능성 등 국제통상법체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토대로 세계경제 질서의 재편과 확립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이전의 성장지상주의 및 시장개방 중심의 무조건적이고 예외없는 무역자유화의 진전과 확산은 결국 지속가능성이 결여된 성장만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인 반성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사회가 모색하고 있는 새로운 세계경제 질서의 재편 및 확립을 위한 세계경제의 통합과 자유화에 있어서는 그 어느때보다도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이 핵심적인 규범 목적과 가치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국제사회는 세계금융 · 경제위기에 대처하고 새로운 세계경제 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한편으론 FTA를 중심으로 하는 RTA를 통해, 다른 한편으론 'DDA 협상’을 중심으로 하는 WTO 다자간 무역협상을 통해 지역경제공동체의 결성과 세계경제 통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1995년 WTO체제 출범 이후 전세계적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FTA의 확산 경향에 대해서는 여러 측면에서 여전히 찬반 양론이 분분함에도 불구하고, FTA의 체결 · 확대 · 강화를 통해 진행되고 있는 지역경제공동체의 확산 내지 세계경제의 통합 현상은 20세기 후반 이래 국제무역규범체제에 있어서 하나의 대세로 자리잡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런데 근래 FTA를 중심으로 하는 다수의 RTA는 미래세대에 대한 배려, 지속성, 공정성, 형평성 등을 핵심적인 가치로 하는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자유무역주의 기조의 확산 · 정착과 지속가능한 발전 간의 조화를 위한 중요한 규범적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는 최근에 협상 · 체결되고 있는 RTA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규범적 · 정책적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규정 등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규정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등 지속가능한 발전을 기본 이념으로 하는, 소위 '환경친화적 무역-환경규범’(environment-friendly trade-environment rules)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향후 FTA 등 RTA를 통해 국제무역규범체제의 세계화 · 통일화가 더욱 빠르게 진전될 것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과 목적이 RTA 내에서 어떻게 규범화되고 있으며, 새로운 세계경제질서의 재편 · 확립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고찰 · 검토 ·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규범적 개념과 성질, 요소 등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시작으로(제2장), FTA 등 RTA 내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이 도입 · 규범화되고 있는 동향을 파악하고(제3장), 이러한 환경친화적 RTA의 확산이 국제무역규범체제에 미치는 의미와 영향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한다(제4장).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향후 FTA 및 RTA 체결을 위한 협상은 최대한 환경친화적 무역-환경 규범과 제도를 확산 · 정착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일반적 합의를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ternational society under the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triggered by sus-prime mortgage crisis in the USA is seeking the reorganization and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based on a new paradigm of international trade law system consisting of fairness, equity and sustainability in addition to existing principle of free trade. This is arguably the result of practical self-reflection that unconditional free trade with no exception which is obsessed with the notion of economic growth and market opening supremacy will finally bring about the growth lacking in sustainability. Accordingly, the legal n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currently receives the international society’s special attention, which is seeking a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after this crisis. Recently, international society, in order to not only cope with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but also establish a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has accelerated organization of regional economic community and integration of world economy through on the one hand RTA including FTA, but on the other hand multilateral trade negotiations such as the WTO 'DDA negotiations.’ Although there are still pros and cons on the question of global spread of FTA,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regional economic community and integration of world economy through the RTA has become a trend in the international trade law system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Recently negotiated and concluded FTA and RTA have increasingly incorporated the n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consisting of consideration for future generations, sustainability, fairness, equity, etc. into them. Additionally, they have not only proposed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legal and political purpose but also positively accepted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achieve its goal, and consequently they have become so-called the 'environment-friendly trade-environment rules’ based on the n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respect, it is expected that the FTA and RTA will be an important legal instrument to reconcile the principle of free trade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situation, studied, examined and analyzed how the notion and purpose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been accepted in the FTA and RTA provisions and how this situation will contribute to reorganization and establishment of a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after the current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Through this discussion, the author expects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reach a general consensus that future negotiations for FTA and RTA should be 'environment-friendly trade-environment rules’ oriented.

