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고등학교와 대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선미숙 ( Mi Suk Sun ),정제영 ( Jae Young Chu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4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고등학교와 대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교육이 교육 수요자들이 기대하는 만큼의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사교육 경험과 함께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개인적 노력 변수로 설정하여, 이러한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고등학교와 대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자료의 2009년(12차) 개인용 자료와 2008년(11차) 교육용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 및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고등학생 시기의 혼자 공부하는 시간과 사교육 경험으로 나타났다.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길고, 사교육 경험이 잇는 경우 고등학교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고등학생 시기의 혼자 공부하는 시간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사교육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양과 사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대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가장 높은 평균 수준을 보여주는 집단은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이면서 사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늘어나면 학업성취 수준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길수록 교육적 성취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사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스스로 학습하는 결과를 바탕으로 상급학교에 진학할 수 있도록 입학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며, 단순하게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양을 늘리는 것보다는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필요가 있고, 이러한 학습경험을 상급학교 진학의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and hours of self-study during high school year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high school years, college years. Using 12th KLIP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regression analysis,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The statistics programs used arc SPSS 20.0.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and hours of self-study during high school years can be summarized as fol1owing. First, Both of private tutoring and hours of self-study had effect on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But, hours of self-study had a larger effect on the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than private tutoring. Second, Private tutoring don`t give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Only hours of self-study gives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llege. Third, When the group difference was examined between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amount of self studying time, the result showed that interactive effect of private tutoring and self studying time was not significant in academic achievement. only self studying hours made meaningful difference. This result shows that academic achievement is affected by how much time was on spent self studying, not whether students had previous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As a result, private tutoring don`t give more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hours of sell-study gives more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employment than private tutoring.

      • KCI등재

        위기 대학의 특성 및 추이 분석 : 중도탈락률을 중심으로

        정제영(Chung Jae Young),선미숙(Sun, Mi Suk),김현주(Kim, Hyun Ju)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간 위기 대학의 교육여건, 교육의 질, 교육성과가 다른 대학들에 비해 어떠한 특성을 보이며 그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위기 대학의 특성 및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위기 대학은 중도탈락률을 기준으로 A, B, C 세 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 으며, 중도탈락률이 높은 순으로 정렬했을 때 상위 25% 이내에 속하는 C등급 대학을 위기 대학으로 정의하였다. 국·공립대학 및 사립대학을 포함한 전체 대학과 사립대학만을 분리하여 각각의 추이를 분 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정원내 신입생 경쟁률,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전임교원 1인당 논문실 적,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와 같이 학교평판도 및 교육여건과 관련된 긍정적 측면의 지표에 서 C등급 대학이 A등급과 B등급 대학에 비해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립대학의 경우, A등급 대학이 C등급 대학에 비해 정부의 재정지원사업 수혜액 이 약 10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년간의 증가액 역시 A등급, B등급, C등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중도탈락률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대학과 사립대 학 모두 대학소재지가 비수도권일수록, 전임교원확보율이 낮을수록, 전임교원 1인당 논문실적 이 낮을수록,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될수록 중도탈락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위기 대학이 악순환의 구조에 빠져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학 구조개혁 평가와 정부재정지원사업이 정책 목표와 다르게 위기 대학의 악순환을 심화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기 대학이 처해 있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정부의 재정지원 수혜를 통해 모든 대학이 대학별 특성을 살려 교육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 도록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risis universities in terms of educational qualities, quality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of crisis universities over the past three years. Crisis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A, B, and C based on the dropout rate. Crisis universities belonging to the top 25 percent were ranked as crisis univers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ational,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separately, the positive aspects associated with educational conditions, school reputation such as freshmen competition rate, number of freshmen, the achivement of thesis per full teacher, C grade colleges are consistently lower than grade A and B in three-year perio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ies that negative affect the dropout rate were university location is non-metropolitan area, lower rate of full time teacher, lower achievement of theses per full teacher, to be selected as a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restriction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risis university is in the vicious cycle structur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nd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can be a factor to deepen the vicious circle of crisis university differently from the policy goal. Efforts should be made to build a virtuous circle structure so that all universities can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to strengthen their educational competitiveness by cutting off the vicious circle of crisis universities and benefiting from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 KCI등재

        중학생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제영(Chung, Jae Young),선미숙(Sun, Misuk),장선희(Jang, Seon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연구원의「경기교육종단연구(GEPS)」3차년도 중학교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비행 발생 가능성 및 비행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학생의 비행을 일탈비행, 범법비행, 다중비행으로 구분하고, 먼저 각 비행유형별로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비행 발생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각 비행유형별로 비행 경험이 있는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비행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탈비행, 범법비행, 다중비행 모두 남학생일수록, 학생의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 내에서의 인권 침해 경험이 많을수록 비행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일탈비행 및 다중비행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공통요인은 학생의 높은 학업성취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행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일탈비행, 범법비행, 다중비행의 발생 빈도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은 부모의 이혼인 것으로 나타났고, 일탈비행과 다중비행의 경우에는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범법비행과 다중비행의 경우에는 가구 총 교육비가 높을수록 비행 발생 빈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비행발생 가능성과 비행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비행의 발생을 사전에 막는 예방 조치와 비행 학생에 대한 사후 교육지원 정책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일탈비행과 범법비행, 다중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또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비행유형별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the occurrence and frequency of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3rd GEPS. The occurrence and frequency of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deviation misdemeanors, law-breaking delinquency and multiple delinquencie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type in order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the occurrence of delinquency. Only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each type of delinquency were subject t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depression and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t scho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ccurrence of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a common factor tha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delinquency. Second, parental divor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requency of delinquency. The frequency of deviation misdemeanors and the occurrence of multiple delinquenci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학생의 요구도 분석 : “현장중심 학교폭력 대책”을 중심으로

