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대학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그 문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배상훈(Bae, Sanghoon),강민수(Kang, Minsoo),홍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지방 소재 중소형 사립대학에서 교수와 학생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으면서 나타난 질적 현상을 탐색한 사례 연구이다. 학생과 교수 개인은 물론 대학 차원에서 교수와 학생의 교류 문화가 제도적으로 성숙해 가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각 단계별로 나타난 특징과 이를 위한 제도적, 실천적 노력 및 현실적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사례 대학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문화는 크게 발아기, 발전기, 정착기를 거치면서 진화하고 있었다. 발아기에는 기존의 관련 제도를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움직임이 활발하였다. 총장의 리더십이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으며, 교수와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관건이었다. 둘째, 발전기에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제도와 프로그램의 체계성 및 정합성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였다. 사례 대학에서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발전기에 접어들면서 한층 참여율이 증가하고 실질적으로 보편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교수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대학에 대한 소속감을 함양하고 있었으며, 학습동기와 전공실력을 높이면서 자기 계발에 대한 노력을 확대하는 정서적, 사회적 경험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착기에서는 지속적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고 이를위해 교류와 소통의 장을 정례화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 단계에서는 교수가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생과 교류할 수 있도록 교수의 위상을 담보하는 노력을 펼치고 있었다. 한편 대학의 혁신을 주도하는 집단과 일반 교수 및 학생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이나 마찰을 해결해 나가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드러났다 This case study examined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dynamics that were accompanied with the development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as a culture in one university. The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evolutionary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a culture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with a close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developmental stages, institutional efforts, and barriers in practices in the university. The study found that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the case institution had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embryo, developing, and matured stages. First, during the embryo stage, the institution made efforts to further develop existing systems and create the new programs to promote an institution-wide student-faculty interaction. The leadership of the university President was foun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mplementing the programs and this developed the culture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other key issue was to have both student and faculty willingly engaged in the programs and thus the process of interactions. Second, during the developing stage, building institutional structures to support student-faculty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During this stage, th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of both student and faculty had substantially been increased. Interacting with the faculty, students were found to experience a variety of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that led to institutional commitment, improvement of academic motivation and knowledge, and development of their own talent. Lastly, in relation to the matured stage, the systemization of the programs for student-faculty interactions was found to be a key issue. In this stage, the case institution has made an effort to secure and promote the status of the faculty so that they further develop interaction with students. During this stage, another important issue was to resolve the problem of conflicts between the head quarter of the institution seeking for innovation and the faculty having a tendency of resisting change or not adapting to change as quickly as desired.

      • KCI등재

        4주간 알코올 섭취가 성장기 흰쥐의 근육 위축에 미치는 영향

        배상훈 ( Sanghoon Bae ),노성환 ( Sunghwan No ),박재용 ( Jaeyong Park ),송영주 ( Youngju Song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8 산업 식품공학 Vol.22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ronic alcohol supplementation on muscle atrophy in growing rats. Eighteen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CG group (control group, n=9) and AG group (alcohol supplemented group, n=9). Alcohol group (3 g/kg BW) was orally supplemented every day. After the experimental period, serum components and muscle Akt, p-Akt, FoxO, p-FoxO, MuRF1, and P38 protein expressions were analyzed. In the results, the values of EDL and soleus muscle weights of AG group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value of the CG group. In the serum components, the value of the serum TG concentration of AG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value of the CG group. The value of the p-Akt/Akt and p-FoxO/FoxO of the AG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value of the CG group (p<0.01). The MuRF1 protein expression of AG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value of the CG group (p<0.01). However, the values of p-P38/P38 between two group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4 weeks of chronic alcohol supplementation induced muscle atrophy via activated protein degradation pathway involving the inhibition of Akt phosphorylation and increased FoxO and MuRF1 protein expression of muscle in growing rats.