      • KCI등재후보

        국내 소아 뇌정맥혈전증의 임상적, 영상의학적 특징

        심영규(Youngkyu Shim),김헌민(Hunmin Kim),황희(Hee Hwang),채종희(Jong-Hee Chae),최지은(Jieun Choi),김기중(Ki Joong Kim),임병찬(Byung Chan L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5 No.4

        목적: 뇌정맥혈전증(CVT)은 소아 뇌졸중의 드문 원인이며 다양한 임상양상과 임상의의 인식 부족으로 인해 진단 지연이 흔히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3차 어린이병원에 내원한 소아 뇌정맥혈전증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방법: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자기공명영상 또는 자기공명정맥조영술로 진단된 18세 이하 소아 뇌정맥혈전증 환자의 임상양상, 혈전이 생긴 부위, 치료, 결과 등에 대한 의무기록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퇴원 시와 퇴원 후 3, 6, 12개월에 modified Rankin Scale(mRS) 을 사용하여 신경학적 예후를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 20명의 환자가 뇌정맥혈전증으로 진단되었다. 20명 중 14명은 남자 (14/20, 70%), 6명은 여자 (6/20, 30.0%) 였고 중간값 나이는 4세였다(생후 20일-17세). 가장 흔한 위험요인은 전신감염이었고(6/2, 30.0%) 12명의 환자가 첫 증상으로 두통과 구토를보였다(12/20, 60.0%). 처음 증상이 시작되고 48시간 동안 3명의 환자만이 경련을 보였으나 경과가 진행되면서 뇌영상을 찍게 되는 가장흔한 원인은 경련이었다(12/20, 60.0%). 증상 발생 후 진단 시까지 걸린 시간은 중간값으로 13일이었다(0-59일). 위시상정맥굴에 혈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뇌내출혈 (4/11, 36.4%)과 임상적 경련 (9/11,81.8%)이 흔히 연관되었으며 항 혈전제 또는 항혈소판제 치료는 16명 (16/20, 80%)의 환자에서 투여되었다. 진단 후 3개월째 추적관찰에서 14명 환자 (14/20, 70%)의 mRS 는 0 또는 1 이었고, 이는 3분의 2 이상의 환자에서 신경학적 장애가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 경련과 뇌압상승 징후가 소아 뇌정맥혈전증에서 가장 흔한 임상 양상이었으나 진단 시 나이와 기저요인들을 포함한 임상적 특징들은 다양하였다. 진단 지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에서 신경학적 예후는 양호하였다. Purpose: Cerebral venous thrombosis (CVT) is a rare cause of pediatric stroke. Our goal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CVT features among pediatric patients presenting at a tertiary referral center. Methods: Patient data was retrospectively collected from the charts of all pediatric patients (newborn to 18 years old) who were diagnosed with CV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between 2000 and 2016. Magnetic resonance imaging or venography was conducted for diagnostic confirmation. Modified Rankin Scale (mRS) was used to evaluate neurologic outcome. Results: Twenty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CVT during the study period (16 male, 4 female). Median age was 4 years. The most common risk factor was systemic infection (6/20, 30.0%). Twelve patients initially presented with headache or vomiting (12/20, 60.0%). Seizure was in only 3 patients within 48 hours of symptom onset; however, as the clinical course progressed, seizure was the symptom that most frequently led to brain imaging (12/20, 60.0%). Thrombosis in the superior sagittal sinus was frequently associated with intracranial hemorrhage (4/11, 36.4%) and clinical seizure (9/11, 81.8%). Anticoagulation and/or antiplatelet agents were used in 16 patients (16/20, 80%). At the 3-month follow-up, 14 patients (14/20, 70%) had an mRS of 0 or 1, showing that most of these patients had no neurologic impairment. Conclusion: Seizure and signs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are the most common manifestation of pediatric CVT. However, clinical features are diverse and include age at symptom onset and underlying risk factors. Despite diagnostic delay, neurologic outcome is favorable in most patients.

      • KCI등재

        국제법 상 소비자보호와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고찰

        심영규(Shim, Young-Gyoo)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東亞法學 Vol.- No.62

