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유 동물 난자 성숙 과정과 배 발생 과정에서의 Ca2+-channel의 동정까지

        인하 한국발생생물학회 2012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31 No.-

        1966년 석사 과정에서부터 포유류에서 난자 성숙 과정이 어떻게 일어나는가 하는 것이 연구의 시작이었고, 80년 이후부터는 난자 성숙과 배 발생에 관련된 calcium 대사 연구를 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연히 세포 내로 Ca2+가 유입(Ca2+-influx)되는 요인을 밝혀야 했고, 그러다 보니 포유동물의 난자 성숙과 Ca2+-influx의 통로가 되는 Ca2+-channel을 연구하게 되었다. 1990년 후반부터는 포유동물의 난자 및 배에서 Ca2+-channel에 대한 연구를 주 테마로 하였다. 당시에는 이 분야의 논문이 그리 많지 않았으며, 따라서 세계 어느 연구실보다 이 분야에서 pioneer leader였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2004년 8월 성진여자대학교 정년퇴임 시까지 연구하였다. 포유동물의 난자 성숙 과정에서 아미노산인 glutamine이 에너지원(energy source)로 쓰이며, protein 합성의 주 재료가 된다는 점을 밝혔는데, 이는 난자 성숙 과정에서 아미노산이 에너지 원으로 쓰이고 있음을 처음으로 밝힌 논문이었다(Bae and Foote, 1975). 이후 Batta와 Kundsen(1980), Burgoyne 등(1979)이 luteinizing hormone(LH) surge 후 cumulus cell enclosed 난자에서는 Ca2+ 농도의 급격한 증가가 일어나는 반면, folliclar fluid 내의 Ca2+ 농도가 감소하였음을 보인 연구 결과를 토대로 Bae(1981)과 Bae와 Channing(1985)에서 calcium on이 난자 성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그 이전의 Tsafriri와 Bar-Ami(1978)과 Leibfried와 First(1979)는 Ca2+ion이 난자성숙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하였으나, 이는 실험 과정에서 배양액 내 Ca2+ 농도 계산이 잘못되었음을 증명하였다(Bae and Channing, 1985). 포유동물 난자를 체외에서 배양하면 자발적인 성숙(spontaneous maturation)이 일어나지만, 양서류나 불가사리는 progesterone이나 1-methyladenosine을 처리해야 난자 성숙이 일어난다. 그러나 포유동물의 난자라도 in vivo에서는 LH surge 후 난자 성숙이 시작된다는 점에서 보면 난자 성숙을 방해하는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고 난자 성숙 억제 물질(oocyte maturation inhibitor, OMI)을 찾아내는 것이 생식생리학 분야에서는 아주 커다란 문제로 부각되어 왔다. Tsafriri, Pomerantz와 Channing(1976)의 논문을 시작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연구하였고, 미국 내분비학회에서도 이들을 Gugenheim award를 수여하여 노벨의학상 수상 후보에 오를 것이라는 소문이 자자했다. 또한 미국 생식학회(SSR)에서는 제 1회 연구 논문상, Baltimore에서는 Great Baltimore Women Scientist로 선정되어 상을 받는 등 일약 전국적인 spot light를 받았다. 이 당시 본인 역시 OMI에 대해 이들과 달이 1975년부터 면역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였으나, 연구 속도가 느려 1981년에 겨우 논문 하나를 발표하였다. Fast-moving protein과 slow-moving protein의 두 가지 다른 protein이 serum 내에는 없고 follicular fluid 내에 있으며, 생쥐 난자 성숙을 방해하고 있음을 밝혔다(Bae 등, 1981). 이보다 앞서 1979년 4월에 Dr. Channing 실험실에 합류하였는데 당시 Dr. Channing group이 발표한 OMI은 실험적 오류에 의해 생긴 결과였음을 밝혔고, 1980년 이후 Dr. Channing lab에서는 OMI에 대한 논문은 더 이상 발표되지 않았으며, Dr. Channing은 1985년에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포유류 배 착상 전 발생과정 중 일어나는 compaction 현상과 부화(hatching) 과정에서도 Ca2+가 필수적임을 보고하였다(Bae 등, 1994, 1996). 생쥐 난자 성숙과 포배기까지 배 발생에 Ca2+는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정작 Ca2+ion이 어떻게 난자나 배의 세포질 내로 들어 오느냐하는 Ca2+-channel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일반적으로 Ca2+-channel는 근육, 신경 조직 등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포유동물의 난자 내 배에서의 연구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었다. 물론 근육이나 신경조직처럼 재료 구하기가 쉬우나, 포유동물의 난자와 배는 양적으로 재료를 구하기가 힘들다는 것도 원인 중에 하나이다. 예로 직경이 80um인 생쥐 난자 3,400개를 모아야 직경이 1.2mm인 개구리 난자의 체적이 되며, 3,400개의 난자를 모으려면 34명의 숙련된 technician이 생쥐 다섯 마리로 1시간이상 걸려 100개의 난자를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Okamoto 등(1977), Bae(1981), De Felici와 Siracusa(1982) 등이 포유동물 난자막에서 Ca2+-channel의 존재를 암시하였으나, Yoshida(1982)가 처음으로 방사성 동위원소 45Ca2+를 사용하여 Ca2+-channel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나, 어떤 type의 Ca2+-channel인지 밝히지는 못했다. 당시 한국에서는 45Ca2+를 사용하려면 방사능 취급 자격증을 갖고 있어야 하는 어려움으로 Ca2+-channel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지 못하였다. 이후 Ca2+-channel에 대한 항체가 생산되자 본인은 항체를 이용한 면역학적 접근으로 생쥐 난자와 배에서 Ca2+-channel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생쥐 난자 성숙 중에 일어나는 membrane potential이 변하는 것은 Na2+-channel을 통한 membrane potential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Ca2+-channel을 통해 Na2+의 이동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membrane potential이 변하는 것임을 Yoshida(1983)이 증명하였다. 또한 Yoshida(1986), Peres(19987), 그리고 Blancato and Sayler(1990) 등 역시 Ca2+-channel의 존재를 증명하였으나, 어떤 type의 Ca2+-channel인지 밝히지는 못했다. 포유동물의 난자 및 배에서 Ca2+-channel를 밝힌 연구로는 Bae 등(1998, 1999a and b), Day 등(1998), Mattioli 등(1998), Emerson 등(2000) 등이 전부다. 이 중 Day 등(1998)은 생쥐 배에서 voltage dependent T-type Ca2+-channel을, Mattioli 등(1998)이 voltage dependent P/Q-type Ca2+-channel을, Emerson 등(2000)이 생쥐 2-세포배에서 voltage dependent L-type Ca2+-channel의 존재를 증명하였다. 본인은 Bae 등(1998, 1999a와 b)에서 생쥐 난자에 존재하는 P/Q-type, N-type, L-type의 voltage dependent Ca2+-channel이 존재함을 밝혔으며, Lee 등(2004)에서는 생쥐 난자 체외 성숙 중 성숙이 저해된 난자는 위의 네 가지 voltage dependent Ca2+-channel이 발현되고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해 난자 성숙이 일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생식 생리학의 난제 중 하나인 OMI의 원인 중 한 가지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겠다.