      • KCI등재

        중학교 단계 진로지도가 고교 진학 후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배상훈(Bae, Sanghoon),최은옥(Choi, Eunok),장창성(Jang, Changs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단계에서 이루어진 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고교 진학 후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진로지도 프로그램은 진로(진학)관련 상담, 진로관련 검사, 직업체험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독립변인에는 성, 부학력, 소득수준, 부모자녀관계,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포함하였다. 전국 21개 고교에 재학 중인 816명의 1학년 학생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에서 이루어진 진로관련 검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교 단계에서의 진로성숙도가 높았지만, 진로(진학)관련 상담이나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경우도 특성화고 집단에서 진로관련 검사에 대한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교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지도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실질적으로 실제 학생들의 진로성숙 수준을 제고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areer guidance activities at middle schools and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t high schools. Career guidance activities include career & guidance counseling, career testing, and work experience program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gender, father's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level, parent-children relationship,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order to examine these relationships, samples included 816 students from 21 high school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nly found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of career testing and career maturity of students. It was only among vocational students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level of career testing.

      • KCI등재

        학교유형 및 지원적 학교풍토가 교사의 변화지향성과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배상훈(Bae, Sanghoon),홍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유형과 지원적 학교풍토가 교사의 변화 지향성 및 지식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독립변인으로 교사 수준에서 성별, 교직경력, 보직여부, 직무열의, 직무효능감을 활용하였고,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유형, 지원적 학교풍토를 적용하였다. 전국의 일반고 17교에서 564명, 특성화고 21교에서 605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사가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유형은 개인배경 및 학교 조직풍토를 통제했을 때, 교사들의 변화 지향성 및 지식공유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교가 조직차원에서 교사들의 노력과 공헌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격려하며, 교사들의 복지 및 학교생활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이는 조직풍토를 가질수록 교사들은 조직변화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개방성을 보였고, 보다 활발히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 개인에 대한 유인 및 보상의 제공과 경쟁을 유도하는 제도의 도입 외에도 단위학교 차원의 조직문화 및 풍토가 교사의 변화를 견인하는데 중요한 기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hool type on openness to organizational change and knowledge sharing between high school teacher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impact of supportive school climate on two dependent variables. Samples include 605 vocational teachers and 564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Multilevel modelling was employed. Controlling for teacher-level variables, school type was not related to two dependent variables. However, supportive school climat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openness to organizational change as well as knowledge sharing attitudes of teacher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supportive school climate perceived by teachers is important in improving teachers’ openness toward change and enhancing sharing of knowledge among teachers.

      • KCI등재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 학교 효과

        배상훈(Bae, Sanghoon),조성범(Cho, Sungbum),홍지인(Hong, Jee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의 학교효과를 일반고 및 특성화고와 비교의 관점에서 탐색하는데 있다. 2010년부터 3년에 걸쳐 마이스터고 11교 일반고 11교 특성화고 11교에 재학했던 학생 중 2,571총 명(마이스터고 853명 일반고 854명 특성화고 864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3시점 유사종단 자료를 구축하고 다층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2010년 개교 당시 마이스터고 집단은 일반고 집단과 비슷하고 특성화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후 3년 동안 마이스터고 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일반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보였고 2012년에는 일반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경우, 마이스터고 집단은 2010년 입학 당시 일반고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지만 특성화고 동료들 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이후 년 동안 비교 집단보다. 성장률에서 차이를 보일 만큼 눈에 띄는 성장은 없었다 학교 만족도에 있어서는 마이스터고 집단은 3개교 당시부터 일반고 동료들과 비슷하고 특성화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년 동안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 만족도 성장률은 일반고 동료들의 학교 만족도 성장률 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2010년 초기상황을 통제했을 때, 위의 세 종속 변인에 대한 마이스터고의 학교수행 효과는 사라졌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ister school programs o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chool satisfaction, this study compared the growth of outcome variables for three years among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school types -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Samples include 853 Meister students, 854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864 vocational students from across the nation. Multi-level modelling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Meister school programs on outcome variables. The study found no differ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Meister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2010 when Meister schools were established. However, the growth of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Meister students was great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period 2010-2012. The same holds true for school satisfaction. Meister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compared to two comparison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growth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mong three groups.