        근래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SD) 관념이 통상, 환경, 인권, 국제개발·협력 등 다양한 국제법 분야에서 새로운 국제법질서의 형성을 위한 주요 규범적 토대로 자리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에서는 지속가능한 개발 관점에서 소비자이익의 보호 문제가 진지하게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특히, 소비자들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지속가능한 구매ㆍ소비행태를 통해 상품·서비스의 지속가능한 생산과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개발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비해 국제법 상 소비자보호에 관한 문제는 다소 간과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도 소비자이익, 특히 물, 음식, 의약품 등과 같이 생존에 필수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공정하고 공평한 접근 및 소비의 보장을 내용으로 하는 ‘기본적 이익’과 건전하고 쾌적한 생태적·사회적 환경에서의 소비의 보장을 내용으로 하는 ‘사회적 이익’을 국제법적으로 보장하고 실현하는 문제를 적극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그런 점에서 국제법, 특히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 이하 “WTO”라 함)협정을 중심으로 한 국제통상법은 시장개방을 통한 무역자유화의 달성을 가장 핵심적인 목적으로 천명하고 있어 소비자이익의 보호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측면에서 소비자이익을 보호하는데 미흡하다는 사실은 다소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통상법, 특히 WTO협정이 다양한 소비자이익을 충실히 보호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국제법적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기초로 현행 WTO협정을 소비자이익의 보호 및 지속가능한 개발 지향적으로 해석·적용하거나 운영하기 위한 규범적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이상과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개발 관점에서 소비자이익의 보호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국제법, 특히 WTO법체제가 소비자이익을 어떠한 방식으로 보호할 수 있는지, 지속가능한 개발 지향적인 관점에서 소비자이익의 보호를 증진하기 위해 분야별 WTO협정이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운영되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국제법 상 소비자보호와 지속가능한 개발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소비자보호 및 지속가능한 개발 증진을 위한 WTO법체제의 바람직한 변화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Although the protection of consumer interests, particularly consumers’ fundamental and social interests, can contribute the so called “sustainable development” because the adequate protection of consumer interests will result in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pattern which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issue of protection of consumer interests in international law has been overlooked. Therefore, the issue of protection of consumer interests in international law should be noted form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In that sense, it is somewhat inconvenient that international law, particularly 「World Trade Organization Agreement」 (hereinafter referred as the “WTO Agreement” is insufficient to deal with the consumer protection issue, because the 「WTO Agreement」 declares ‘sustainable development’ as well ‘trade liberalization through market opening’ as its normative objectives and directly deals with the issue of protection of consumer interests in various aspects. Accordingly, the author thinks it is necessary to aggressively pursue ‘consumer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riented’ interpretation, application and operation of the 「WTO Agreement」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WTO Agreement」 can be a very useful international legal instrument for the protection of various consumer interests. Based on the above perception, this paper considers how the 「WTO Agreement」 can protect consumer interests and how its interpretation, application and operation should be improved for more sufficient protection of consumer interests from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 KCI등재

        주한 미군 반환기지 환경오염 책임 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沈英揆(Young-Gyoo Shim) 대한국제법학회 2008 國際法學會論叢 Vol.53 No.2