      • 버섯 수확 후 배지 급이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생육 특성

        이슬비,성문,김종원,황연현,이병정,홍광표,박정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현재 식용 및 건강보조식품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흰점박이꽃무지는 현재 전국에서 가장 많이 사육되고 있는곤충이며 계속해서 신규 사육농가가 급증하고 있다. 보통의 경우 유충 사료로 미강 등을 첨가한 발효톱밥을 사용하기때문에 사육농가에서 직접 발효할 경우 특정기술이 필요하고 발효톱밥을 구매할 경우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버섯수확 후 배지는 총질소함량 등 영양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발효시키지 않아도 먹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따라서 특정한 발효기술 없이도 사료를 제공할 수 있어 사료비용 부담을 줄이고 양호한 곤충생육을 도모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버섯 수확 후 배지 급이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육특성을알아보기 위해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 표고버섯 수확 후 배지, 그리고 대조구로 참나무 발효톱밥 배지를 각각급이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각 처리 당 20마리씩 개체사육, 3반복 처리한 결과, 3령 유충말기의 평균 체중은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를 급이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왔고 유충기간은 새송이버섯수확 후 배지를 급이한 처리구에서 가장 짧았으며 표고버섯 수확 후 배지에서 가장 길었다. 그러므로 흰점박이꽃무지대량 사육 시 먹이원 비용 절감을 위해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성취의 디지털 인증과 활용

