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편위 환자에서 3D TV 시청이 사시각 및 굴절이상에 미치는 영향

        서혜진,김승현,서영우,최용민,유은주,한지윤,남기태,조윤애,Hye Jin Seo,MD,Seung Hyun Kim,MD,PhD,Young Woo Suh,MD,PhD,Yong Min Choi,MD,Eun Joo Yoo,MD,Ji Yun Han,MD,Ki Tae Nam,MD,Yoon Ae Cho,MD,PhD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10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ching three-dimensional (3D) television (TV) on the angle of deviation and refractive error in children with exodeviation. Methods: Twenty-three volunteers with exodeviation, aged 6 to 12 years, without any ocular abnormalities other than refractive error and exodeviatio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atched 3D TV for 50 minutes at a viewing distance of 2.8 meters. The image disparity of 3D contents was -1 to 1 degree. Refractive errors were measur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watching TV and after a 10-minute rest. The changes in angle of deviation were also obtained. Refractive errors and angle of deviation before and after watching 3D TV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9.30 ± 1.58 years. The mean baseline angle of deviation was 13.04 ± 5.25 (6-30) prism diopters (PD), which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watching 3D TV and after a 10-minute rest (<EM>p</EM> = 0.452). The mean refractive errors were -2.15 ± 1.55 D in the right eye and -2.06 ± 1.55 D in the left eye before and changed to -2.14 ± 1.57 D and -2.11 ± 1.45 D, respectively, immediately after watching 3D TV. After a 10 minute rest, the mean refractive errors were 2.14 ± 1.53 D in the right eye and -2.07 ± 1.53 D in the left eye. All changes in refractive err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M>p </EM>= 0.991 in right eye, 0.495 in left eye). The amount of myopic shift in both eyes immediately after watching 3D TV was correlated with the angle of exodeviation (r = 0.468, p = 0.024). However, the correlation disappeared after a 10-minute rest (r = 0.345, <EM>p </EM>= 0.107). Conclusions: Watching properly made 3D contents on 3D TV for 50 minutes at more than 2.8 meters of viewing distance did not affect the refractive error in children with exodeviation.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yopic shift and the angle of exodeviation are necessa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0):1525-1529

      • KCI등재

        폐비 윤씨와 양극성 장애

        서혜진(Hye-Jin Seo),김창윤(Changyoon Kim)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1 신경정신의학 Vol.60 No.3

        Deposed Queen Yoon was sentenced to death by her husband, King Seongjong, on account of extreme jealousy and inappropriate behaviors. It remains unclear whether her unusual behavior resulted from a psychiatric disorder. In this study, we addressed the issue of whether deposed Queen Yoon suffered from bipolar disorder. We reviewed Seong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King Seongjong), Joseon Wangjo Sillok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available literature on deposed Queen Yo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showed that deposed Queen Yoon might have experienced depressive and manic episodes. Her symptoms of episodic course, familial tendency of mood symptoms, and postpartum onset suggest that she might have suffered from bipolar disorder. Her symptoms and clinical course suggest that deposed Queen Yoon might have suffered from bipolar disord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suggesting that deposed Queen Yoon might have suffered from bipolar disorder.

      • XQuery 질의 처리기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뷰

        서혜진(Hye-Jin Seo),홍의경(Eui-Kyeong Hong)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Ⅱ

        휴대폰이나 PDA 등의 모바일 장치들의 급속한 성장으로 무선 단말기에 적합한 WAP이 탄생하였다. 이에 따라 무선 접근을 위한 언어로 WML이 만들어졌다. 본 연구에서 XQuery 질의를 SQL문장으로 변환시켜서 수행함으로써 XML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 질의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에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KCI등재

        자동심장충격기 설치현황 및 관리 실태 조사

        서혜진(Hye-Jin Seo),윤수지(Susie Yoon),김효식(Hyo-Si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7

