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황의 캘러스 배양에 의한 기내 대량증식

        박충헌,성낙술,백기엽,이철희 한국식물생명공학회 1998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5 No.3

        지황(Rehmannia glutinosa)의 캘러스배양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을 위하여 엽조직으로부터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MS배지에 0.5 mg/L NAA와 2.0 mg/L BA 첨가배지에서 캘러스 형성율 100%, 식물체 분화율 31%로 가장 높았으며, 2.4-D와 zeatin 첨가배지에서는 캘러스 형성율은 95% 이상 높았으나 기관분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재분화 식물체로부터 다수의 신초 유기에 적합한 배지로는 MS배지에 0.2mg/L NAA와 0.5 mg/L BA를 첨가한 배지에서 3.4개와 2.8개로 양호하였다. 다수의 신초 증식을 위하여 1.0 g/L활성탄을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많은 3.8개의 신초가 분화되었으나 2.0 g/L 첨가배지에서는 2.4개로 감소된 반면, 초장과 엽수는 증가하여 개체생육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Chinese foxglove (Rehmannia glutinosa)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s one of the principal medicinal crops and the crude drug damand expands rapidly.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breeding information of Chinese foxglove. Effects of supplemental plant growth regulators were investigated on leaf tissue for proliferation. 100% callus formation, 31% plantlet regeneration and 6% root differentiation were obtained by adding 0.5 mg/L NAA and 2.0 mg/L BA. 2,4-D and Zeatin treatment also resulted in 95% increase in callus formation, but shoot was not formed. During the subculture, callus propagation rate recorded 15.4% with 0.2 mg/L NAA and 1.0 mg/L BA and plant regeneration improv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2 mg/L NAA and 0.5 mg/L kinetin. The number of shoot formed ranged from 1.7 on WPM medium to 3.4 on MS medium with 0.1 mg/L NAA and 0.5 mg/L BA. Supplementation of 1.0 g/L activated charcoal improved the In vitro plant growth.

      • KCI우수등재SCOPUS

        재배마의 동위효소와 생육특성 비교

        박충헌,성낙술,안병옥,김춘식,이승택 韓國藥用作物學會 1996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4 No.1

        국내에 재배되는 마(Dioscorea batatas) 주요품종으로는 식용으로 널리 쓰이는 단마, 약용으로 이용되는 장마 그리고 최근 식용마로 도입육성된 축근종(筑根種)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들 세종류의 마 주요품종을 대상으로 동위효소 분석과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이다. 1. 마 주요품종의 동위효소 분석 마 주요품종의 동위효소를 분석한 결과 단백질의 band pattern은 잎, 엽병, 줄기 모두에서 Band의 수와 위치의 차이를 보였다. Peroxidase의 동위효소는 잎과 엽병은 거의 동일하게 조사되었으나 줄기조직에 의해 구분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Esterase의 경우는 잎과 엽병, 줄기 모두에서 band pattern의 차이를 보여 품종간 구분이 가능하였다. 2. 마 주요품종의 생육특성 및 수량비교 엽형비교에서 단마와 장마는 상위엽이 피침형이고 축근종(筑根種)은 장심장형 이었으며, 엽서는 장마와 단마의 상위엽이 호. 대생을 보인반면 축근종(筑根種)은 대생이었다. 뿌리 생육과 수량성 비교에서 괴 근수가 단마 1.2개, 장마 1.3개지만 축근종(筑根種)은 1개였다. 괴근장은 단마와 장마가 각각 30cm와 51cm로 길었지만 축근종(筑根種)은 9.7cm로 짧았다. 괴근수량은 단마가 2,751kg/10a로 가장 높았고 장마가 2,288kg/10a였으며, 축근종(筑根種)은 1,785kg/10a였다. 축근종(筑根種)의 수량은 단마와 장마에 비하여 적었으나 단괴형이어서 기계화 수확에 유리한 품종으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isozyme band pattern, growth characteristics and tuber yield of Dioscorea batatas to get basic information for varietal classification. It could be identify clearly by protein and esterase band pattern of leaf, petiole and stem tissue in three cultivar but with peroxidase band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because of similar pattern in leaf and petiole tissue. Three cultivars has different leaf shape as Dan-ma and Jang-ma were lanceolate, Sukunea was long-heart shape in upper part of plants. In phyllotaxis, Dan-ma and Jang-ma shows alternate and opposite but Suwon 2 shows opposite in upper parts of stem. Root lengt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9.7cm to 51cm respectively as 30cm, 51cm and 9.7cm in Dan-ma, Jang-ma and Sukunea. Tuber yield of three cultivars were 27.5M/T in Dan-ma, 22.8M/T in Jang-ma and 22.8M/T/ha in Sukunea.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산수유(山茱萸)(Cornus officinalisis)의 기내증식(器內增殖)에 관한 연구(硏究) 1 : 액아배양(腋芽培養)에 의한 Callus 유기(誘起), Shoot 증식(增殖) 및 뿌리 분화(分化)

