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분석

        송영선(Young Sun Song)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2 비교과교육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다수의 대학에서 비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관심과 지원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K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제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K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K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보고서를 검토하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비교과 교육과정은 교육부 대학교육(평가)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요구조사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셋째, 학습지원 비교과 교육과정은 8대 핵심역량별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신청시스템 구축과 전문인력 및 예산지원 안정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양 비교과 교육과정은 4대 인재상과 8대 핵심역량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교과 교육과정 통합관리를 위한 위원회’ 설치를 제언하였다. 위원회의 역할은 (1) 비교과 교육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성과를 환류하고, (2) 비교과 교육과정(프로그램) 성과 측정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문항 고도화, (3) 프로그램 운영질관리 지표 개발 및 학생의 프로그램 참여 성과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uggest the non-subject curriculum of K University in a situation where many universities are trying to interest and support non-subject curriculum. To this end, the non-subject curriculum of K University was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As for the research method, K University's non-curricular curriculum report was review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on-subject curriculum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 education (evalu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the entire process from demand investigation to evaluation must be systematically designed. Third, the learning support extracurricular curriculum should strengthen program management for each of the 8 core competencies. Fourth,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needs to establish an application system and stabilize professional manpower and budget support. Fifth, the liberal arts extracurricular curriculum should be able to confirm how the 4 ideal talents and 8 core competencies are being implem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committe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non-subject curriculum’. The roles of the committee are (1) integrated management of non-subject curricula and feedback of outcomes, (2) advancement of non-subject program satisfaction survey items to measure non-subject curriculum (program) performance, (3) development of program operation quality control indicators and Students will conduct research on program participation outcomes.

      • 비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 연구 : J대학교를 중심으로

        엄진경(Um, Jin-Kyung)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1 비교과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대학의 핵심역량 및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인식과 수요조사를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비교과 교육의 운영 방향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대학교에서 2020학년도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비교과 교육과정 인식 및 수요조사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자신의 대학생활에서 비교과 교육이 적지 않은 비중을 담당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고, 비교과 교육과정 인증 시스템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는 편이었다. 둘째, 학생들은 진로 탐색과 취미 개발에 도움을 받기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만 교과 교육시간과의 중복과 정보의 부족으로 원활한 참여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취업과 관련된 비교과 프로그램이 개설되기를 가장 희망하고 있으며, 문화와 예술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 관련 프로그램은 자격증 및 어학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참여가 가능하고 참여시간이 자유롭다는 점에서 대체로 만족하며 참여하는 편이지만, 비대면인 만큼 집중도가 떨어지고 소통의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단점으로 꼽았다. 본 연구는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비교과 프로그램 개설을 통해 내실 있는 비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핵심역량 및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고취 시키는데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extra- curriculum through student awareness and demand surveys of the university s core competencies and extra-curriculum, and to improve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extra-curriculum education. To this end, J University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demand survey of extra-curriculum conducted on students in 2020. First,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knew about core competencies and extra-curriculum well, while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didn t know well. They recognized that extra-curriculum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ir university life, and they were also well aware of the extra-curriculum certification system. Second, students participate in extra-curriculum programs to help them explore career paths and develop hobbies, but it is difficult to participate smoothly due to overlapping curriculum hours and lack of information. Third, students most want to open a extra-curriculum program related to employment, and there is also a high demand for cultural and art-related extra-curriculum programs. In particular, employment-related programs had many demands for programs related to certificates and languages. Finally, for non-face-to-face programs,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various programs and have free time to participate, but as they are non-face-to-face, they are less focused and difficult to communicate. This study will provide directions to promote students interest in core competencies and extra-curriculum through active promotional activi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extra-curriculum program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who are demand for education.

