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고등학교와 대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선미숙 ( Mi Suk Sun ),정제영 ( Jae Young Chu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4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고등학교와 대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교육이 교육 수요자들이 기대하는 만큼의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사교육 경험과 함께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개인적 노력 변수로 설정하여, 이러한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고등학교와 대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자료의 2009년(12차) 개인용 자료와 2008년(11차) 교육용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 및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고등학생 시기의 혼자 공부하는 시간과 사교육 경험으로 나타났다.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길고, 사교육 경험이 잇는 경우 고등학교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고등학생 시기의 혼자 공부하는 시간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사교육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양과 사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대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가장 높은 평균 수준을 보여주는 집단은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면서 사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늘어나면 학업성취 수준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길수록 교육적 성취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사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스스로 학습하는 결과를 바탕으로 상급학교에 진학할 수 있도록 입학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며, 단순하게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양을 늘리는 것보다는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필요가 있고, 이러한 학습경험을 상급학교 진학의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and hours of self-study during high school year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high school years, college years. Using 12th KLIP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regression analysis,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The statistics programs used arc SPSS 20.0.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and hours of self-study during high school years can be summarized as fol1owing. First, Both of private tutoring and hours of self-study had effect on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But, hours of self-study had a larger effect on the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than private tutoring. Second, Private tutoring don`t give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Only hours of self-study gives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llege. Third, When the group difference was examined between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amount of self studying time, the result showed that interactive effect of private tutoring and self studying time was not significant in academic achievement. only self studying hours made meaningful difference. This result shows that academic achievement is affected by how much time was on spent self studying, not whether students had previous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As a result, private tutoring don`t give more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hours of sell-study gives more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employment than private tutoring.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수준 요인 분석

        정제영(鄭濟永),선미숙(宣美淑),정민지(鄭民智)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 차원의 요인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의 학생변동사항 중 일시적으로 해당 대학을 떠났다가 일정기간 후 학업을 지속하는 학업지속의 의지가 담긴 휴학과 전출을 제외하고, 제적과 자퇴를 중도탈락으로 정의하였다.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에듀데이터 서비스 시스템(EDSS : Edu Data Service System)’을 통해 대학알리미 원시자료를 요청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대학알리미에서 ‘대학’으로 분류된 학교 가운데 186개 대학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대학 평판도 및 교육·연구 활동, 대학 재정·교육비, 교육 여건 변인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입학전형 최종 등록률과 정원내 신입생 경쟁률이 높을수록 대학생 중도탈락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정 및 교육비 측면에서 살펴보면 학생 1인당 교육비가 높은 것은 학생의 중도탈락률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의 교육 여건과 관련하여 기숙사 수용률은 대학생 중도탈락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가 많을수록 중도탈락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stitutional factors affecting on college dropout rates. Among many types of college dropout, this study excludes stop-out and transfer. This study used data drawn primarily from the EDSS (Edu-Data Service System) of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analyzed influence of institutional factors on college dropout rates using collected data from 186 four-year universiti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is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nal enrollment rate and competition rate of applicant had positive influences on college dropout rates. Second, the educational cost per student is the financial factor that influence to reduce college dropout rates. Third, accommodation rate of dormitor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dropout rates, while faculty-student ratio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ollege dropout rates.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on this topic are suggested.

      • KCI등재

        교육자원 투입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성취 효과에 대한 메타적 접근 - 교사변인을 중심으로 -

        이희숙,정제영,선미숙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4

        This study synthesized previous research –86 studies and 846 cases from the studies-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inpu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teacher variable suing vote counting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 variables have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chievement. Secondly, type 1(instruction activity), type 4(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type 5(achievement pressure) are positively effective in terms of students’ achievement. Thirdly, in terms of research features, in the studies after 2010, higher grades, and subjects like Language Arts and English teacher variables have more effects than studies before 2009, lower grades and math subject respectively. Finally, type 1(instruction activity) and type 4(teacher-student relationship) are more effective at the secondary level rather than elementary level. Therefore, the policy efforts on improvement of school education focusing on social support of teacher on studen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s. 이 연구는 교육자원 투입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성취 효과에 대한 메타적 접근으로 교사변인의 학업성취 효과에 대해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연구물 86편에서 추출된 교사변인의 학업성취 효과 전체 846건을 대상으로 투표식 방법에 의한 문헌 종합법을 적용하여 종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사변인은 전반적으로 학생의 학업성취에 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변인 중 유형 1(수업활동), 유형 4(교사-학생 관계), 유형 5(성취압력)의 효과가 긍정적이었다. 셋째, 연구특성에 따라서는 2009년까지 연구에 비해 2010년 이후의 연구에서, 학교급별로는 고등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순으로, 교과별로는 국어, 영어과목에서 교사의 영향력이 높았다. 끝으로 중등으로 갈수록 초등에서 보다 학생이 인지하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이나 교사의 지원 및 지지 등이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변인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특히 교사의 학생에 대한 지지, 지원 등이 효과적이므로 이들 변인들을 중심으로 학교교육에 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학부모 요구도 분석

        정제영,김성기,선미숙,남예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basic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This study analyzed parents’ perception of the governmental field-based master pla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This policy evaluation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develop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A survey was conducted in June 2016 using an online survey system. The main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evaluate specific tasks in school violence policy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ool, we demonstrated the prioritie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In conclusion, the campaigns “Reinforce education for respect for life,” “Strengthening personality education centered on experience through revitalization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facilities for visitor control,” and “Stricter management of harmful environments” need to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 KCI등재