        박진희(Jinhee Park),상훈(Sanghoon Bae)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2 비교과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S대학의 디지털 배지 개발 사례를 통해 디지털 배지 활용과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성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과 실행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헌분석 결과 디지털 배지는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율 향상과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인증 도구로 제시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배지 적용 정책은 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의 인증도구로 디지털 배지를 적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이다. 셋째, 디지털 배지 활용에 대한 내부 부서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운영자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대학 내에서 비교과 프로그램 이수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배지를 수여할 때 디지털 배지 간 차등을 두어 수여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e-포트폴리오는 디지털 배지와 함께 비교과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대학 경험에 대한 성취 인증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을 위해 디지털 배지는 강력한 인증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으며, 실제 적용 사례에서 보이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성찰을 통해 대학에서 적용되고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use of digital badges, certific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reflection of various stakeholders using the case of digital badges development at S University. Literature review and action research method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e following. First, the literature review affirmed that digital badges could be used as alternatives to improved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quality management, and more effective accreditation tools. Second, the digital badge application policy must be primarily considered when applying digital badges as a means of accreditation to extra-curricular programs at universities. Third, the person in charge of digital badges in the university should consider various functions to accommodate various demands of internal departments. Fourth, digital badges must be issued with a price difference when issuing digital badges to students who completed extra-curricular programs. Fifth, the e-portfolios can be used to recognize the achievement of various university experiences, including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digital badges. Moreover, the results corroborated that digital badges can be employed as powerful accreditation tools to certify extra-curricular programs in universities and can be applied and utilized in universities by reflecting various stakeholders in practical application cases.

      • KCI등재

        임신시 모유 수유 계획의 실천에 대한 추적 관찰

        김혜순,서정완,김용주,이기형,김재영,고재성,선환,박혜숙,Kim, Hae Soon,Seo, Jeong Wan,Kim, Yong Joo,Lee, Kee Hyoung,Kim, Jae Young,Ko, Jae Sung,Bae, Sun Hwan,Park, Hye S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7

        목 적 :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한 수유모의 모유 수유 실천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했던 1,128명 중에서 지역과 병원급을 층화하여 무작위 추출한 152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2001년 1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연구 대상자의 출산 후 4개월에 전화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한 수유모 중에서 출산 4개월 후의 모유 수유율은 37.5%였고, 실패 이유는 66.3%가 모유가 나오지 않거나 양이 적어서라고 대답하였고 그 외 수유모의 직장 또는 일 13.7%, 수유모의 질환 7.4%, 변이 묽어서 5.3%, 아기의 질병 4.2% 등이었다. 2) 수유모의 연령, 자녀의 유무, 모유 수유를 결정한 사람, 가족의 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임신 시 모유 수유를 4개월 이상으로 계획했던 경우 모유 수유율이 2.3(95% 신뢰구간 1.15-4.62)배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전문대졸 이상의 수유모의 모유 수유율이 고졸 수유모보다 0.43(95% 신뢰구간 0.21-0.86)배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취업 수유모의 모유 수유율이 0.37(95% 신뢰구간 0.17-0.83)배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4) 모유 수유 장점과 수유의 방법에 대한 인식항목 20개에 대한 점수의 중앙값 12점을 기준으로 할 때 12점 이상인 사람의 모유 수유율은 41.5%였던 반면, 12점 미만인 경우 34.5%의 모유 수유율을 보여 인식이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1.35(95% 신뢰구간 0.70-2.62)배의 모유 수유율을 보였다(P>0.05). 5) 출산 장소가 산부인과 의원인 경우 종합병원 보다 모유 수유율이 3.97(95% 신뢰구간 11-14.23)배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출산아 성별, 병원내 모유 수유, 모자동실 및 분만 형태에 따른 모유 수유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모유 수유율 높이기 위해서 적극적인 산전 교육과 출산 후 병의원에서 모유 수유를 할 수 있도록 모자동실, 모유 수유 상담 및 교육이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취업 수유모의 모유 수유를 위한 공간과 시설 및 휴가 문제 등이 사회 정책이나 국가 정책으로 제도화 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success rate and factors that influence breast-feeding among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Methods :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n success in breast-feeding, reasons for failure and perinatal factors. It was done by telephone calls to 152 randomly selected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at 4 months after deliver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bivariate ${\chi}^2$-analysis. Results : The breast-feeding rate for the first four months among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was 37.5%. The major reason for breast-feeding failure was insufficient amount of breast milk(66.3%). The breast-feeding rate was 2.3(95% CI 1.15-4.62) times higher in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for longer than 4 months(P<0.05), but maternal age, breast-feeding for previous baby, person advocating breast-feeding, and family size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of success in breast-feeding. The breast-feeding rate of graduates of college was 0.43(95% CI 0.21-0.86) times lower than that of graduates of high school. The breast-feeding rate of employed mothers was 0.37(95% CI 0.17-0.83) times lower than that of housewives(P<0.05). Maternal disease,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were not significant determinant factors of success in breast-feeding. Breast-feeding rate of infant born at local obstetric clinics was 3.97(95% CI 11-14.23) times higher than that of infant at general hospital(P<0.05). Conclusion : To increase the breast-feeding, medical personnel should educate mothers on problems during breast-feeding. Hospital polices that facilitate breast-feeding such as rooming-in must be promoted. For employed mothers, strategies for breast-feeding within companies must be encouraged.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 유형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배성만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0

