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교육의 효과: 혼합연구방법의 적용

        서민정,조한아,한상미,고영심,길초롱,Seo, Minjeong,Cho, Han-A,Han, Sang Mi,Ko, Youngshim,Gil, Cho-Ro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2 No.4

        목적: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는 환자와 가족의 곁에서 보이지 않는 손의 역할을 하며 호스피스 완화의료팀 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교육과정의 효과를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G도 J시에 소재한 G대학교의 매주 4시간씩 총 20시간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지속교육 과정에 참여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양적연구를 위해 대상자의 교육 전후 호스피스 태도, 의미 있는 삶, 자기효능감,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자료는 SPSS Window 20.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를 위해 교육 참여자들에게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지속교육 과정의 효과에 대한 양적연구 결과,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호스피스 태도(t=-2.52, P=0.018)와 자기효능감(z=-2.06, P=0.40)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자신의 신체를 다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환자들을 돌볼 수 있는 방법과 영적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을 알기 원하였다. 참여자들은 삶의 마무리를 돕는 봉사에 대한 자부심과 베푸는 기쁨이 나의 삶에 감사로 돌아오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개인시간 할애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환자를 잘 돌보고 싶은 열정으로 지속적 배움에 대한 열의를 나타냈다. 결론: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은 지속교육 과정을 통해 환자와 가족을 돌보기 위한 역량 강화를 원하였으며, 이러한 교육은 호스피스 태도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자들의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대상자들의 신체적·사회적·영적인 접근을 모두 강화시키는 지속교육이 필요하다. 효율적이고 체계화된 지속교육을 위해서는 웹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지역별 컨소시엄 형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Purpose: Hospice volunteers are serving an invisible yet pivotal role in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eam.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ffectively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could enhance hospice volunteers' competency. Methods: A total of 20 hours (four hours per week) of training was provided to 30 hospice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hospice volunteers. Efficiency of the education was analyzed with an exploratory mixed-methods design.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volunteers were ask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about their attitudes towards hospice care, what makes a meaningful lif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their volunteer service.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dow 20.0. For qualitat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placed in three groups for a focus group interview, and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Results: A quantitative study result shows that this training can significantly affect hospice volunteers' attitudes and improve their self-efficacy. A qualitative study result shows that participants wanted to receive continuous education from the physical/psychosocial/spiritual aspects to better serve end-of-lif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even though they have to spare significant time for the volunteer service. They wanted to know how to take good care of patients without getting themselves injured and how to provide spiritual care. Conclusio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volunteers' requests is strongly needed to improve their competency. An effective continuing education requires continuous training and support in areas where hospice volunteers are interested in. A good alternative is to combine web-based and hands-on training, thereby allowing hospice volunteers freely take training that suits their interest.

      • KCI등재

        일 종합병원에서의 지속적 신대체요법 적용에 관한 실태

        서민정,최앵자,서지영,조용애,성영희,Seo, Min-Jeong,Choi, Ang-Ja,Suh, Ji-Young,Cho, Yong-Ae,Sung, Young-Hee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09 중환자간호학회지 Vol.2 No.1

        Purpose: The treatment effects and operation status of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for acute renal failure patients have been investigated. Method: Two expert nurses reviewed the records of 731 patients undergoing CRRT in an intensive care unit of a general hospital from Jan. 2002 to Dec. 2006 with the CRRT assessment sheet and situation sheet developed for this study.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ed CRRT increased from 90 in 2002 to 194 in 2006.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CRRT was azotemia (40.0%). Before CRRT treatment, patients were 78.6 ($\pm55.5$) of BUN value and 5.0 ($\pm3.2$) of Cr. value. The standard values of BUN and Cr. were lowered. Compared the survival group with the death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edical departments and the main diagnosis group. Their BUN and creatinine value, APACHE II score, mean blood pressure, and oligur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onclusion: This survey demonstrates a trend that patients receiving CRRT has been increased. We suggest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some hospitals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and to find how CRRT treatment affects patient’s survival and death rate.

      • KCI등재

        임종 다빈도 부서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대처정도와 생애 말기환자 간호와의 관계 - 응급실, 중환자실, 종양내과 병동 간호사를 중심으로