      • KCI등재

        대학의 학업지원, 교수-학생 교류, 능동적 · 협동적 학습 및 학업도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배상훈(Bae, Sanghoon),김혜정(Kim, Hyej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engagement factors, known as a predictive factor for academic accomplishment in universities and work achievements after having graduated from universities. The research model includes a series of student engagement factors including academic challenge,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s,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Particularly, the indicator variables of each factor are directly related to instructional tasks and activities experienced by student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undergraduate students (N=7,393) enrolled in 2011 at 32 domestic universities within South Kore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fit of the model to the data. we found good fit indices for the research model. Results from the final model suggest that supportive campus environments directly impact student-faculty interaction, as well a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factors. Administrative support for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indirectly impact student's preparation for courses and study loads through interaction with faculty, and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during instruct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faculty engagement and support for students' activities in class is critical to promote active involvement of students and to strengthen colleg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학업지원 정도가 교수와 학생의 교류 및 대학생의 능동적 협동적 수업 참여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의 학업 도전, 즉 자신의 학습에 투자한 시간과 노력의 정도에 영항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전국에서 총 32개 대학을 선정하고, 동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웹기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7,393명의 자료가 수집되어 분석에 활용되었다. 네 가지 요인 사이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학이 자신의 학업을 지원한다고 느낄수록 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능동적 협동적 수업 참여는 보다 활발해졌다 또한 교수와 학생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은 대학생의 능동적 협동적 수업 참여와 적극적인 학업 도전에 영향을 미쳤고, 대학생의 능동적•협동적 수업 참여는 그들의 학업 도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대학 차원의 학업 활동에 대한 지원은 교수와 학생 교류 및 대학생의 능동적 협동적 수업 참여를 매개로 대학생의 학업 도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이 학부교육을 강화하고 대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 활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교수의 참여와 협력이 중요하며 학생들의 수업 활동에 대한 지원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심층 학습(deep learnin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개 대학 사례 연구

        배상훈(Bae Sanghoon),전수빈(Jeon Suebin),홍지인(Hong Ji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층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국내 대학 맥락에서 탐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개인적 특성을 가진 학생이 심층 학습을 활발히 하는지와 심층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learning context)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심층 학습(deep learning)이란 단순 암기를 특징으로 하는 표면적 학습(surface learning)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지식의 통합, 반성, 재구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심층적인 학습 접근(deep approach to learning)을 지칭한다. 양적 조사(K-NSSE) 결과, 재학생의 심층 학습 수준이 우 수한 것으로 나타난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93명과 교수 37명에 대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고, 전사 한 자료를 주제 분류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의 심층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으로는 심층 학습 촉진자로서 교수의 역할, 문제해결 학습 상황, 협동 학습과 다양성 기반 학습 환경, 융합교육 환경, 기숙사 생활 등이 나타났다. 그리고 기관 특성으로는 대학의 규모와 교육 및 연구중심 등 대학기관 의 특성이 학생의 심층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 특성으로는 개인의 성향, 학년이 심층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에 대한 기대 및 동기와 전공 계열이 대학의 학습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심층 학습 경험을 촉진하고 있었다. 결론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학생의 심층 학습을 이 끌어 내고자 하는 대학들이 실천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deep learning is highly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s’ engagement as well as their academic achievement. With its importance in min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Korean college students’ deep learning.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conducted multi-case analysis on three universities. The three universities have been in the upper ranks of the K-NSSE for their students’ deep learning participation.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0 professors and students at the subject universities. The analysis followed a stric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rocedure. Two major factors on college students’ adopting deep learning strategies were noted by analyzing the interviews: personal and contextual. Once the research results were deliberated, the study suggested some practical policies whic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may adopt to improve and facilitate their students’ deep learning.