        Most studies in the past have studied the negative aspects of smartphone use. However, most smartphone users do not dependent on smartphone use by self-regulation. Despit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smartphone use have not been balanceablely studi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martphone usage types on social capital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smartphone depend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from 3,803 teenagers (1,934 males, 1,869 females) among the 10-19 year olds surveyed by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 2016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ocial capital decreased as age increased, and social capital increased as household income level increased. Also, social capital decreased as the level of smartphone dependence increased. However, smartphone usage time was not related to social capital. The specific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usage types and social capital are as follows. More smartphone use for information seeking, leisure seeking, and messengers was related to greater social capital.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SNS by smartphone was not associated with social capita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that examined the effect of smartphone usage on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다수의 연구들이 스마트폰 사용의 부정적 측면을 연구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자기조절을 통해 스마트폰 의존에 이르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사용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은 균형있게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스마트폰 의존을 통제한 상태에서 스마트폰 사용유형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6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10-19세 3,803(남자 1,934명, 여자 1,869명)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자본이 감소했고, 가계의 소득 수준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자본이 증가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사회적 자본과 관련성이 없었고, 스마트폰 의존이 강할수록 사회적 자본은 감소했다. 스마트폰 사용 유형과 사회적 자본과의 구체적인 관계는 정보추구, 여가추구 및 메신저를 위한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자본이 증가했다. 반면, SNS 사용은 사회적 자본과 관련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 형태가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초기의 경험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만족도가 휴대폰 중독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배성만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1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 and depression in the longitudinal view. We used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rom 2010 year, 2349 people in a first year, 2279 people in a second year, 2255 people in a third year participated in our study. We utilize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Results were follow as. First, the mor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was negative,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 was higher at a first year. Second, the mor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was negative,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lower at a first year. Third, the more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t a first year. The more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high over time, decrease rate of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 was faster. Fourth, more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 at a first year, depression level was higher at a third year. Our results suggest that parents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 could be important variables to explain the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 And, in future study, It is need to examine repetedly wether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 can lead to emotional problem such depression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만족도가 휴대폰 중독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 관점에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했으며, 2010년부터 중학교 패널 집단을 대상으로 3차 년도에 걸쳐 1차년도 2349명(남: 1174, 여: 1175), 2차년도 2279명(남: 1152, 여: 1127), 3차년도 2255명(남: 1138, 여: 1117)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정한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비 일관적, 과잉기대, 과잉간섭) 초기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높았다. 둘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초기 친구관계 만족도가 낮았으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친구관계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친구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초기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낮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친구관계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휴대폰 중독적 사용의 감소가 가속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초기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높을수록 3차년도의 우울수준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 및 또래 관계의 문제가 휴대폰 중독적 사용을 설명하는데 유의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우울 등의 정서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반복적인 검증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유형과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배성만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정보화정책 Vol.25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martphone usage types and excessive expectation for smartphone on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It utilized the data of 3,454 adolescents (1,758 males and 1,696 females), aged between 13 and 19 from a smartphone overdependence survey of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 and household income had a negative effe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Weekly smartphone usage time positively affected the serious consequences (sub-factor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smartphone usage, information seeking, SNS, gaming, and the excessive expectation for smartphones had positive impa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Smartphone usage for leisure seeking did not affect smartphone overdependence, but it negatively influenced serious consequences. Messenger use did not affect smartphone overdependence, but the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salience, and a negative effect on serious consequ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ypes of smartphone use as well as the usage time to understand the smartphone dependence of adolescents.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recognize and correct the irrational excessive expectation for smartphone in order to prevent dependence and implement effective interventions.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유형과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13세에서 19세까지의 청소년 3454명(남자1,758명, 여자 1,696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연령과 가계수입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으로 영향을미쳤다. 스마트폰의 주중 사용시간은 스마트폰 과의존의 하위요인인 문제적 사용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 사용 유형 중정보추구, SNS 및 게임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과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여가추구를위한 스마트폰 사용은 스마트폰 과의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스마트폰 과의존의 하위요인인 문제적 사용에는 부적으로 영향을미쳤다. 메신저를 위한 스마트폰 사용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메신저 사용은 스마트폰 과의존의 하위요인인현저성에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문제적 사용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이해하데있어 사용시간뿐만 아니라 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사용유형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스마트폰 과의존의 예방과 효과적인개입을 위해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수정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용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배성만,김병선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1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를 위해 이루어졌다. 기존의 척도와문헌조사를 통해 91문항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고, 예비조사와 전문가의 내용분석을 통해 총32문항의 척도를 구성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22명의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여 47명을 제외한 576(남: 295명, 여: 281명)명을 대상으로 타당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하위 요인(행동적, 정서적, 신체적 반응)이 척도총 변량의 40.96%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델의 적합지수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타당도 확인 결과, 표준화된 회귀계수가 .50이하이고 다중상관지수가 .20 이하인 3개의 문항을 제거하여 총 27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최종 문항들의 내적신뢰도는 .928로 양호한 수준이었다. 끝으로 척도의 활용가치와 향후 연구에 대한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daily stress response inventory for adolescent. Wecomposed 91 preliminary items through existing scales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comprised 32 itemsthrough item analysis and discussion of licensed clinical psychologists. We examined the main surveytargeting 62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Seoul and kyonggi-do and conducted validityanalysis for 576 people (man: 295, woman: 281) excluded 47 persons. Result of exploratory factoranalysis, 3 subfactors (behavioral, emotional and physical stress response) explained 40.96% of totalvariance of inventory. Next,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t-indices of model were good. Wedecided 27 items as final items excluded 3 items which standard regression weights below .50 andsquared multiple correlation below .20.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928. Finally, theapplication of inventory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CEA Study on the Effect of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 for Preventing Tumor Metastasis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옥석,이태순,박성대,박종욱,진동석 대한대장항문학회 2004 Annals of Coloproctolgy Vol.20 No.2