        근래 주한 미군기지의 반환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한-미 양국간 환경협상 과정에서 미국측은 기본적으로 「한-미 SOFA」 본협정문 제4조 제1항의 원상회복 의무 면제 규정을 근거로 반환 미군기지의 환경오염에 대해 정화ㆍ치유의 책임을 인정할 수 없음은 물론 그 비용도 부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또한 미국측은 「환경양해각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인간건강에 대한 공지의 급박하고 실질적인 위험”(Known, Imminent & Substantial Endangerment to human health: KISE)을 초래하는 오염에 대해서만 정화ㆍ치유책임을 지며, 자국측 전문가의 판단에 따르면 현재 그에 해당하는 오염이 없으므로 결국 미국측이 법적으로 부담해야 할 별도의 정화ㆍ치유책임 및 비용부담 의무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측은 「한-미 SOFA」 본협정문 제4조 제1항 규정이 주한 미군기지의 환경오염 문제에 대해서 미국측의 책임을 포괄적으로 면제하는 것은 아니며, 「한-미 SOFA 합의의사록」이 규정하고 있는 “대한민국 정부의 관련 환경법령 및 기준을 존중한다”는 정신과 (국제)환경법상 ‘오염원인자 부담 원칙’ 등에 입각하여 한국의 관련 국내 환경법령과 기준에 따라 미국이 정화ㆍ치유의 책임과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미 SOFA」 및 관련 부속합의서의 국제법적 성격 및 조약규정으로서 환경규정에 대한 해석규칙, 현행 환경규정 체제, 주한 미군기지 환경오염 책임 문제에 적용가능한 국제법규칙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ㆍ분석한 결과 한국 영토의 환경 파괴나 침해를 가져오는 주한 미군의 어떠한 행위나 활동에 대해서까지도 미국측의 책임이 무조건적이고 전면적으로 면제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현행 「한-미 SOFA」 및 관련 부속합의서 어디에도 한국의 영토 내 미군기지의 환경문제에 대하여 한국이 영토주권에 기한 입법ㆍ행정관할권의 행사를 포기한다거나 미국측의 환경오염 책임을 면제 한다고 명시적으로 선언하고 있는 규정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한-미 SOFA」 및 관련 부속합의서 환경규정 체제의 기본 목적과 취지, 문맥의 전체적인 맥락 등에 비추어 환경오염 책임이 포괄적으로 면제되고 있다는 충분한 증거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환경오염의 정화ㆍ치유의 기준으로 「환경양해각서」가 제시하고 있는 “인간건강에 대한 공지의 급박하고 실질적인 위험”(KISE)의 구체적인 내용과 범위를 미국측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미국측의 자의적이고 재량적이며 일방적인 판단에 따라 결정하는 것은 국제법상 근거가 없다고 생각된다. 조약은 주권국가간의 합의로서 조약규정의 해석은 조약당사국에 의해 수락된 국제법규칙에 입각하여 행해져야 하는 국제법적 문제이므로 어느 일방 당사국의 일방적인 판단에 따라 조약규정의 내용이 해석ㆍ확정ㆍ적용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측의 일방적이고 자의적인 기준과 판단이 아닌, 한-미 양국간 협의와 합의에 따라 정화ㆍ치유의 대상ㆍ수준ㆍ범위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recent Korea-U.S. environmental negotiations for return of facilities and areas of the U.S. armed forces in Korea, the U.S. has consistently insisted that she has no responsibility to undertake to remedy contamination caused by her armed forces on the ground that Article 4, Paragraph 1 of 「Korea-U.S. SOFA」 provides that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is not obliged, when it returns facilities and areas t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to restore the facilities and areas to the condition in which they were at the time they became available to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or to compensate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lieu of such restoration.” In addition, the U.S. denies legal obligation to take special remedial action asserting that there exists no “Known, Imminent & Substantial Endangerment to human health”(KISE), an essential precondition for responsibility to take remedial action, stipulated in 「Memorandum of Special Understanding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has argued not only that the Article 4, Paragraph 1 of 「Korea-U.S. SOFA」 does not exempt all kinds of U.S. responsibility including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but also that the U.S., under the provision of “… respect relevant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environmental laws, regulations, and standards” in newly revised 「Korea-U.S. SOFA Agreed Minutes」 and the ‘Polluter-Pays Principle’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should be obliged to undertake to remedy contamination of the facilities and areas being return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egal character of 「Korea-U.S. SOFA」 and the annexed agreements, interpretation rule of their environmental provisions and international rules applicable to the issues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of the U.S. armed forces in Korea, it is evident that the U.S. government should be obliged to remedy contamination of the facilities and areas being returned. Additionally, the exact and detailed meaning, contents, degree and scope of “Known, Imminent & Substantial Endangerment to human health”(KISE) provided in 「Memorandum of Special Understanding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should be decided and determined by mutual consultation and agreement based on treaty law regarding treaty interpretation as well as general rule of international law because interpretation of treaty provisions is an international legal issue.

      • KCI등재

        환경상품의 무역자유화와 환경 · 개발 이익의 조화

        심영규(Shim, Younggyoo)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4 국제경제법연구 Vol.12 No.2