      • Y대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마일리지 제도의 운영사례 연구

        강혜진(Kang, Hye-Jin),권경휘(Kwon, Kyung-Hwi)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 교육과정을 체계화하려는 다양한 노력 중 하나인 비교과 교육과정의 마일리지 제도에 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비교과 교육에 대한 학생의 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대학들은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에 많은 예산을 투자하는 동시에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해왔다. 그러나 부서들이 비교과 프로그램을 중복하여 개설하는 등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에 드는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와 부서별로 장학금에 대한 지급기준이 달라 학생들이 교육내용이 아닌 장학금에 따라 비교과 교육과정을 선택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바로 비교과교육의 통합시스템 구축이고 그 중 하나가 마일리지 제도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비교과 교육과정 마일리지 제도가 실질적인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Y대학교에서 2019학년도부터 시도한 마일리지 제도 운영사례를 소개한다. 먼저 비교과 교육과정의 통합관리시스템을 소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마일리지 제도의 도입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둘째, 마일리지 제도 도입을 위하여 기존의 대학들이 도입하고 있는 마일리지 제도를 분석한 결과를 소개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각 대학들이 도입하고 있는 마일리지 제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Y대학교에서 도입한 마일리지 제도 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비교과 교육과정의 마일리지 제도의 운용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Many universities offer extracurricular education mileage system which provides mileage to students participated in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grant scholar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ts ways by analyzing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mileage system operated by Y University and to give meaningful insights to other universities. First, this study introduces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Y University and explains why it was necessary to implement mileage system in order to operate it effectively. Second, we critically analyze mileage systems operated by other universities. Third, we introduce the mileage system offered to students by Y University. It will provide practical insights to those universities which want to introduce or to improve extracurricular education mileage system.

      •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 고도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박은성(Park, Eun seong),최헌철(Choi, Heon Cheol)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2

        대학교육 및 사업에서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뿐 아니라 비교과교육과정의 중요성과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교과교육과정의 운영 절차 및 재학생의 인식 조사를 통해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고 고도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의 운영 절차를 중심으로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역량맵핑과 질 관리 체계를 확인하여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운영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비교과교육 과정의 핵심역량의 중요도는 직무역량과 도전성취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참여도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역량향상과 더불어 전공 학습 능력 고취, 진로 및 취업 도움, 취미나 관심분야의 긍정적 영향 등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일리지 장학제도는 학생들의 동기부여의 외적 강화 요인으로 비교과교육과정의 학생 참여의 지속 및 증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질 개선으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운영 방향성의 유용한 정보를 제시해 줄 것이다. The importance and role of the extra-curriculum is emphasized as well as the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in university education and busi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upgrade efficiency measures through the operational procedures of extra education courses and the survey of students perception. To this e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facing the university was sought by checking the mapping and quality control system of the competency-based extra education courses, focusing on the operation procedures of the D university.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the comparative education process was the highest in job competency and challenging performance, an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as also the highest. Second, the extra education courses operated by universities have been shown to improve students competencies, as well as promote their major learning skills, help with career and employment,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hobbies and interests. Third, the mileage scholarship system has been shown to influence the continuation and increase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extra curriculum as an external strengthening factor of students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future competency-based extra course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모형 연구 :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소민(Lee, Somin),김용수(Kim, Yongsu),김남기(Kim, Namgi)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의 질 개선을 목적으로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여 역량기반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뿐 아니라 대학 수준의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개편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자 한다. K 대학의 사례를 활용하여, 대내․외 환경분석을 통해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요인을 분석을 토대로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성을 제고 하였다. 더 나아가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의 이론적 개념을 분석하여 환경과 수요자 요구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모형을 구축하였다.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는 마음․뇌․교육(mind, brain, and education)의 이론과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시스템(ecological systems) 이론을 반영하여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심동적 영역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학습자 개인과 주변 환경을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체계 모형은 모든 대학에서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설계 시 유용한 틀을 구성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o improve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quality,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well 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reform at the university level by presenting a concrete co-curriculum framework model by utilizing the case of K Univers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not been sufficiently carried out, and still adds ambiguity to the theoretical discourse. In physical education. it is clear that there is difficulty in maintaining uniform competency-based program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level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as well as different perceptions of competency concepts at the implementation level. By us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SWOT analysis, a co-curriculum framework model is contemplat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facing the K university. Furthermore, a co-curriculum framework model is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program demand survey and the university stockholders’ focus group. The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model applies the theory of Mind, Brain and Education as well as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in order to encompass the learner’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spects as a whole and to connect learners with their surroundings.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readily used in practice. Also, the system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useful framework for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work in all universities.