        본 조사 연구는 일개 도내의 자동심장충격기 의무설치 기관의 자동심장충격기 설치현황 및 관리 점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17년 11월 20일부터 2017년 12월 2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169대의 자동심장충격기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로 파악하였다. AED는 168대 (99.41%)가 기관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4시간 항시 자동심장충격기가 운영되고 있는 경우는 47대 (27.80%), 기관 운영시간 외에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44대(26.00%)으로 파악되었다. 책임관리자가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경우가 87명(51.43%)이었으며, 자동심장충격기의 관리현황은 배터리 충전상태의 문제가 있는 경우는 2대(1.20%), 환자 부착용 AED패드의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로 7대(4.10%)로 조사되었다. 향후 자동심장충격기 관리책임자를 위한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체계적 유지관리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한다. 또한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관리에 대한 법률 강화 및 제도적 정비를 통한 지속적인 관리실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AEDs) in all mandatory institutions and buildings of the providence to be equipped with AE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 2017 to December 20, 2017, during which time 169 AED units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he percentage was determined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A total of 168 units (99.41%) of AEDs were installed inside. Additionally, 47 units (27.80%) were available 24 hours a day, and 44 units (26.00%) were available outside business hours of the institution. Moreover, 87 units (51.43%) of the responsible managers received rescue and first aid training. Evaluation of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AEDs revealed two (1.20%) that had problems with their battery state of charge battery charge and seven (4.10%) for which the AED pads were past the expiration date. A management system for the manager of AEDs should be established and a regular training program for their systematic maintenance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t is also suggested that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continuous management be raised through reinforcement of laws and legal system reorganiz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그릿과 진로장벽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서혜진(Seo, Hye Jin),이종연(Lee, Jong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 그릿(grit)과 진로장벽 및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이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54명(남학생, 237명; 여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고, 그 자료를 상관분석, t검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과 진로장벽은 성별, 전공계열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진로준비행동의 경우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높을수록 지각된 진로장벽 수준이 낮고,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 간의 그릿, 진로장벽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진로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grit,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454 college students(237 male; 217 female) participated and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were administered to them.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it and career barrie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major) of college students. In the case of a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onl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rit and career barrier, bu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re were moderation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농도에 따른 알긴산 아연칼슘 필름의 제조 및 항균성

        서혜진(Hye Jin Seo),전소윤(So Yoon Jun),이우승(Woo Seung Lee),박재훈(Jae Hoon Park),손태원(Tae Won Son) 한국고분자학회 2014 폴리머 Vol.38 No.5

        7 wt% alginate를 용액상태로 제조한 후 필름 메이커를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만든 후 3, 5 wt%의 ZnCl2, CaCl2 수용액에 필름을 고화시킨 후 수세하여 상온에서 건조시켜 zinc calcium alginate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균성, 수용해도, 팽윤도 및 점도, SEM, EDS 분석 등을 측정하였다. Zinc calciumalginate 복합필름은 ZnCl2, CaCl2 함량이 증가할수록 용해저항성은 증가하였으며, 항균성 시험 결과, zinc alginate필름뿐만 아니라 calcium alginate 필름에서도 두 균주(포도상구균, 대장균) 모두 우수한 항균력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복합필름의 물성개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omposite films of zinc calcium alginate were prepared by a film maker from 7 wt% sodium alginate solution and then they solidified into 3, 5 wt% content ZnCl2, CaCl2 solution followed by washing and drying at room temperature. The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with several methods (antimicrobial activity, water solubility, swelling ratioand viscosity, SEM, EDS) and the film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Composite films of zinc calcium alginate showed an increase in the water resistance by increasing ZnCl2 and CaCl2 content and the antimicrobial test showed that the calcium alginate as well as zinc alginate films result in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two strains, Staphylococcus and Escherichia coli. The results show the possibl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films.

      • KCI등재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서혜진(HyeJin Seo),곽아진(A-Jin Gwak),이은지(EunJi Lee),정유진(YuJin Jeong),김준성(JunSeong Kim)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있다. 이에 ‘자살 예방’, ‘자살 프로그램’,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키워드로 삼아 키워드로 2023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36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54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0.96였으며,주요 변인인 우울 1.04, 자살사고 0.88로 각각 높은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또한, 미기입을 제외한 조절 효과를 살펴보면 성별은 여성, 대상은 청소년, 개입내용은 인지행동, 총회기 수는 10회 이하, 운영 기간은 4주 이하, 회기당 시간은 91분 이상, 주당 횟수는 3회 이상, 집단크기는 11∼20명이 가장 높은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며,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자살 예방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 그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진행할 때 근거가 될 수 있는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using meta-analysis. Accordingly, 36 journals published in Korea by June 2023 were selected using "suicide prevention," "suicide program," and "suicide prevention program" as keywords, and a total of 5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0.96, and the main variables, depression 1.04 and suicide accident 0.88 were high, respectively. In addition, gender, youth, intervention content, cognitive behavior, general meeting period less than 10 weeks, session time more than 91 minutes, weekly more than three times, and group size 11-20 people were examined. These results quantitatively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is meaningful b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nd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organizing and proceeding with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 KCI등재