        근래 환경상품의 무역자유화가 새로운 통상의제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이들 상품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을 제거하여 시장접근을 개선함으로써 무역이익을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및 개도국 경제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는 등 이른바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WTO는 지난 2001년 DDA를 통해 환경상품의 무역자유화 문제를 ‘환경-무역 연계’ 분야에 있어서 주요 협상의제로 채택하였다. 그러나 이후 환경상품의 정의 및 범위의 설정, 무역자유화의 대상이 되는 환경상품의 개별적인 선정 등에 있어서 회원국?회원국그룹 간 이해관계의 대립 등으로 인해 WTO 내에서의 논의 및 협상은 다소 지지부진한 상태였으며, OECD나 APEC 등을 통해 주로 개별적인 환경상품의 리스트를 개발?작성하는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APEC, ‘다보스 공동선언’ 등을 통해 무역자유화의 대상이 되는 환경상품이 구체적으로 선정되고 있고, 비록 비구속적인 합의이긴 하지만 이에 관한 실질적인 관세감축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역자유화 의무의 수립을 위한 복수국 간 협정체결에 관한 국제사회의 움직임도 구체화 되면서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환경상품의 무역자유화에 관한 문제는 단순히 무역이익의 확대만을 목표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과 개발 이익도 동시에 추구하는, 소위 “win-win-win” 정책목적 달성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어 그만큼 관련 논의가 복잡하고 합의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 지금까지 WTO 논의과정에서, 특히 개도국들이 환경상품의 무역자유화가 주로 몇몇 선진국 중심의 무역이익 확대에만 초점을 맞추어 논의되고 추진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불신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는 사실은 이를 잘 방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환경상품의 무역자유화에 관한 문제는 해당 상품의 시장개방에 따른 무역이익의 확대뿐만 아니라, 환경?개발 목적의 균형있는 달성이라고 하는 “win-win-win” 정책목적이 적극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으로 바탕으로, 본 논문은 그동안 WTO 내?외에서 환경상품의 무역자유화에 관하여 논의?제시되어 온 주요 제안 내용을 고찰 및 재검토 하고, 이를 통해 향후 환경상품의 무역자유화 협상에 있어서 무역-환경-개발의 “win-win-win” 정책 목적의 균형있는 달성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몇 가지 규범적 요소를 간략히 정리?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환경상품의 무역자유화가 무역-환경-개발 이익의 조화를 위한 규범적 수단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협상 방안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reason that the trade liberalization of environmental goods is becoming a new trade issue is that the elimination of tariff and non-tariff trade barriers on these goods can not only increase trade profits but also contribute to the interests of environment and development. Accordingly, the WTO adopted the trade liberalization of environmental goods as a main agenda of the “trade-environment linkage” issues since DDA in 2001. However, the WTO has shown slow progress in defining and selecting environmental goods and their boundaries due to clashes of differences in member countries’ interests while discussions in the OECD or APEC have been headed towards developing and formulating individual lists of environmental goods. More recently, the APEC and ‘Davos Joint Statement’ listed the environmental goods that are subjected to substantial reduction of tariff. As the discussions and negotiations on the trade liberalization of environmental goods become more detailed, it is expected that some specific obligations such as tariff reduction will be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resulting in the necessity of Korea to prepare for the issue. The discussions and negotiations on the issue is difficult as well as intricate because the ultimate objective of trade liberalization of environmental goods is accomplishing the so-called “win-win-win” policy goal, calling for a balance among trade,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interests. Nevertheless, the discussions held by the WTO until now have allegedly been focused on the trade or economic profits for some developed countries, provoking the developing countries’ resistance. Therefore, the author claims there is a necessity to consider which factors should be more reflected in future discussions and negotiations in order to secure a balance among trade,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interests. Based on this knowledge, this paper reexamined the details of negotiations suggested and discussed concerning the trade liberalization of environmental goods within and outside of the WTO,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a few normative factors that should be more considered to obtain the balanced “win-win-win” policy goal of trade, environment, and development.

