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깨품종의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成洛戌,李正日,姜哲煥,朴來敬,蔡永岩 韓國作物學會 1990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5 No.5

        참깨 품질 개량 육종을 위한 기초조사로써 작물시험장에서 수집 보존하고 있는 참깨 유전자원 품종중 임의로 114품종을 선정하여 생육특성 및 단백질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유래별로 12품종에 대한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종별로 20.6%-30.2%의 변이를 보였으며 평균함량은 24.72%였다. 미국 도입종인 PI158066이 30.2%의 최고치를 보여 고단백질 품종육성을 위한 귀중한 유전자원으로 평가되었다. 2. 품종의 유래별로는 한국재래종이 25.8%로 높았으며 일본 도입종과는 무려 2%의 단백질 함량 차이가 있었다. 3. 초장, 엽색, 화색, 착과습성 및 실방수에 따른 단백질 함량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이나 종파조직이 매끄러운(smooth) 품종들의 함량이 0.8% 정도 높았고 종파색별로는 검은색 > 갈색 > 회색 > 백색순으로 높았다. 4. 참깨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FAO 권장량보다 높아서 그 우수성을 알 수 있었다. 총 마이노산 함량은 도입종인 PI 258372가 25.03%로 가장 높았으며 재래종인 부안종과 삼척종도 높은 편이었다. 5. 필수아미노산 비율은 FAO 권장치 32.3%보다 훨씬 높은 평균 42-58.2% 수준이었으며 다른 작물보다도 높은 편이었다. 6. 재래종인 삼척종은 필수아미노산 비율이 58.2%로 가장 높고 Tyrocin 및 Lysine 함량이 공시품종중 가장 높아 품질 개량 육종의 유망한 자원으로 평가되었다. 7. 육성종중 한섬깨는 Histidine, Valine 및 Lysine 등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아 양질 다수성 품종 육성에의 이용이 기대되었다. 8. 품종의 유래별로도 차이를 보여 한국재래종 > 도입종 > 육성종 순으로 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았으며 특히 재래종은 필수아미노산도 가장 높아 단연 품질의 우수성이 인정되었으며 향후 이들 자원을 이용한 고품질 품종육성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in과 globulin을 증대시킴으로써 종실의 lysine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게 나타났다. 5. 발근력은 육묘일수 연장으로 방임구에서는 점감하였으나 경엽 절제구에서는 점증하였고 hymex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Tachigarace) 처리에서는 그 효과가 더욱 뚜렷하였다.고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P<.05)이 인정되었다. 7. 산란전기간 동안(21-72주)의 사료섭취양은 백색계에서는 사육밀도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유색계에서는 사육밀도와 수당 급이기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사료섭취양도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처리간의 유의성도 인정되었다. 8. 사료요구율은 백색계에서는 초고밀도(272cm2 /수)에서 2.94로 가장 많았으나 다를 처리구 사이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유색계에서도 306cm2 /수의 고밀도 구에서 2.87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 사이에서는 일정한 경향치가 없었고 통계적 유의차도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란계의 케이지 사육 적정 밀도는 백색계의 경우 초고밀도인 272cm2 /수를 제외한 수당면적 306~453cm2 , 유색계의 경우 수당면적 340~453cm2 일 때 경제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고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구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8.4%. 79.7% 그리고 80.2%였다. 5. 체중구성요소들의 중상비율간의 상관근도는 계통간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중구성요소중 체중과 상관정도가 높은 부위들은 방혈양, 두부, 각부, 흉부, 퇴경부등이였다. 복부지방(%)은 어느 계종에서나 주로 불가식내장과 높은 유의상관을 보였으나, 가식부위와의 상관정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ctivity of these two me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an seed quality improvement in sesame, protein content of 114 varieties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12 varieties was analyzed. Protein content showed the vaietal difference ranged 20.6-30.2% and the mean was 24.72%. The highest variety in protein content was PI158066 (30.2%) originated from U.S.A. Protein content of Korean local varieties were highest among original group analyzed. Seed coat texture and seed coat color affected to protein content so, smooth type was higher than rough type in protein content, and black seeded varieties showed the hight protein content. Amino-acid composition of sesame was uneque in balance and higher than FAO reference. Total amino-acid of variety PI258372 was highest as 25.03%. Essential amino-acid (EAA) /total amino-acid(TAA) ratio of sesame was higher as 42-58.2% than soybean, corn, rice, peanut. Korean local variet 'Samcheck' showed best quality in amino-acid composition as 58.2% in EAA/TAA ratio with high tyrocin and lysin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 in order of Korean local ' '&' 'gt; introduced ' 'gt; Korean bred varie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황기의 파종시기별 생육특성 및 수량 비교

        성낙술,김영국,방진기,박희운,유용환,유흥섭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1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3 No.2

        파종시기가 황기의 뿌리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3월 중순부터 4월 하순까지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아기간은 수원과 이천지역 모두 3월 중순 파종시 20일이 소요되었으나 4월 상순 파종구에서는 6일로 가장 짧았다. 2. 지상부는 4월 중순 파종까지는 생육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4월 하순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지하부 생육은 이천보다 수원시험구에서 지근 발생이 많았으며, 두지역 모두 4월 상순 파종시 건근중이 가장 양호하였다. 4. 수량은 수원과 이천 모두 4월 상순 파종구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4월 상순 이후부터는 감소하여 황기 적정파종 시기는 4월 상순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growth and yield in A. membranaceus Bunge at different seeding. Time from 1997 to 1998 at Suwon and Ichon, Emergence duration was the longest as 20 days at middle of March seeding in Suwon, but early of April seeding was the shortest as 6 days. Weight of shoot was increased to middle of April seeding but was reduced after late of April. Lateral root was more increased at Suwon than Ichon. Dry root weight and yield were the most increased at April early in the middle of them. but were induced after middle April. As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optimum seeding date for A. membranaceus was April early seeding.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