      • KCI등재

        성공적인 대학 생활에 대한 학생 인식 : 학생성공(Student Success)의 실천적 개념과 관점

        배상훈(Bae, Sanghoon),조성범(Cho, Sungbum),한송이(Han, Songie),곽은주(Kwak, Eun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관점에서‘성공적인 대학 생활’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 개인 특성(성별, 전공계열, 학년)에 따라,‘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의미가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서울 지역 4개 대학에 재학하면서 능동적인‘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의 모습을 보인 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제시한 질적 자료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특징과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키워드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을 보다 체계화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깊은 인간관계 경험’,‘만족스러운 취업’,‘높은 학점’,‘폭넓은 인적 교류’,‘전공 지식 함양’,‘다양한 교내외 활동’이 도출되었고, 이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얽혀있는 양상을 보였다. 개념적 관계성이 높은 것끼리 집단화한 결과, 3개의 개념 클러스터가 도출되었다. 학생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은 성별, 전공계열,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맥락에서 학생들의 시각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최근 대학 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학생성공(student success)’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common features of students who are considered to have been successful at learning and college life from the student s perspective. The current study also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features of a successful college life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students. Samples include ninety-thre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ly purposeful activities. Data from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ent’s successful school lives with related key words suggested by students. The study also conducted network text analysis to explore how these key words are structurally linked to each other.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success include various elements (key words) - ‘deep human relationship experiences , satisfied employment , higher GPA , an wide range of social relationship , ‘acquisition of subject-matter knowledge , and a full palette of varied activities’. The study found that these elements are highly related to one another and divided into three clusters. Finally, the perception on the features of successful college life differs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the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장거리 최적경로탐색을 위한 부분탐색기법 연구

        배상훈(Bae Sanghoon)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3D

        실시간 여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동적 최적경로탐색 시스템은 실시간 경로 탐색을 통해 대다수 사용지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최적경로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동적 최적경로탐색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최적경로를 갱신하여야 하므로 짧은 시간에 최적경로를 탐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제한적인 탐색영역 설정기법을 사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동적 경로탐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저사양의 하드웨어로도 동적 경로탐색이 가능한 기법을 개발하였다. 대표경로를 사용한 탐색영역 설정 기법으로 갱신 주기에 따른 유효 탐색영역에 대한 최적해와 대표경로를 조합한 부분해를 사용하는 부분 탐색영역 설정기법을 제안하였다. 가상의 도로망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최대 50% 정도의 좁은 탐색영역으로도 최적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었다. 또한 이동거리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탐색영역을 설정할 수 있어서 단거리 이동경로 탐색이 가능한 정도의 하드웨어 성능으로도 장거리 최적경로를 탐색할 수 있었다. It is widely known that the dynamic optimal path algorithm, adopting real-time pathfinding, can be supporting an optimal route with which users are satisfied economically and accurately. However, this system has to search optimal routes frequently for updating them. The proposed concept of optimizing search area lets it reach heuristic optimal path rapidly and efficiently. Since optimal path should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an distance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tremendous calculating time and highly efficient computers are required for searching tong distance journey.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which the concepts of partial solution and representative path are suggested. It was possible to find an optimal route by decreasing a half area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method. Furthermore, as the size of the searching area is uniform, comparatively low efficient computer is required for long distance trip.

      • KCI등재

        마이스터고 학생의 가정배경 및 정서적ㆍ학습심리적 특징 분석

        배상훈(Bae, Sanghoon),김효선(Kim, Hyosun),김국군(Kim, Kukk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 마이스터고 신입생들의 가정 배경과 정서적ㆍ학습심리적 특성을 전문계고 및 일반계고 집단과 비교하여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부모 소득, 부모-자녀관계 등 가정 변인,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진로이해 정도 등 정서적․학습심리적 변인, 그리고 교사-학생 관계와 학교 만족도 등 학교생활 변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전문계고 동료들과 비교하여 보다 긍정적인 부모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높은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보였으며, 학교 만족도 역시 높았다. 졸업 후 진로에 대해서도 일반계고와 전문계고 집단이 대학 진학을 선호한 반면, 마이스터고는 취업하겠다는 학생이 많았다. 이 연구 결과는 마이스터고가 일단 "조기에 직업 기술인으로 진로를 결정한 학생"을 모집하는데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습심리적 특성을 볼 때, 그들이 장차 높은 직업교육 성취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아울러 마이스터고가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 있는 전문계고에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family backgrounds,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learning performance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from different school types -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hether the meister school based vocational education reform would be effective. Samples included 198 meister school students, 218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220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e-way ANOVA and Chi-squared test were employed. Meister school students showed better relationship with parents, higher self-efficacy,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greater career awareness, and better school satisfaction compared to their peer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Results suggest that meister schools succeeded in recruiting students who are more likely to achieve higher performance in the vocational education setting. Based on study results, it may also be argued that meister schools have a potential to be a successful case in reforming vocational high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