        중학생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제영(Chung, Jae Young),선미숙(Sun, Misuk),장선희(Jang, Seon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연구원의「경기교육종단연구(GEPS)」3차년도 중학교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비행 발생 가능성 및 비행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학생의 비행을 일탈비행, 범법비행, 다중비행으로 구분하고, 먼저 각 비행유형별로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비행 발생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각 비행유형별로 비행 경험이 있는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비행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탈비행, 범법비행, 다중비행 모두 남학생일수록, 학생의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 내에서의 인권 침해 경험이 많을수록 비행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일탈비행 및 다중비행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공통요인은 학생의 높은 학업성취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행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일탈비행, 범법비행, 다중비행의 발생 빈도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은 부모의 이혼인 것으로 나타났고, 일탈비행과 다중비행의 경우에는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범법비행과 다중비행의 경우에는 가구 총 교육비가 높을수록 비행 발생 빈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비행발생 가능성과 비행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비행의 발생을 사전에 막는 예방 조치와 비행 학생에 대한 사후 교육지원 정책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일탈비행과 범법비행, 다중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또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비행유형별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the occurrence and frequency of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3rd GEPS. The occurrence and frequency of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deviation misdemeanors, law-breaking delinquency and multiple delinquencie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type in order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the occurrence of delinquency. Only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each type of delinquency were subject t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depression and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t scho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ccurrence of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a common factor tha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delinquency. Second, parental divor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requency of delinquency. The frequency of deviation misdemeanors and the occurrence of multiple delinquenci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위기 대학의 특성 및 추이 분석 : 중도탈락률을 중심으로

        정제영(Chung Jae Young),선미숙(Sun, Mi Suk),김현주(Kim, Hyun Ju)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간 위기 대학의 교육여건, 교육의 질, 교육성과가 다른 대학들에 비해 어떠한 특성을 보이며 그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위기 대학의 특성 및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위기 대학은 중도탈락률을 기준으로 A, B, C 세 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 으며, 중도탈락률이 높은 순으로 정렬했을 때 상위 25% 이내에 속하는 C등급 대학을 위기 대학으로 정의하였다. 국·공립대학 및 사립대학을 포함한 전체 대학과 사립대학만을 분리하여 각각의 추이를 분 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정원내 신입생 경쟁률,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전임교원 1인당 논문실 적,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와 같이 학교평판도 및 교육여건과 관련된 긍정적 측면의 지표에 서 C등급 대학이 A등급과 B등급 대학에 비해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립대학의 경우, A등급 대학이 C등급 대학에 비해 정부의 재정지원사업 수혜액 이 약 10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년간의 증가액 역시 A등급, B등급, C등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중도탈락률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대학과 사립대 학 모두 대학소재지가 비수도권일수록, 전임교원확보율이 낮을수록, 전임교원 1인당 논문실적 이 낮을수록,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될수록 중도탈락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위기 대학이 악순환의 구조에 빠져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학 구조개혁 평가와 정부재정지원사업이 정책 목표와 다르게 위기 대학의 악순환을 심화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기 대학이 처해 있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정부의 재정지원 수혜를 통해 모든 대학이 대학별 특성을 살려 교육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 도록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risis universities in terms of educational qualities, quality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of crisis universities over the past three years. Crisis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A, B, and C based on the dropout rate. Crisis universities belonging to the top 25 percent were ranked as crisis univers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ational,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separately, the positive aspects associated with educational conditions, school reputation such as freshmen competition rate, number of freshmen, the achivement of thesis per full teacher, C grade colleges are consistently lower than grade A and B in three-year perio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ies that negative affect the dropout rate were university location is non-metropolitan area, lower rate of full time teacher, lower achievement of theses per full teacher, to be selected as a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restriction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risis university is in the vicious cycle structur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nd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can be a factor to deepen the vicious circle of crisis university differently from the policy goal. Efforts should be made to build a virtuous circle structure so that all universities can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to strengthen their educational competitiveness by cutting off the vicious circle of crisis universities and benefiting from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 KCI등재

        “현장중심 학교폭력 대책”에 대한 교원의 요구도 분석

        정제영,김성기,김화영,선미숙,이아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2014년 3월부터 추진되고 있는 현장중심 학교폭력 대책 14년 추진계획의 주요 정책과제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결과 분석을 통해 향후 학교폭력 관련 정부의 기본계획 및 정책 수립의 방향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초·중·고등학교 교원 39,206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대책의 세부과제별 인지도, 시행정도, 효과성, 중요도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교원의 효과성과 중요도 결과를 활용하여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분석 결과 Wee프로젝트 확대 및 운영 내실화, 피해학생 대상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 추진, 성폭력 예방 및 피해학생 치유·보호 강화, 대상자별 맞춤형 검색 시스템 운영, 학교폭력 피해학생 전담 치유기관 운영, 117센터 운영 내실화의 6개 정책이 최우선순위로 고려해야 할 정책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험형 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내실화, 학교폭력 유형별 예방교육 전문강사 활용, 교우관계 회복을 통한 집단따돌림 해소, 피해학생 치료비 선지원 제도 운영 과제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과제들이라고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the basic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planning and policy for the next school violence related to the government by using the perception survey analysis of teachers on major policy issues of the master plan for the field-based school violence since March 2014. To this end, teacher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une 2015 using online system. The main contents of survey is to evaluate specific tasks in school violence policy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ool, we shown the priorities of school violence policy. The result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ool, ‘expansion of WEE project and operations substantiality’, ‘getting counseling service to damage student’, ‘student harassment Prevention and damage healing’, ‘tailored searching system for student’, ‘operation of exclusive healing agencies for school violence victims’, ‘substantiality plan of 117 center’ are necessary to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