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phone 단위 의 hidden Markov model을 이용한 한국어 단어 인식

        박현상,은종관,용규,권오욱,Park, Hyun-Sang,Un, Chong-Kwan,Park, Yong-Kyu,Kwon, Oh-Wook 한국음향학회 1994 韓國音響學會誌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음성인식에 적합한 음성 인식 단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좋은 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음된 음성내의 조음화현상을 처리할 수 있는 인식단위를 선택해야만 한다. 따라서 음소보다 개념적으로 확대된 인식단위가 필요하게 되는데, diphone은 음소간의 전이영역을 modeling하기때문에 좋은 인식 단위가 될 수 있다. Diphone을 인식 단위로 할 경우에 안정적인 음소영역을 diphone사이에 삽입할 수도 있다. 7명의 남성화자가 발음한 74단어로 구성된 고립단어 인식 실험결과 diphone을 2-state HMM으로, 터짐소리 `ㅂ',`ㄷ','ㄱ'와 묵음을 제외한 음소에 대해서 1-state HMM으로 나타냈을 때 가장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이때 드물게 발생하는 diphone들을 하나의 단위로 merging했을 때 인식률이 $93.98\%$에서 $96.29\%$로 향상되었다. 또한 merging된 diphone과 제안한 국소보간법 (local interpolation technique)을 사용함으로써 $97.22\%$까지 인식률이 향상되었다. In this paper, speech units appropriate for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have been studied. For better speech recognition, co-articulatory effects within an utteran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a recognition unit. One way to model such effects is to use larger units of speech. It has been found that diphone is a good recognition unit because it can model transitional legions explicitly. When diphone is used, stationary phoneme models may be inserted between diphones. Computer simulation for isolated word recognition was done with 7 word database spoken by seven male speakers. Best performance was obtained when transition regions between phonemes were modeled by two-state HMM's and stationary phoneme regions by one-state HMM's excluding /b/, /d/, and /g/. By merging rarely occurring diphone units, the recognition rate was increased from $93.98\%$ to $96.29\%$. In addition, a local interpolation technique was used to smooth a poorly-modeled HMM with a well-trained HMM. With this technique we could get the recognition rate of $97.22\%$ after merging some diphone units.

      • KCI등재

        인체자원정보의 의미론적 상호운용성을 위한 LOINC 매핑 프레임워크 개발

        박현상,조훈,김화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This study developed a customized LOINC mapping toolkit that provides the user with searching specimen items and mapping LOINC in order to share accurately and take advantage of the massive high-quality bio data information among the users of biobank. The mapping toolkit used eight specimen tables that contain the integrated database of the previous research for mapping and maintaining the specimen items that are currently used in biobank. In addition, the mapping toolkit designed the dynamic query algorithm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various search functions, and it performed Korean translation about the attribute of the LOINC represented in english abbreviation. The developed toolkit used the JDBC Connector to connect integrated database developed as MySQL Server 5.6 based on Java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user interface implemented SWING. Therefore, user can ensure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that must be resolved in using and sharing the bio data information by mapping and maintaining the specimen items as LOINC by using a developed toolkit.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체자원은행의 이용자 간에 고품질 대량의 인체자원정보를 정확하게 공유 및 활용하기 위해 이용자에게 검체항목 검색 및 LOINC 매핑 기능을 제공하는 맞춤형 LOINC 매핑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매핑 도구는 현재 인체자원은행에서 이용하고 있는 검체항목을 매핑 및 유지 보수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8개 검체영역 테이블을 이용하였다. 또한 이용자에게 다양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동적 쿼리 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영문 약어로 표현되는 LOINC의 속성에 대해 한글 번역을 수행하였다. 개발한 도구는 Java 프로그래밍 언어에 기반하여 MySQL Server 5.6으로 개발된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기 위해 JDBC Connector를 이용하였고, 유저 인터페이스는 SWING으로 구현하였다. 따라서 이용자는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검체항목을 LOINC로 매핑하고 관리함으로써 인체자원정보의 활용 및 공유에 있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의미론적 상호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다.

      • KCI등재

        초고속 영상 신호 처리기를 위한 짧은 임계 경로를 가지는 데이터 정렬 알고리즘

        박현상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 No.

