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3D 애니메이션의 조명 사례분석 연구

        박은혜(Park, Eun-hea)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4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7 No.-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는 세계 최초의 3D 장편 애니메이션인 <토이스토리, 1995>를 세상에 선보인 이래 일련의 3D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통해 컴퓨터그래픽과 관련한 놀라운 기술적 성취들을 보였으며, 이에 대안 연구들 역시 주로 기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 논문은 이러한 기술적 측면보다는 영상예술적 관점에서 스토리와 시각적 요소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픽사의 <라따뚜이>(2007)를 대상으로 스토리 구조그래프와 이미지 분석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스토리 구조를 분석함과 아울러 영상구성요소들 중에서도 특히 조명(톤, 명암, 색채 등)효과가 스토리와 어떤 연관관계를 갖는지를 관찰하였다. <라따뚜이>는 뚜렷한 3막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매 10분을 주기로 스토리가 변화하는 등 짜임새 있는 스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잘 짜여진 스토리 구조는 시각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연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영화 스토리의 큰 흐름은 영상의 분위기(mood)로도 묘사되었는데, 이는 영상의 밝기와 색채 및 콘트라스트의 강도 조절을 통해 이루어졌다. 각 장면들에서도 조명과 색채들이 스토리와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대상의 감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끌어 낸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Pixar Animation Studio introduced the very first full-length 3D computer-animated film, Toy Story(1995), technical achievements in computer graphics with Pixar’s works have been one of the focal points of the literatures on the study of 3D animation. However,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ory of and the visual factor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visual arts, rather than a technical point of view. With the story structure analysis and image analysis of the animated film, Ratatouille(2007), that are graphically represented, we study how each part of the story is related with the visual factors, especially with the lighting(tone, shade, color, etc.). Ratatouille can be characterized by the well-built story structure with distinct three acts and story change of 10 minutes’ cycle, which make it possible to realize various visual display. We find that the main stream of the story is described with the mood that are created by fine adjustments of brightness of main light, and intensity of color and contrast. And the harmonization of each scene of the story and the lightings successfully expresses emotions of the charact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내산 육가공제품의 유형별 첨가물과 영양성분함량 및 표시실태 조사

        조수현,성필남,박범영,김진형,박은혜,하경희,이종문,김동훈,Cho, Soo-Hyun,Seong, Pil-Nam,Park, Beom-Young,Kim, Jin-Hyung,Park, Eun-Hea,Ha, Kyung-Hee,Lee, Jong-Moon,Kim, Dong-Hoo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국내육가공제품의 질적 향상 및 성분표시의 필요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내 유통 중인 육가공제품 총 57종(햄 31종,소시지 26종)을 수거하여 성분을 조사 분석하였다. 현행 축산물가공기준 및 성분규격법의 표시규정에 따르면 육함량과 주종이 되는 첨가제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국내 유통되고 있는 육가공제품 중 혼합프레스햄류, 돈육소시지류 및 분쇄육가공제품의 종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유형의 제품 내에서도 육, 지방, 칼로리,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함량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육함량, 단백질, 지방, 콜레스테롤 수준 및 칼로리 범위는 햄제품의 경우 75-98, 12-23, 1-16%, 7-50 mg/100g 및 1,620-3,127 cal/g이었고, 소시지 제품의 경우 60-96, 5-17, 3-27%, 5-73 mg/100g, and 1,271-3,546 cal/g이었다. 포화지방, 단가불포화지방 및 다가불포화지방 함량은 햄제품의 경우 31-40, 44-53 및 60-72%이었고 소시지 제품의 경우 17-38, 34-61 및 13-37% 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육가공제품들에 대하여 영양성분 및 함량을 구분하여 명확하게 표시해 줌으로써 소비자들은 육제품 구입시 각자에 필요한 영양성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 받도록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제품별로 정확한 영양성분 정보 공개는 소비자의 알권리 충족 및 각자에게 적절한 식품선택 기회를 제공해 주고 또한 경쟁력 있는 육가공품 생산을 유도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meat and non-meat ingredients, calorie,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s of processed meat products of which informations are being provided for consumer and partly required for the current labeling system in Korea. A total of sixty-one domestic processed meat products produced from 6 domestic meat companies were collected at the large supermarkets in Suwon city; 1) 31 ham products(3 loin hams, 6 press hams, 20 mixed press hams and 2 fish hams), 26 sausage products(15 pork sausages, 7 mixed sausages and 4 fish sausages) and 4 ground processed meat products. Soy protein and com starch were widely used as non-meat ingredients for the most of processed meat products. The contents of meat, protein, fat, cholesterol contents, and calories were 75-98, 12-23, 1-16%, 7-50 mg/100g, and 1,620-3,127 cal/g for ham products and 60-96, 5-17, 3-27%, 5-73 mg/100g, and 1,271-3,546 cal/g for sausage products, respectively. The saturated(SFA), monounsaturated(MU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contents of ham products were 31-40, 44-53 and 60-72%, and those of sausage products were 17-38, 34-61, and 13-37%, respectively. The ranges of meat contents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were considerably broad even in the same type of the meat products. Therefore, the labeling system of the nutritional facts for ham as well as sausage products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quality level and thus to give the nutritional information to consumer for better choice of products in market.

      • KCI등재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소매유통 구조

        황춘섭(Hwang Choon-Sup),박은혜(Park Eun-Hea) 한복문화학회 2009 韓服文化 Vol.12 No.1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neede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lothing distribution channel in domestic clothing market, the present study analysed the traits of distribution by the categories of clothing in terms of the type and the number of stores that each brand ha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influence of turnover and capital size on the total number of stores. Th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categories of clothing examined in this study were women's formal wear, women's casual wear, men's wear, casual wear, sports wear, children's wear, and inner wear. Descriptive statistics, x²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tores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In general, the number of stores offering high-priced product brands was smaller than that of low-priced product brands. The results showed the tendency that department stores and brand-owned stores has been decreasing since 1997. The distribution channels are becoming more varied in each category, and the number of brands using on-line channels has been increased consistently in all categories of clothing. The total number of stores is more influenced by turnover than capital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