        서민정,김정연,김상희,이태화,Seo, Min-Jeong,Kim, Jung Yeon,Kim, Sanghee,Lee, Tae Wha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죽음에 대한 태도와 대처정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 및 간호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2) 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3)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방법: 3개 대학병원의 임종 다빈도 부서인 종양내과병동, 중환자실, 응급실에 근무하는 18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다차원 죽음에 대한 태도 척도', '죽음에 대한 대처정도 척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인식 척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수행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기술 통계, 상관관계,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은 결혼 유무, 종교, 근무 부서,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은 죽음에 대한 태도(P=0.014), 죽음에 대한 대처(P=0.003),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P<0.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이 근무부서(P<0.001),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P<0.001)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이 근무 부서,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에 영향을 받으므로, 근무 부서에 따라 차별화된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explore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nd-of-life (EOL) care, 2) describe correlations among the above factors, and 3)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EOL care performance.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187 nurses stationed at departments that post higher mortality than others such as the oncology department, intensive care unit (ICU) and emergency department (ED).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urban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Multi-dimensional measure was performed for study instruments such as "attitude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and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OL car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First, nurs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attitudes toward death by age, religion, work unit and EOL care education. Younger nurses tend to score low on the understanding of EOL care, and ED nurses' score was lower than their peers at the oncology department and ICU. Second, EOL care perform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itude toward death (P<0.001), coping with death (P=0.003) and understanding of EOL care (P<0.001). Third, nurses' EOL care performance was affected by work unit (P<0.001) and understanding of EOL care (P<0.001). Conclusion: Because nurses' performance was influenced by their work unit and understanding of EOL care,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training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death and EOL care according to work unit.

      • KCI등재

        삼위일체 해석원리를 구현하는 성경의 연극적 읽기 원리 : 밴후저의 삼위일체 소통원리와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기방법론을 중심으로

        서민정 ( Min Jeong Seo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9 신앙과 학문 Vol.24 No.2

        이 논문은 성경의 연극적 읽기가 이성과 경험의 균형을 통해 전인격적으로 성경 텍스트에 접근함으로써 삼위일체 원리를 구현하는 해석적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하나님의 계시인 성경을 저자 중심적으로 읽어야 함을 주장한다. 그러나 모든 연극적 읽기가 성경의 저자가 의미하는 바를 깨닫는 데에 기여한다고 할 수 없다. 즉흥연기의 방법은 성경을 저자의 의도보다는 독자의 관심과 성향에 따라 해석하도록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독자주도의 해석을 피하고 저자이신 하나님의 계시로서 성경을 이해하고자 한다.필자는 성경을 연극적으로 읽기 위해 스타니슬랍스키 연기방법론의 핵심 개념들을 토대로 네 가지 읽기 원리- 상상하기, 말하기, 따라가기, 수행하기-를 제시한다. ‘상상하기’는 텍스트의 세계로 들어가는 사고 과정으로, 성경의 사건을 문자적 이해를 넘어 상황의 언어로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말하기’는 줄거리를 증언하는 언어 행위를 통해 전체 이야기의 흐름 속에서 사건을 파악함과 동시에 인물로서 사건에 참여하는 데 적용되는 원리이다. ‘따라가기’는 텍스트를 관통하는 초목표를 따라가며 저자의 의도에 따라 텍스트를 분석하는 과정에 적용된다. 성자 하나님은 성경의 전체 초목표를 텍스트에서 실현하시며 인물들의 목적은 전체 초목표 안에서 찾아진다. ‘수행하기’는 인물의 체현 과정에서 우리가 텍스트의 의미를 깨닫도록 하는 원리이다. 인물의 체현은 각 장면과 인물의 목적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성경 해석에서 이 네가지 원리는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적용된다기보다는 대부분 유기적으로 동시에 일어나지만 결과적으로 수행하기의 원리를 통해 연극적 읽기는 완성된다. 우리는 성경에 근거하여 성부 하나님의 뜻을 상상하고 전체 줄거리를 말하고 성자 하나님의 목적과행함을 따라 성령 하나님의 도움으로 문맥적 의미를 깨달으며 텍스트에 반응할 수 있다.이와 같은 원리를 기초로 한 연극적 읽기는 역할 체험을 통한 전인격적 요소를 지니며 그 과정에는 앎의 대상과 앎의 주체가 충돌하는 과정이 뒤따른다. 이 충돌에서 해석자는 성경의 주된 동기와 자신의 동기가 어떻게 대치하고 있는지 혹은 함께 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통찰함으로써 자기중심적 읽기의 유혹을 극복하고 앎의 실천으로 나아갈 수 있다. This article shows that the dramatic reading of the Bible can be an interpretative way of implementing the Trinitarian principle by approaching the biblical text holistically through the balance of reason and experience. For this specific reason, I insist on reading the Bible as the “play of Playwright”, from the author’s perspective. Unfortunately,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every dramatic interpretation approach of the Bible will convey the author’s intension. Improvised acting for instance, it is an audience driven interpretationallowing for subjective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interests and preferences of its audience than to convey the author’s intention. Therefore, my suggestion is to avoid such audiencecentered interpretation but to understand the Bible first and foremost as the revelation of the Author, God.This paper suggests four reading principles - imagining, speaking, following, performing - based core concepts of Stanislavski, in effort to accomplish the dramatic reading of the Bible. ‘Imagining’ is a kind of thought process through which we enter into the world of the text, enabling us to transcend literalistic meaning into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based on situational language. ‘Speaking’ seeks to understand a particular situation as part of the flow of the whole story by testifying to the summary. At the same time, this is theprinciple by which we participate in the situation as a character. “Following” seeks after “the super-objective” that penetrates the whole text, and is used for analyzing the text according to authorial intention. God the Son accomplishes this super-objective in the text, and the objectives of various characters are found within this overarching objective. “Performing” helps u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ext by embodying the characters of the story. This embodiment is based on each character’s unique objective and background. In biblical interpretation, although these four principles occur together organically, it is this fourth principle that accomplishes dramatic reading. Based on the Bible, we are able to react to the text by imagining the will of God the Father, testifying to the summary of the text, following after God the Son’s objectives and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text contextually by the help of the Holy Spirit.Such dramatic reading has a holistic element based on role experience. In this process,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knowing comes into conflict. This conflict enables the interpreter to recognize how his or her motivations are either synchronized or distinct from “the super-objective” of the text, helping to overcome the temptation of subjective reading and to proceed forward to practicing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학습독자의 문학 반응 쓰기 양상 분석 연구 -자유 반응 쓰기와 관점 선택 반응 쓰기를 중심으로-