        Bubble sorting algorithm is to sort the data in a descending order and is popularly used inside image signal processors that drive a variety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Most of all to get the maximum, the minium, and the median of an image segment at the same time, it is most desirable to use the bubble sorting algorithm. For image processing applications, however, the larger image segment makes it more difficult to implement it efficiently, since the operations are increased by the squares of the number of data. As the sequential comparison operations are increased and the critical path is also increased, such that it is unsuitable in a very high speed ope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orting algorithm to minimize the critical path. The proposed algorithm calculates all necessary comparisons in parallel, and then effectively utilize the results for sorting. The implementation result for 5x5 image segment showed the critical path reduction of 84% and the hardware cost reduction of 35%. 거품 정렬 알고리즘은 데이터들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구동하는 영상 처리 신호기에서는 보편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이다. 특히 특정 영상 영역의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 등을 동시에 계산할 경우에는 거품 정렬 알고리즘의 적용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거품 정렬은 정렬해야할 데이터 개수가 늘어나면 제곱으로 계산량이 늘어나므로, 영상에 적용할 경우, 효과적인 구현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순차적인 비교연산이 늘어남에 따라 하드웨어의 임계 경로도 늘어나므로, 초고속 동작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임계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정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모든 비교 연산을 동시에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5×5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구현된 결과는 84%의 임계경로 감소 및 35%의 하드웨어 비용이 감소를 보였다.

      • KCI등재

        2D 필터링을 위한 열벡터를 제공하는 단일 SRAM 기반 라인 메모리 시스템

        박현상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 No.

        2D filterings are used widely for image processing applications. A line memory system is to provide an N×1 column vector every cycle for N×N 2D filtering. A line memory is a memory that can store the entire data in a horizontal line of an image. In general N line memories constitutes a line memory system to provide N×1 column vectors. However, as the number of SRAMs are increased, the duplicative driver circuits in themselves make the corresponding line memory system inefficient. The memory bandwidth provided by a number of SRAMs and by reading and writing them in parallel, can be sustained by sufficiently expanding the data width of a single SRAM. In this paper a single SRAM based line memory system architecture is presented such that the hardware size can be reduced by a half without any functional degradation. 영상 처리 응용에서는 2차원 필터링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라인 메모리 시스템은 N×N 필터링을 위해서 필요한 N×1 열벡터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또한 라인 메모리는 영상에서 한 라인 분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가진 메모리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N×1 열벡터 생성을 위한 라인 메모리 시스템은 N개의 라인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SRAM의 수가 증가하면, SRAM 내부의 구동회로가 반복적으로 사용됨에 따라서 구현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야기된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SRAM으로 구성된 라인 메모리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SRAM이 제공하는 데이터 율과, 매 사이클마다 읽고, 쓰는 데이터 율을 보장할 수 있도록 데이터폭이 충분히 확장된 SRAM을 사용한다. 제안한 라인 메모리 시스템은 기능이나 성능 저하 없이도 50%의 하드웨어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후보

        객체지향적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기반한 간호과정 데이터베이스 개발 및 활용

        박현상,조훈,홍성정,김화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과정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객체지향적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기반한 간호과정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는 NANDA 2015-2017, NOC 5th edition, NIC 6th edition의 자료를 코딩하고 객체지향적 관점에서 자료 구조를 설계한 클래스 다이어그램에 기반하여 적합한 엔티티를 생성하였다. 간호과정 데이터베이스는 분류체계, 환자 정보 및 간호과정, 사용자 정보 엔티티로 구성되었고, 모든 정보가 사용자 및 환자 정보 엔티티에 종속되는 독립된 구조를 가진다. 즉, 개발한 데이터베이스는 별도의 과정 없이 핵심 엔티티와 그 관계만 재설정하여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 및 통합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지향적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는 Java 프로그래밍 언어와 Java Swing, JDBC Connector를 이용하여 간호과정 교육 프로그램의 일부를 개발하였다. 향후 연구는 간호실무의 표준화와 간호과정 매크로 기능과 타 정보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표준 프로토콜 전송 기능을 추가한 완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This study developed a nursing process database based on the object-oriented databas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cess computerization program. The database coded the data of the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NANDA) 2015-2017,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5th edition and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6th edition, and it produced the appropriate entities based on the class diagram to design data structure in an object-oriented perspective. The nursing process database is composed of classification systems, patient information and nursing process, user information entities, and it has the separate structure that all of the information is dependent on user and patient information entity. That is, the database developed can integrate and develop the computerized program without a separate process by resetting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entitie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se object-oriented database model, this study developed a part of the nursing process education program by using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Java Swing, JDBC Connector. The further studies are scheduled to develop the complete program which includes standard protocol transfer function for the standardization of nursing practice,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other information systems, and the nursing process macro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