      • KCI등재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국제규범체계에 관한 고찰

        심영규(Young-Gyoo Shim) 한국해사법학회 2018 해사법연구 Vol.30 No.2

        As of late, globalization has been affecting the legal system concern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relevant legal system has been seeking various regulatory strategies. Due to the limits of World Health Organization(WHO)’s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IHR) on systematic response and effective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other relevant international norms, such as international trade law,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have simultaneously worked on the common agenda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nfection diseases. In this regard, the article begins by reviewing the sources of international law regard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Chapter Ⅱ ); then reviews key provisions of the 「 IHR 2005 」 and Constitution of the WHO, which are general treaties in regulation against infectious diseases (Chapter Ⅲ ), then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 IHR 2005 」 and the other relevant international norms, WTO Agreements ( Ⅴ ) in particular, and in conclusion, analyzes and suggests a rule-harmonized approach for the mutual balance and complement between the 「 IHR 2005 」 and other relevant international laws. The 「 IHR 2005 」 , a principal international health law per se, is not a complete legal system, though it is highly regarded as an innovative approach sharply distinguished from past classical/conventional international health regime. Accordingly, it undoubtedly need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 IHR 2005 」 and other relevant international laws in order to increase 「 IHR 2005 」 ’s legal completeness and synergism between the two. In this respect, it should be noted that new notion of human security has recently emerged, extending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notion of security and emphasizing protection of individuals, such as from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rather than State itself. Consequently, in the author’s opinion, the introduction of the notion of human security with an important global health security component will be a legally necessary approach to not only compensate the defect but also increase the legal completeness of the 「 IHR 2005 」 . In addition, such approach will be a legally effective method to secure a legal basis for cooperation and collective respons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conclusion, with regards to the issues of infectious diseases’ international spread and their prevention and management, the 「 IHR 2005 」 and other relevant international laws sh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based on the notion of global health security, an approach that can partly contribute to refining 「 IHR 2005 」 ’s imperfections. Furthermore, this approach will be compatible with the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principles of the 「 IHR 2005 」 , as well as with the ‘primacy of the obligations under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오늘날 세계화의 진전은 감염병의 예방ㆍ관리에 관한 국제규범체계에 대해서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관련 국제규범 역시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초국경적 성격의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문제는 세계보건기구 (WHO)의 「국제보건규칙」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IHR) 뿐만 아니라 WTO 협정체제를 중심으로 하는 국제통상법을 비롯하여, 기타 국제인권법, 다자간환경협약 (MEAs) 등 다양한 영역의 국제법에서 주요 공통의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WHO와 「국제보건규칙」(IHR) 만으로는 여전히 감염병의 예방ㆍ관리에 관한 체계적 대응과 효과적인 국제공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할 것이다 . 이런 상황에서 본 논문은 감염병의 예방ㆍ관리에 관한 일반조약인 「국제보건규칙」(IHR)을 중심으로 그와 밀접한 연관 관계에 있는 여타 국제협정들, 특히 WTO 협정체제와의 상호관계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감염병의 예방ㆍ관리 및 감시ㆍ감독에 관한 국제규범체계의 복합성과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관련 국제규범 상호간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한 ‘규범조화적 ’(rule-harmonized) 접근방식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현재 감염병의 예방ㆍ관리 문제를 직접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국제실정법규는「2005년 국제보건규칙」(IHR 2005)이며, 그밖에도 감염병의 예방ㆍ관리를 위한 WHO의 입법권능을 명시하고 있는「WHO 헌장」 역시 주요 국제실정법규 중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IHR 2005」는 이전 버전인 「IHR 1969」와 비교하여 여러 면에서 차별적이고 혁신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R 2005」는 여전히 규범적으로 본질적인 한계를 내포하고 있으며, 현실적인 적용 측면에서도 여러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는 등 완성된 규범체계라고 할 수 없어 향후 정비ㆍ개선을 통한 보완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현재 미완성 규범체계로 머물러 있는 「IHR 2005」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향후 「IHR 2005」 자체에 대한 지속적인 정비ㆍ개선뿐만 아니라 여타 관련 국제법 분야와의 상호 조화와 보완 을 통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국제규범체계의 완성도를 높이고 관련 국제협정들 상호간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고 할 것이다. 「IHR 2005」와 여타 관련 국제협정들과의 관계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런 점에서 국제법상 국가 자체의 안보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안보 관념을 확장하여 근래 개별 인간에 중심을 둔, 새로운 인간안보 (human security) 관념의 등장과 발전은 주목할 만 하다고 할 것이다. 감염병의 발생ㆍ확산은 이제 더 이상 일정 영역 내 국가적ㆍ지역적 차원의 단순한 보건 이슈가 아닌, 경우에 따라서는 국제평화와 안전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오늘날 감염병의 발생ㆍ확산이 국제법상 국제평화와 안전에 대한 위협을 구성한다는 관념은 감염병의 예방ㆍ관리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 「IHR 2005」와 WTO 협정체제 등 여타 관련 국제협정들을 글로벌 보건안보 관점에서 서로 조화롭고 통합적으로 해석ㆍ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IHR 2005」와 여타 관련 국제협정들 간의 충둘ㆍ갈등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IHR 2005」의 불완전성을 어느 정도 보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규범조화적 ’(rule-harmonized) 접근방식은「IHR 2005」를 이행함에 있어서 「UN 헌장」과 「WHO헌장」을 따라야 한다는 원칙, 「IHR 2005」와 기타 관련 국제협정은 상호 합치되게 (양립되게: compatible) 해석되어야 한다는 원칙, 「UN 헌장」상 의무 우선의 원칙에도 모두 부합하는 합리적인 접근방식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WTO 다자간 무역규범체제에서의 환경보호의 규범적 실효성

        심영규(Shim, Younggyoo)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5 국제경제법연구 Vol.13 No.2