        박충헌,성낙술,이승택,윤규복,손서규 한국약용작물학회 1993 韓國藥用作物學會誌 Vol.1 No.1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산수유(Cornus officinalisis)의 기내육종을 위한 기초 연구로 액아배양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 가성을 검토한 결과, 1) 액아 배양에 적합한 배지로는 MS 배지와 DKW 배지가 77%의 신초형성율을 보여 가장 양호하였고 WPM과 GD배지는 다소 저조하였다. 2) 얻어진 기내 Shoot의 증식에는 DKW가 6.8개의 신초를 형성하고 신초장이 4.5cm, 엽수도 10.8개로 가장 우수하였고 B5 〉 GD 〉 MS 〉WPM의 순이었다. 3) Shoot 증식에 적합한 sucrose의 농도는 MS배지의 경우 3%가 좋았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신초의 기내 생육에 제한적이었으며, 활성탄의 영향으로는 배지내 농도가 2 g / l 까지 증가할 수록 개체의 생육이 양호한 경향이었다. 4) MS배지의 경우 무기염류의 농도는 2MS에 비하여 1/4MS까지 낮아질수록 기내 생육에 적합하였다. 5) Shoot증식을 위하여 BA 0.5mg / l에 auxin을 종류별로 혼합 첨가한 결과 2,4-D 첨가구의 경우 Callus의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나 Shoot 증식에는 극히 제한적이었고, IAA와 IBA 처리는 Callus가 전혀 유기되지 않는 반면 multiple shoot가 형성되었으며, NAA에서는 Callus형성과 Shoot증식 이 모두 이루어졌다. 6) 신초의 기내 발근유도 시험에서는 MS매지에 NAA 0.5mg / l 와 BA 0.5mg / l를 첨가한 처리에서 신초로부터 정상근이 분화 되었으나 5% 비율로 낮았다.

      • KCI등재

        지황 조직배양주의 수량성과 성분함량 특성

        박충헌,성낙술,김선규,백기엽 한국식물생명공학회 1999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6 No.3

        지황 (Rehmannia glutinosa) 우량종묘 생산을 위하여 조직배양에 의해 생산된 종묘의 포장수량성을 평가하고 지표성분인 Catalpol과 유리당 함량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배양주의 종근저장성은 재래종에 비하여 약간 양호한 경향이었다. 또한 근장, 근경 등의 뿌리생육이 왕성하여 조직배양주의 수량성은 서천재래종 384kg/10 a에 비하여 1년차 묘는 112%, 2년차 묘는 246%까지 증수되는 결과를 보였다. 성분함량 특성비교에서는 총당함량이 서천재래 1.86%에 비하여 조직배양 1, 2년차 묘는 각각 1.21, 1.10%를 보였고, 지표성분인 Catalpol도 서천재래 0.46%에 비하여 조직배양 1, 2년차묘는 0.4%로 약간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황 조직배양주의 수량성은 재래종에 비하여 증수되는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유리당과 Catalpol 함량은 약간 감소되는 경향이었는데 모본식물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Chinese foxglove(Rehmannia glutinosa)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s one of the principal medicinal crops and the crud dru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breeding information of Chinese foxglove derived from tissue culture. To compare plant characteristics between local variety and tissue cultured seedlings, plant growth and root yield has been investigated. In addition, catalpol and free sugar contents were also analized. The ability for the storage of root stock originated from tissue culture seedlings were better than that of local variety. The growth and root yield of in vitro propagated plants were superior to those of conventionally propagated plants. Root yield of 1-year-old and 2-year-old seedlings investigated 112% and 246% respectively than Seacheon local shows 384 kg/10 a.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issue culture seedlings and conventionally propagated one, slight decline of component contents in tissue culture plants were still existed. Investigated sugar content among Seocheon local, 1-year-old tissue culture seedlings, and 2-year-old tissue culture seedlings were 1.86%, 1.21%, and 1.10% respectively. Catalpol content as one of standard materials indicates 0.46% in Seocheon local and 0.40% in tissue cultured ones.