        Purpose:CEA Study on the Effect of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 for Preventing Tumor Metastasis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Division of Colorectal Surgery, Department of Surgery, 1Immunology and 2Clinical Patholog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Ok Suk Bae, M.D., Tae Soon Lee, M.D., Sung Dae Park, M.D., Jong Wook Park, M.D.1, Dong Suk Chun, M.D.2 Although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 was introduced by Turnbull et al. in 1967, the controversy over whether or not it reduces the risk of metastasis during surgery exists even toda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 in primary colorectal cancer surgery. Methods: The evaluation was done by comparing the levels of CEA and CEA m-RNA expression from the same draining vein before and after tumor mobilization. Blood samples from 25 patients with primary colorectal cancer were collected for analysis. At the time of surgery, the main draining vein from the tumor was isolated and ligated at the proximal end. The 1st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just prior to tumor mobilization, and the 2nd samples right after. Both samples were analyzed for serum CEA level and CEA mRNA expression by using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The mean CEA value from draining veins after tumor mobilization (8.08±8.98 n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t was before mobilization (4.17±4.98 ng/ml). CEA mRNA was detected in 16% (4/25) of the blood specimens post-mobilization, whereas it was detected in only 4% (1/25) of the pre-mobilization sample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e validity of using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 to reduce the risk of metastasis into the draining vein during mobilization. 목적: ‘No-touch’ isolation 술식은 아직까지도 술 중 전이의 위험도를 낮추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술식의 재발률을 분석하기 위해 가장 이상적인 연구방법은 단일기관의 단일 술자에 의해 기존의 술식과 비교하여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대장암에서 이 술식의 종양 조작 전 혈관결찰술이 암전이 위험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가를 실험적 방법으로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 및 방법: 25예의 대장암 환자에서 술 중 종양 조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주 배액 정맥을 분리하여 결찰을 하였으며, 종양 조작 전 후에 주 배액 정맥을 통해 각각 정맥혈 채취를 하였다. 이들 정맥혈에서 혈청 CEA 수치 및 RT-PCR을 이용한 CEA m-RNA의 발현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종양 조작 후에 이루어진 배액 정맥혈에서의 평균 혈청 CEA 수치는 8.08±8.98 ng/ml로 종양 조작 전의 평균 혈청 CEA 수치인 4.17±4.98 n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35), CEA m-RNA의 발현은 종양 조작 후의 정맥혈에서 16% (4/25)로, 종양 조작 전의 정맥혈에서 4% (1/25)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 결론: ‘No-touch’ isolation 술식 중 종양 조작 전 혈관결찰술은 대장암 세포전이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생각이 되지만, 술 후 재발률, 사망률 등의 임상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긴장요인, 사회유대, 자기통제, 인터넷 사용 및 오프라인 비행이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위계적 선형 모형을 통한 4년 종단자료 분석