        GATT를 확대 계승한 WTO는 무역자유화를 본질적인 이념으로 하는 다자간 무역협정체제임에도 불구하고 회원국들의 환경보호 무역제한 조치와 관련하여 다수의 규범을 창설하였다. 또한 WTO 분쟁해결기구는 환경관련 무역분쟁 사건에 관한 분쟁해결 사례를 통해 국제환경법과 규칙의 발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온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WTO 분쟁해결기구가 회원국들의 환경보호 무역제한 조치에 관한 분쟁사건들에 있어서 다수의 의미있는 판결을 내림으로써 무역과 환경에 대한 국제규범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온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환경보호 문제에 관해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는 국제사회의 인식과 관심을 반영하여, 무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조치에 관한 분쟁사건들이 WTO 출범과 함께 새로 창설된 분쟁해결기구에 더욱 많이 제기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자간 무역협정체제인 WTO를 통해 무역자유화와 환경보호 목적 간의 조화로운 균형을 달성하는 것은 여전히 난제로 남아있다. GATT 제20조 규정의 경우 환경보호 무역제한 조치에 관하여 예외적인 형태로만 규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WTO 여타부속 협정들 역시 환경보호 목적의 무역제한 조치에 대해서 적용되어야 할 최소한의 기준과 범위를 직접적으로 명시하거나 특정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GATT와 마찬가지로 WTO 또한 여전히 무역자유화를 본질적인 이념이자 목적으로 하는 다자간 무역규범제제로서 무역과 환경의 연계 및 조화, 무역규범과 환경규범의 관계 등 WTO 내에서 다루기 쉽지 않은 과제들이 다수 존재한다는 사실도 문제의 해결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로 WTO에 근거해서 취해진 무역자유화 또는 무역증대 조치가 환경에 심각하거나 유해한 결과를 야기한다 하더라도 그 자체로는 어떠한 WTO 규정에도 위반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다만 그러한 경우 예컨대, GATT 제20조는 일정한 상황과 요건 하에서 수입 회원국이 특정 상품의 수입을 차별적으로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GATT의 일반적 의무인 비차별의무나 수량제한조치의 일반적 철폐의무에 대한 예외로서 환경보호 문제를 고려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무역과 환경에 관한 다양한 분쟁사건들이 특히 GATT 제20조 규정을 중심으로 제기되었으며, 많은 분석과 연구가 이에 집중된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WTO를 통한 환경보호 논의와 시도가 얼마나 실효적이었는지, 더 나아가 무역과 환경의 연계 문제가 어떻게 조화롭고 균형있게 정립될 수 있는지를 가늠해보는데 있어서 GATT 제20조 규정을 둘러싸고 환경보호 무역제한 조치들에 관하여 회원국 간 발생한 분쟁사건들에 대한 분쟁해결기구의 개별적인 접근방식이 지금까지 어떻게 전개·발전되어 왔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매우 유용한 작업이 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무역과 환경의 연계, WTO와 다자간환경협약 무역분쟁 해결사례들을 통해 GATT 패널과 WTO 분쟁해결기구가 보여주었던 접근방식과 태도를 중심으로 WTO를 통한 환경보호의 규범적 실효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이에 대해서는 환경보호에 관한 모든 판결과 규정을 망라하여 고찰할 수 없으므로, 특히 GATT 제20조 일반예외 규정 상 환경보호 예외와 관련하여 제기되었던 대표적인 분쟁사건 해결사례를 중심으로 WTO와 같은 다자간 무역규범체제가 지금까지 환경보호 문제의 해결을 위한 규범적 시도와 노력을 어떻게 해왔으며, 앞으로도 환경보호의 실효성을 어떻게 담보할 수 있을지를 평가 및 전망해보았다. WTO, a multilateral trading system whose essential principle is trade liberalization, created some legal norms concerning the member countries" trade restriction measur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dditionally, WTO DSB, through the settlement cases of environment-related trade disputes, has been estimated to exercise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s and rules. In particular, it has been recognized that WTO DSB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norms regarding the relationship and interlinkage between trade and the environment because it has adjudicated several significant disputes of trade restriction measur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This might be a result of the increase of environment-related trade disputes submitted to the newly established WTO DSB, which has been reflected by a continuously increasing awareness and interes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the achievement of a harmonious balance between trade liberaliz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remains a serious challenge to the WTO multilateral trading system. The reason is that not only does GATT Article 20 provide, merely as a general exception, trade restriction measur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but also WTO Agreements do not include an explicit standard or scope that is directly applicable to the trade restriction measur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ccordingly, although a trade liberalization or enlargement measure under the WTO Agreements causes serious harm to the environment, it would not be a violation of any provision in itself. Consequently, various environment-related trade disputes have been instituted focusing mainly on GATT Article 20 General Exceptions, which has naturally resulted in the concentrated study on and analysis of Article 20 regarding the environment-related trade disputes. In this context, it should be useful to consider how the WTO DSB"s approach has developed on the environment-related trade disputes focusing on GATT Article 20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WTO multilateral trading system.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research paper, particularly through the environment-related trade dispute settlement cases of WTO DSB, reviewed the normativ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WTO multilateral trading system, followed by a prospect as well as as estimation of the WTO"s normative attempt and efforts to tackle the issu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 KCI등재

        지속가능한 하구관리법체제 수립에 관한 연구 -하구관리체제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심영규 ( Young Gyoo Shim ) 한국법정책학회 2011 법과 정책연구 Vol.11 No.4