      • 데이터 기반 비교과 성과관리 시행방안 연구 - Y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권세영(Se Young Kwon)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2 비교과교육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Y대학의 비교과 통합관리 고도화 사례 분석을 통해 데이터 기반 비교과 성과관리 시행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Y대학의 비교과 통합관리 고도화 사례 분석은 고도화 계획 수립, 고도화 방안 수립 및 시행기반 구축, 시범운영, 성과를 중심으로 데이터 기반 비교과 성과관리 관련 전체 사업체계와 프로세스 구축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기반 비교과 성과관리 시행방안을 5단계로 정리하였다. 1단계 목표 설정은 데이터 분석의 구체적 목표 설정 단계이다. 2단계는 비교과 운영성과와 교육 성과 관련 데이터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3단계 데이터 분석 방법론 선택은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결과값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분석법을 모색하는 단계이다. 4단계는 데이터 집계 및 분석 실시는 앞서 결정한 데이터의 집계와 분석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5단계 목적 달성여부 및 데이터별 효용성 검토는 분석 결과 검토를 통한 목적 달성 여부와 각 분석 데이터들이 목적 달성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데이터 기반 비교과 성과관리는 비교과 운영 성과의 체계적 분석 및 환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교육성과관리 측면이나, 학생성과관리 측면에서 발전적 연구가 지속되어야 그 효용성이 향상될 것으로 결론지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a data-based Extra-curricular Activity performance management implementation pla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advance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of Y University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analysis of the case of advancement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integrated management of Y University presented the overall business system and process establishment procedure related to the data-based Extra-curricular Activity performance management,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the advancement pla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mplementation base, the pilot operation, and the performance. Based on this, the implementation plan for data-based performance management was organized into five steps. Step 1 Goal setting is the specific goal setting stage of data analysis. Step 2 is to determine the data items related to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operational outpu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Step 3 Selecting a data analysis methodology is a step to seek an analysis method to systematically derive meaningful results from data. Step 4, data aggregation and analysis is a step in which the previously determined data items is aggregated and analyzed. Step 5 The review of whether the objective has been achieved and the effectiveness of each data items is a step to review whether the objective has been achieved through the analysis of results and whether each analysis of data items is suitable for the achievement of the objective. This data-based Extra-curricular Activity performance manage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enables systematic analysis and feedback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 order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performance management to develop further. it was concluded that the usefulness of the research would be improved only when developmental research in terms of educ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or student performance management was continued.