        배성만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trend of change of adolescent cyber delinquency as time passes and the influence of predictors for the change of cyber delinquency.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Youth Panel Data (2th grade at middle school) of National Youth Policy Agency by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level of cyber delinquency was the highest at the first year(at 2th grade at middle school), decreased drastically at the second year. And cyber delinquency decreased gradually at the third and fourth year. The decrease rate of cyber delinquency of female students was bigg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And, greater stress, amount of internet use and the level of offline delinquency at 2th grade at middle school were related to the slowdown of decrease rate as time passes. On the other hand, greater social bonding and self-control at 2th grade at middle school were associated with the acceleration of decrease rate. Taken together, amount of internet use, offline delinquency, self-control, social bonding and strain factors appear strong predictors of cyber delinquency, and self-control, offline delinquency and amount of internet use more influenced cyber delinquency than strain factor and social bonding. Thus, researchers and counselors need to firstly pay attention to adolescents who commit delinquent behaviors in offline situation, and try to improve self-regulation ability of adolescents for internet use to prevent cyber delinquency. 본 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청소년기 사이버 비행의 변화 양상과 예측변인들이 사이버 비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패널(중학교 2학년 패널)조사 자료를 위계적 선형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차 년도(중학교 2학년)에서 사이버 비행 수준이 가장 높았고, 2차 년도에서 급격이 감소했다. 그리고, 3차 년도와 4차 년도에서 완만히 감소하였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여학생들의 사이버 비행 감소율이 남학생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 년도의 긴장요인, 인터넷 사용 양 및 오프라인 비행 수준이 높을수록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이버 비행의 감소율은 둔화되었다. 반면, 1차 년도의 사회유대,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이버 비행의 감소율은 가속화되었다. 종합해 보면, 인터넷 사용 양, 오프라인 비행, 자기통제력, 사회유대 및 긴장요인이 사이버 비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사용 양, 오프라인 비행 및 자기통제력이 긴장요인과 사회유대 변인보다 사이버 비행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의 사이버 비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 비행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에 대한 일차적인 관심이 필요하며,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