        하천의 담수(淡水)와 바다의 해수(海水)가 만나 혼합되는 육해(陸海) 전이수역(轉移水域)으로서 하나의 통합적 환경단위를 구성하고 있는 하구(河口, estuary)는 그 복합적인 물리적·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독특하고 다양한 생물서식지를 제공하는 등 환경적·생태적 가치뿐만 아니라 매력적인 경제활동 및 주거의 장으로서 경제적·문화적·사회적 가치도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구가 갖는 다양한 가치와 역할에도 불구하고 금강, 낙동강, 영산강 등 우리나라 주요 하구환경은 지속적으로 파괴·훼손되어 왔으며, 기존의 이용·개발중심의 하구정책을 통해 여전히 개발압력이 점증하고 있다.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하구관리 선진국들은 일찍이 이러한 하구가 갖는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무분별한 이용·개발압력에 대응하여 하구관리와 관련된 통합법률을 제정·시행하거나 통합적인 하구관리프로그램을 수립·운영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구환경의 체계적인 보전·관리·이용 및 복원을 위한 정책과 전략을 채택·시행해오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하구환경의 관리와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법률이 약 60여 개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그 어느 것도 하구를 하나의 독자적인 환경단위이자 통합적인관리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구환경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든 요소가 밀접한 생태적 관련성을 가지는 하구환경 전체의 고유한 기능과 특성을 반영한 별도의 통합법제도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이 특히 하구 주변의 연안에서 가시화되고 있으며, 현정부 하에서 추진되고 있는 4대강 사업 등으로 인해 하구환경의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므로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하구관리체제의 구축이 시급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하구를 하나의 독자적인 환경단위로 설정하여 하구환경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통합법제 수립에 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여건과 환경에 부합하는, 지속가능한 하구관리체제의 구축을 위한 근거법률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제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① 하구의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에 관한 국가의 중요 정책의 조정과 관계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 하구의 보전 및 관리 업무의 통합·조정을 목적으로 하여야 한다. ② 통합관리원칙에 따라 각각의 개별 하구를 하나의 독자적인 환경단위로서 보전·관리하여야 한다. ③ 하구관리 정책과 프로그램을 통합·조정하기 위한 별도의 기관으로서 국가·지방 하구관리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④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하구관리정책의 시행을 위해 국가·지역하구보호구역을 지정·관리하여야 한다. ⑤ 개선·복원대상 하구의 선정과 필요한 개선·복원 대책 및 계획의 수립과 시행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⑥ 하구활동의 실효적 실행을 뒷받침하기 위한 적절한 재정적 지원방안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은 내용의 입법을 통해 관련 부처간 하구환경 관리정책의 연계를 강화하고 상호간의 정책목적 달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하구관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하구관리체제가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In spite of diverse values and roles in the environmental as well as economic aspects, existing legal system for the estuary management of Korea has had many problems as follows:absence of definition and geographic boundary of estuary; lack of integration of terrestrial and aquatic ecosystems in the respective estuary; inadequacy of the management system for complex issues between environmental qua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absence of estua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and stake-holders to solve the respective pending issues of relevant regions; absence of integrative estuary management program, etc. Furthermore, there is no legal system which considers all the closely connected ecological factors consisting an estuarine environment. A few developed countries in the estuary management system, such as the U.S., England, Canada and Australia, having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stuaries, have not only enacted and enforced independent laws regarding estuary management but also established and operated integrative estuary management programs for the systematic conservation, management, use and restoration of estuaries, coping with indiscriminate use and development pressures. In comparison with these countries, among approximate 60 law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estuary management in Korea, there is not yet a law including independent provisions concerning the systematic conservation, management, use and restoration policies and strategies of estuary, which reflects the uniqu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stuarine environment and ecology. Accordingly, there have been increasing social concerns and need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and legislation to handle the complex issues of estuary more systematically as well as effectively by an organic ecological unit of an estuary. Additionally, it has been a pending problem to establish a systematic and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ystem because a considerable change of estuarine environment is expected according to its vulnerability to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4 Great River Projects`` being in progress by the present Korean Government. From this study, the author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legal system for the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corresponding to the Korean condition and situ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ollowing directions : ① The new legal system should be aimed at coordinating and integrating the major policies of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lating to the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stuaries. ② Individual estuary, as an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unit, should be conserved and manag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ntegrated management. ③ National and local estuary management committees should be organized for the purpose of coordinating and performing the estuary management policies and programs. ④ National and local sanctuaries should be designated and managed for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enforcement of estuary management policies and programs. ⑤ A legal basis for not only designation of target estuary for improvement and restoration but also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the necessary programs and plans should be suggested. ⑥ An appropriate financial support device which can substantially support the effective enforcement of estuary activities should be sec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