        가상현실에서 감각 피드백 종류와 구조에 따른 시지각 운동 적응과제의 학습 효과

        서혜진 ( Hyejin Seo ),김선진 ( Seonjin Kim ),유제광 ( Jehkwang Ryu ),정재욱 ( Jaeuk Jeong ),김중석 ( Joongsuk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는 시지각 운동 적응과제 시 피드백 제공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참여자 41명은 제시되는 피드백 형태에 따라 4집단(A, C, D 집단:10명, B집단:11명)으로 나뉘어 시지각 적응 운동(팔 뻗기)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1일차에 모든 참여자는 가상현실 상황 속에서 기준선 검사(baseline)와 시각적 왜곡을 극복하는 두 구간의 적응훈련(adaptation), 그리고 탈적응(washout)을 마쳤다. 그리고 약 24시간 뒤 모든 참여자에 대한 파지검사(retention)를 시행하였다. 수행의 공간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구간의 실제 움직인 수행 궤적과 시작지점-목표지점을 연결한 목표 궤적 사이의 거리오차(distance error)를 산출하였다. 결과: 모든 집단은 적응 1구간과 2구간을 거치며 시각 피드백의 유무와 상관없이 운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행의 공간 정확성은 향상되었으며 특히, 집단 D(운동감각-시각 순)가 가장 큰 수행 향상을 보였다. 파지 검사에서는 단일 피드백 집단 A, B와 다중 피드백 집단C, D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지각 운동 적응과제 학습에 있어 모든 감각 피드백의 제공은 수행 향상에 효과를 보이며, 특히 파지검사에서는 단일 피드백 구조일 때 높은 잔존효과를 보이며 학습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 제공된 피드백 종류나 구조와 관계없이 수행의 향상은 이루어질 수 있고, 특정한 피드백 제공 구조는 수행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tor learning effects differ in types of feedback during visual-perception adaptation task. Method: In virtual reality(VR) environment, 41 healthy m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types of feedback group(group A, C, & D : n=10; group B : n=11) and underwent arm-reaching movement task. On the first day, all participants performed baseline task, adaptation task with visual distortion, and washout task in VR. After 24 hours, retention test is conducted to all participants. To evaluate the spatial accuracy of the task, the maximal distance error between actual hand pathway and the straight line from starting-point to end-point was calculated. Result: During the 1st and 2nd sessions of adaptation task,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patial accuracy of task performance as the number of movement increased, whether visual feedback offered or not. Particularly in group D(consisted with the session of visual feedback and the sission of motor-perception feedback, in order) showed the most dramatic increase. In the retention task, unit-feedback group(group A & B) and multimodal-feedback(group C & 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atial accuracy. Conclusion: In the visuomotor adaptation task, providing all kinds of feedback led t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ask performance and especially in retention test, offering unit-feedback showed learning effects with high after-effects. Regardless of the type or structure of feedback offered in this experiment, the improvement in task performance can be achiev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the specific sequence of feedback has mor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task performance.

      • 차별적 처우 금지 위반의 효과 및 구제의 내용

        서혜진(Seo Hye-Jin)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0 노동연구 Vol.19 No.-

        현실에서 기업은 비정규 근로자에 대해 정규직과 비교하여 임금, 복지 등 근로조건에 있어 정당성이 없는 차별을 하고 있었으며, 비정규근로자는 근로자로서 향유할 수 있는 기본적 권리가 제한되거나 사실상 배제되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간제법을 제정, 파견법을 개정함으로써 비정규근로자에 대한 차별금지원칙과 노동위원회에 의한 차별시정절차를 명문화하였다. 차별받은 근로자의 구제방안에 있어서는 노동위원회를 통한 시정명령절차와 사법적 구제수단의 관계는 병존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하다. 사법적 구제수단의 방향은 사용자의 행위가 비교대상근로자에 비해 비정규근로자가 유리한 질서로부터 배제한 것이 문제될 때에는 비정규근로자는 유리한 질서에 따른 급부나 결과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행위가 당해 근로자에게 부담이 되는 행위를 부과하거나 초래하는 것이라면 그러한 행위의 결과나 영향으로부터 차별받은 근로자가 벗어날 수 있게 차별행위의 효력이 부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현행 비정규관련법에서는 차별받은 근로자의 구제와 관련하여 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이라고 하는 행정적 구제절차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는 차별받은 근로자의 관점에서 볼 때 절차를 간이ㆍ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고 사안에 따른 유연한 구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기간제법 제13조는 노동위원회가 시정명령을 행함에 있어 그 내용으로 ‘차별적 행위의 중지, 임금 등 근로조건의 개선 및 적절한 금전보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먼저 차별적 행위가 계속 지속되는 경우 예컨대 비정규근로자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별도의 시설을 이용하게 하는 경우에는 차별적 행위의 중지를 통하여 구제받을 수 있을 것이다. 비정규근로자가 불이익을 당하지 않으면서 현실적으로 근로조건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이기에 시정명령의 내용에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의 시정까지 포합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적절한 금전보상은 기간제법에 의하여 마련된 특별행정구제절차에 해당된다고 생각된다. The irregular workers have been discriminated on the ground of the titles, irregular employments. To restrict the abuse of the irregular employments by employers and prohibit unreasonable discriminations against irregular workers, the irregular workers protection law was enacted. According to the law, an employer shall not give discriminatory treatment against the irregular workers on the ground of their employment status compared with other workers engaged in the same or similar jobs under a labor contract without a fixed term in the business or workplace concerned. The legal effects of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irregular worker are equal treatment. If a irregular worker receives discriminatory treatment, he/she can apply for a redress to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prescribed in Article 1 of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Act. The contents of mediation or arbitration may include suspending discriminatory actions,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such as wages, and making adequate monetary compensation. Furthermore the legal proceeding protecting workers' right to be free from discrimination can be diversely instituted by the type of discriminatory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