        정제영(Chung Jae Young),김성기(Sung-Ki Kim),김화영(Kim, Wha-young),선미숙(Sun, Mi Suk),이아진(Lee, A 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5

        본 연구는 2014년 3월부터 추진되고 있는 「현장중심 학교폭력 대책 ’14년 추진 계획」과 2015년에 수립된 「제3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위한 기본계획」의 주요 정책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정부의 정책을 평가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정책과정에서 기존 정책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개선사항을 점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정책대상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학교폭력 관련 정책의 세부과제별 인지도, 시행정도, 효과성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정책에 대한 효과성과 중요도 인식을 활용하여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요구 수준이 높은 정책과제로 체육·스포츠 활동 활성화, 대상자별 맞춤형 검색 시스템 운영, PC 및 모바일 기반 익명 신고·상담 시스템 활성화, 사이버폭력 예방 교육 강화, CCTV 등 안전인프라 확충 및 운영 내실화, 성폭력 예방 및 피해학생 치유·보호 강화의 6개 정책이 최우선순위로 고려해야 할 정책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른 언어 사용 교육강화,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정책도 적극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basic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This study analyze students’ perception on the governmental field-based master pla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This policy evaluation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develop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Student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une 2015 using online survey system. The main content of survey was to evaluate specific tasks in school violence policy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Using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ool, we demonstrated the prioritie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In conclusion, ‘activating physical and sports education’, ‘tailored searching system for student’, ‘activating declaration and counseling system of PC and Mobile-based’, ‘strengthening education for preventing cyber bullying’, ‘expanding the safe infrastructure(CCTV)‘, ’student harassment prevention and damage healing’ are necessary to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 KCI등재

        학교폭력 관련 정책의 효과성과 중요도 분석: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을 중심으로

        정제영(Chung Jae Young),박주형(Park Ju-Hyoung),김성기(Sung-Ki Kim),선미숙(Sun, Mi Su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2

        이 연구는 2012년 2월에 수립된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에 포함되어 학교현장에서 시행되 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세부과제들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5년마다 수립되어야 하는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이 시행되어 왔지 만, 2011년에 발생한 사건들로 인해 2012년부터 매년 새로운 정책이 발표되고 있는 상황이다. 새로운 정책의 수립을 위해서는 기존에 추진되고 있는 정책에 대한 문제점의 분석과 이에 대 한 개선사항을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교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대책의 세부과제별 효과성과 중요도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였 다. 이후 정책에 대한 효과성과 중요도 인식을 활용하여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이 효과성과 중요도가 가장 높은 과제로 응답한 것은 학교 내 CCTV 확충 및 모니터링 강화와 체육·예술 교육 활성화였으며, 교원은 배움터지킴이, 학교보안관 등 학교 내 학생보호인력 운영과 가해학생 학부모 특별교육 이수 의무화라고 응답하였다. Borich 요구 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분석결과로는 가해학생에 대한 즉시 조치, 피해학생 치료비 선지원 제도, 117 학교폭력 신고·상담센터 통합 운영, 전문상담인력 확충, 학생 정서·행동 특 성 검사 및 사후 지원이 더욱 적극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of “the National Pla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ng and Eradicating,” that has been implemented since February 2012.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 for improving policy. This policy evaluation is necessary to make new version of plan solving school violence problems. To this end, student and teacher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uly 2013 using online system. The main contents of survey is to evaluate specific tasks in school violence policy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Using Borich’s needs asse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ool, we showed the priorities of school violence policy. Students evaluated ‘positioning and monitoring CCTV’ and ‘activating physical and art education’ as the most positive tasks. Whereas, teachers gave top priority on ‘deploying school protector(school sheriff)’ and ‘special program for bullies’ parents.’ As a result of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instant action for school violence attackers’, ‘supporting treatment fee in advance’, ‘unified management of 117 call and consulting center’, ‘expansion of school counselor’, ‘examination of emotion and behavior of students and follow-up action’ are necessary to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 KCI등재후보

        초등 신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도 분석

        정제영,윤홍주,김갑성,강태훈,류성창,선미숙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needs assessment of beginning teacher’s job competence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reated and sent to 14,398 teachers in 17 Local Education Provinces.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10 areas related to job skills of beginning teachers. The result of survey indicated that the priority of job competencies required for beginning teachers are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and ‘conjunction with parents and the community’. For future the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actual problem solving skills’, ‘relationship skills’, ‘communication skills’, ‘patience’, and ‘conflict management skills’ appeared to be needed. Furthermore, programs to enhance job competences in the future should involve ‘mentoring’ and ‘school based peer supervision’.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these practical suggestions; First, on-the-job training needs to be strengthened to develop the expertise of beginning teacher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job competence of new teachers in newly appointed elementary teachers, a training program to identify the needs new teachers needs to be developed. Third, the teachers’ appointment and rotation policy are needed to be re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