        서민정 ( Min Jung Seo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0 청람어문교육 Vol.4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 반응 쓰기의 내용 구성 방식으로 자유 반응 쓰기와 관점 선택 반응 쓰기를 제안하고, 초등 학습독자의 문학 반응 쓰기 양상을 분석하여 문학 반응 쓰기의 실태를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문학 반응 텍스트 쓰기 교육 방법은 자유 반응 쓰기와 관점 선택 반응 쓰기이다. 초등 학습독자의 문학 반응 쓰기의 양상을 분석한다. 분석의 기준은 자유 반응 쓰기에서 초등 학습독자들이 보이는 문학 반응은 무엇인가, 관점 선택 반응 쓰기에서 초등 학습독자들은 어떤 관점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가, 자유 반응 쓰기와 관점 선택 반응 쓰기 중 초등 학습독자들은 어떤 반응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가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학 반응 쓰기의 지도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 학습독자는 문학 반응 쓰기에서 관점을 제시했을 때, 학습 부담을 덜 느끼고 있다. 학습 능력이 우수한 초등 학습독자는 일정한 관점을 제시하는 것보다는 자유롭게 쓰도록 하는 활동이 적절하다. 자기 경험 관련된 문학 반응 텍스트 쓰기를 통해 자신의 생활을 성찰적으로 되돌아보도록 한다. 문학 작품을 여러 관점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ree response writing and perspective selection response as a method of content organization in literature response writing, and to grasp the literature response writing actual conditions by analyzing elementary learned readers` literature response writing.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instruction direction of literature response writing is suggested as follows. When a perspective is suggested in literature response writing, learned readers feel less learning burden. It is more appropriate for high-proficiency learned readers to write freely rather then to suggest the specific perspective. Literature response text writing related in their own experience makes learned readers look back over their daily lives introspectively. It helps to develop the discernment to see a literary work in several perspectives.

      • KCI등재
      • KCI등재

        패션 사회적기업과 공익연계마케팅의 유사한 사회적가치 추구 활동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서민정 ( Min Jeong Seo ) 한국의류학회 2019 한국의류학회지 Vol.43 No.4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relationships among fashion consumer's positive emotion toward social value seeking activities (SVSA), enterprise image (EI), enterprise-perceived quality (EPQ), and purchase intention. Additionally, it demonstrates if the confirmed relationships are different in similar SVSA between social enterprise and cause-related marketing (CRM). An online experiment using a 2 (the implementation organization of social values: social enterprise vs CRM) × 2 (SVSA: support of vulnerable group vs environmental protection) factorial design was conducted to test the established hypothese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condition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PLS-SEM) and partial least squares multi-group analysis (PLS-MGA). The results revealed that positive emotion toward SVSA directly influenced EI and purchase intention. EI and EPQ were identified as sequential mediators linking positive emotion toward SVSA and purchase intention. A finding for similarity in consumer response paths between social enterprises and CRM highlights that social enterprises need to develop a marketing strategy distinguished from CRM.

      • KCI등재

        통어적 기능을 고려한 명사토의 형태론적 구조 분석과 분류

        서민정(Seo Min-jeong) 우리말글학회 2006 우리말 글 Vol.38 No.-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some previous analyses of Korean Noun inflectional affixes(N-infl). And this paper is a work for reflecting morphologic and syntactic properties of N-infl. I analyze Korean Noun and N-infl into morphologic structure. And I introduce the feature structure and principle of HPSG for its syntactic function discussion. I explain that the N-infl unites the Korean noun stem and other inflectional affixes as a agglutination and linguistic information of Korean inflectional affixes unite the linguistic information of Korean noun stem and other inflectional affixes as the principle of 'unification'. And I modify the subclass of N-infl of Seo Min-Jeong(2005). The feature structure of N-infls are〈그림 참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