      • 외연의 확장을 통한 비교과 교육의 가능성 탐색: 지역사회․온라인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김연(Yeon Kim)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3 비교과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2022년 K 대학에서 운영한 지역사회 및 온라인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지역과의 상생발전이라는 대학개혁 현안에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외연의 확장을 통해 비교과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지역 연계 및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은 운영 원칙 수립, 프로그램 검토,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평가 및 환류의 과정으로 진행되었고, 지역 연계 4개(영도문화예술회관의 발레공연, 콘서트, 현악 앙상블 공연 및 국립해양박물관의 한․중해양문명전), 온라인 2개 프로그램(‘교육의 봄’의 변화된 채용이야기, KOICA 의 세계시민교육)이 선정 및 운영(2023.9.15.~12.06)되었다. 운영 결과 처음 문제로 제기되었던 ‘다양한 학생의 요구를 수용한 프로그램 개설’이라는 목적을 달성하였고, 학생들은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운영 성과는 교육만족도 향상이라는 성과지표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지역자원 활용을 통한 비교과 프로그램 개설은 첫째, 한정된 자원을 보유한 특성화 혹은 중․소규모 대학의 경계를 확장하고, 지역문화를 이해하며, 소속감과 긍지를 갖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지역이나 온라인으로 확장된 프로그램도 교내 프로그램과 동일한 운영 프로세스 및 질 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관계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적합한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커스터마이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비교과 교육의 외연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목적과 역할, 지향하는 가치에 대한 정립, 형식적 요구조사 이외 학생들의 숨겨진 욕구를 읽는 방안, 지역을 넘어 대학 간 연대 등의 필요조건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mplications for the university reform issue of win-win development with the reg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education, and discussing new possibilities by examining the program of community and on-line links operated by K University in 2022. Regional cooperation and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ion were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perating principles, reviewing programs, operating programs, evaluating and refluxing programs, and four regional cooperation and two on-line programs were selected and operated.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it wa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a variety of programs that accommodated the needs of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and was confirmed as a performance indicator of improving educational satisfaction. Based on this, the establish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through the use of local resources first helps to expand the boundaries of specialized or small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with limited resources, understand local culture, and have a sense of belonging and prid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the same operating process and quality management plan as in-school programs for programs that are expanded locally or on-line. Third, through collabo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we drew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make efforts to customize new programs suitable for student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expand the extension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necessary conditions such as the purpose and role of the university extra-curricular education, establishment of the values aimed at, ways to read students' hidden needs other than formal demand surveys, and solidarity between universities beyond regions should be preceded.

      • 비교과 통합 홍보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손화정(Hwa Jung Son)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2 비교과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K대학교의 비교과 통합 홍보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를 통해 대학 내 우수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확산하여 비교과 교육과정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K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비교과 현황을 탐색하여 학생이 오프라인상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참여 기회를 접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혁신팀 비교과부를 중심으로 ‘비교과의 즐거움엔 끝이 없다’를 주제로 비교과 통합 홍보 프로그램 ‘비교과 WEEK’를 설계하였다. 그동안 교내에서 분산하여 운영되어 오던 비교과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모아 ‘비교과 설명회 및 학생 사례 발표’, ‘비교과 우수사례 전시’, ‘부서별 비교과 홍보 부스’ 운영의 세 가지 세션을 구성하였다. 비교과 WEEK 운영 결과 10개의 부서가 3일간 운영한 통합 홍보 행사에 1,355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참여 학생의 후기를 텍스트 마이닝으로 분석한 결과 비교과 WEEK에 참여한 학생은 다양한 정보와 참여 기회를 얻었고, 비교과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으며, 학업적 동기를 부여한 것으로 확인된다. 앞으로 K대학교는 비교과 운영 부서의 긴밀한 협조와 정보 공유를 통해 더욱 발전된 통합 홍보 행사를 운영해 갈 것으로 예측된다. 추후 교내뿐 아니라, 타 대학과의 협력을 통한 우수한 비교과 운영 사례를 공유하여 연구를 축적해 간다면 비교과를 통해 학생의 역량을 함양해 나갈 뿐 아니라 대학의 교육 혁신을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im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Extra-curricular by sharing and spreading excellent Extra-curricular in universities through K University’s Extra-curricular operation case study. By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of Extra-curricular operated by K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difficult for students to get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ffline. To this end, the Extra-curricular WEEK was designed under the theme of “There is no end to the joy of Extra-curricular,” focusing on the Extra-curricular department of the education innovation team. By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hich has been distributed on campus, three sessions were organized: ‘Extra-curricular briefing session and student case presentation’, ‘Extra-curricular best practice exhibition’, and ‘Extra-curricular promotion booth by department’. While the Extra-curricular WEEK operation, 1,355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promotion event operated by 10 departments for three days. As a result of analyzing participants' reviews through text mining, they answered that they obtained various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became interested in Extra-curricular, and gave academic motivation. In the future, K University will operate a more advanced integrated promotional events through close coope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with Extra-curricular operation department. Suppose that research is accumulated by sharing excellent Extra-curricular operational cases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 universities. In that cas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s well as the capacity development of students.