      • KCI우수등재

        산수유(山茱萸)(Cornus officinalisis)의 기내증식(器內增殖)에 관한 연구(硏究) I. 액아배양(腋芽培養)에 의한 Callus 유기(誘起), Shoot 증식(增殖) 및 뿌리 분화(分化)

        박충헌,성낙술,이승택,윤규복,손서규,Park, Chung-Heon,Seong, Nak-Sul,Lee, Seung-Tack,Youn, Kyu-Bok,Son, Su-Gyu 한국약용작물학회 1993 韓國藥用作物學會誌 Vol.1 No.1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산수유(Cornus officinalisis)의 기내육종을 위한 기초 연구로 액아배양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 가성을 검토한 결과, 1) 액아 배양에 적합한 배지로는 MS 배지와 DKW 배지가 77%의 신초형성율을 보여 가장 양호하였고 WPM과 GD배지는 다소 저조하였다. 2) 얻어진 기내 Shoot의 증식에는 DKW가 6.8개의 신초를 형성하고 신초장이 4.5cm, 엽수도 10.8개로 가장 우수하였고 B5 > GD > MS >WPM의 순이었다. 3) Shoot 증식에 적합한 sucrose의 농도는 MS배지의 경우 3%가 좋았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신초의 기내 생육에 제한적이었으며, 활성탄의 영향으로는 배지내 농도가 $2\;g\;/\;{\ell}$ 까지 증가할 수록 개체의 생육이 양호한 경향이었다. 4) MS배지의 경우 무기염류의 농도는 2MS에 비하여 1/4MS까지 낮아질수록 기내 생육에 적합하였다. 5) Shoot증식을 위하여 BA $0.5mg\;/\;{\ell}$에 auxin을 종류별로 혼합 첨가한 결과 2,4-D 첨가구의 경우 Callus의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나 Shoot 증식에는 극히 제한적이었고, IAA와 IBA 처리는 Callus가 전혀 유기되지 않는 반면 multiple shoot가 형성되었으며, NAA에서는 Callus형성과 Shoot증식 이 모두 이루어졌다. 6) 신초의 기내 발근유도 시험에서는 MS매지에 NAA $0.5mg\;/\;{\ell}\;와\;BA\;0.5mg\;/\;{\ell}$를 첨가한 처리에서 신초로부터 정상근이 분화 되었으나 5% 비율로 낮았다. Present experiment were attempted to examine in vitro multiplication throughbud culture of Cornus officinalis. Bud derived shoot formation was established successfully on Murashige and Skoog's medium supplemented with $0.5mg\;/\;{\ell}$ BAP(N-benzyl amino purine). The shoot proliferation increased on the Driver Kuniyuki Walnut medium containing $0.5mg\;/\;{\ell}$ NAA(Napthalene acetic acid) and $0.5mg\;/\;{\ell}$ BAP. Addition of 2,4-D(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to the media produced excessive callus inducton. IAA(Indole-3-acetic acid) and IBA (Indole-3-bu-tyric acid) enhanced multple shooting, and NAA showed callus induction and multiple shooting. Shoot growth was enhanced supplemented with 3% sucrose, $2g\;/\;{\ell}$ activated charcoal, and 1 / 4MS in organic salts. However, root formation of proliferated shoots was low about 5%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