      • 비교과 교육과정의 재학생 수요 및 인식 연구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권준성(Kwon, Joon-Sung),김경리(Kim, Kyung-Lee)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3

        본 연구는 비교과 교육의 실질적인 수요자인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비교과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방안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에서 2020학년도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비교과 교육과정 관련 수요 및 인식조사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관련 내용에서는 비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수요조사에서, 역량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중 학습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중에서는 코딩, 딥러닝, 머신러닝 등 프로그램이 가장 높게, 취․창업역량 개발 관련 프로그램 중에는 취업연계 및 실무경험 프로그램이 가장 높게, 진로․심리지원 관련 프로그램으로는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개설요구 프로그램으로는 국내외 봉사활동 프로그램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학 간 상이한 선호와 수요를 보였던 2018년과 2019년과 달리 2020년에는 진로 관련 영역을 중심으로 한 비교과 영역에 집중적 요구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부의 운영방향과 K대학교의 수요조사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ICT 산업과 관련한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수요에 비해 상당히 부족하게 개설․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해소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ays to organize and operate extracurriculum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students, who are actual consumers of education. To do these, a survey is conducted for enrolled students in 2020 by K University and analyzed the demand and perception of the extracurriculum. The main results for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survey on the extracurriculum, coding, deep learning, and machine learning program is the highest among the domain of competency development. The employment-related and practical experience program is the highest among the domain of employment and start-up competency.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is the highest among the domain of career and psychological support. The domestic and overseas volunteer program is the highest among other programs. Second, Unlike in 2018 and 2019, in 2020 there are intensive demands centering on career-related areas. Third,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the demand survey of K University, the extracurriculum programs related to the ICT industry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emand of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solve this.

      • 대학에서의 비교과의 역할과 위상

        김정민(Joungmin Kim)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기존의 실증연구에서 다뤄지지 못한 고등교육과정에서 비교과가 차지하는 역할과 위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비교과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타 대학의 비교과 운영자를 중심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비교과에 대한 보편적 정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의 비교과에 대한 인식과 요구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대학에서 운영되는 비교과의 유형 및 국내외 연구들은 비교과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개념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델파이 조사에서는 ‘정규과정 이외의 대학생활 중 경험할 수 있는 모든 활동’과 ‘재학기간 중 정규 교육과정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학생의 자기계발 노력을 지원하고 지도하는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비교과를 정의하고 있었다. 대학생들은 비교과를 ‘동아리’, ‘활동’, ‘체험’, ‘멘토링’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교과에 대한 요구도는 ‘현 비교과의 유지 및 확대’와 ‘학기 중, 방학 중 비교과 확대’가 가장 높았다. 또한 비교과 참여한다면 그 이유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싶어서’가 가장 높았고, 비교과는 ‘대인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비교과를 참여하는데 제약이 되는 주된 이유는 ‘전공 및 알바 등으로 인한 시간 제약’이 제일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을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ole and status of extra-curricular in higher education that was not addressed in previous empirical studies. For this discussion, the related researches were reviewed and conducted a Delphi survey centering on extra-curricular and operators of other universities to derive a universal definition of extra-curricular and to analyz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extra-curricular. As a result, the types of extra-curricular departments operated by universities and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were found to be conceptualized by classifyi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r activities into three categories. Recognized, and the reason for extra-curricular and participation was that ‘I want to try something new’ was the highest, and the extra-curricular responded ‘It helps to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the main reason for the restriction of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as ‘time constraints due to majors and albas’. Based on the results, It intend to deri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uggest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