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근린공원에 대한 환경지각이 이용자의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박영은,이우성,정성관,박경훈,Park, Young-Eun,Lee, Woo-Sung,Jung, Sung-Gwan,Park, Kyung-H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근린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공원지각환경이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별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저 공원별 공원지각환경에서는 대부분의 공원이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집에서 공원까지의 길 환경이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다양한 볼거리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23개의 지각환경 변수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경관성, 안락성, 접근성, 활동성, 편의성, 쾌적성의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토대로 건강증진인식과 지각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8개 공원 중 4개 공원에서 지각환경요인이 신체적 건강증진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근성과 활동성이 3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또한, 심리적 건강증진인식의 경우, 8개 공원 중 5개 공원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이 4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기존의 공원 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고자 할 때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s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This study used objective field survey data and subjective user survey data at 8 ne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erceptions of distance and street environment from home to park were evaluated highly but the perception of water spaces and various attractions within the parks were rated lowly in most of park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23 environmental perception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6 factors such as scenery, comfort, accessibility, activity, convenience and amenity. For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based on 6 factors, the recognition of physical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n 4 parks among 8 parks. 'Accessibility' and 'activity' were analyzed as the meaningful factors in 3 parks. Also, recognition of mental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n 5 parks among 8 parks and especially 'accessibility' was showed as the significant factor in 4 park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present parks and can be a basic data for new park development.

      • KCI등재

        중앙아시아 네오샤머니즘의 재현과 성찰

        박영은(Park, Young-e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29 No.-

        본고에서는 소비에트 시기에는 공식적으로 금기시되었던 샤머니즘이 영화의 소재로 부활하고 있는 양상과 그 의미를 구카 오마로바의 『샤먼』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포스트소비에트 시대 카자흐스탄 영화에 나타난 새로운 영성에 대한 노스탤지어가 카자흐인들의 신화와 전통 문화를 소재로 한 작품에서 ‘네오샤머니즘’의 동향으로 재현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고대의 지식과 힘이 현대적 형태로 발현된 네오샤머니즘은 샤머니즘의 옛 형태의 부활을 의미하며, 영적인 세계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믿음과 능력을 포괄한다. 특히 구소련이 통치하던 오늘날의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경우, 네오샤머니즘은 소비에트 이후 관찰되는 샤머니즘과 연결된 전통문화 부활이라는 현상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구카 오마로바 감독은 이 영화에서 소연방 해체 이후 카자흐스탄에 갑자기 유입된 서구 자본주의의 폐해를 고발하고 있으며, 현대문명과 자연과의 갈등, 근대성과 원시성의 충돌, 자연파괴와 환경보존의 갈등을 통해 오늘날 카자흐스탄 사회의 부조리를 드러낸다. 이런 상황에서 주인공 ‘샤먼’은 카자흐인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역할, 카자흐스탄의 전통과 자연을 지키는 역할, 사회적 복수자로서의 역할, 그리고 예언자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에 영화 『샤먼』 은 오늘날 카자흐스탄에 필요한 인식을 전달하기 위해 샤머니즘의 영성을 소재를 활용하여 사회의 모순을 배출하는 출구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감독은 대다수 카자흐인들의 무의식에 녹아 있는 문화 결정체인 샤머니즘을 부각시키며, 과거 유목민의 삶이 포용하는 그들의 정체성을 강조한다. 더불어 샤먼의 의례를 통해 카자흐인들 내면의 치유와 함께 어린아이의 회생(回生)으로 대변되는 건강한 미래를 염원하며, 포스트소비에트 카자흐스탄 영화에 등장하는 샤먼의 캐릭터를 또 하나의 영성 부활의 모델로 재정립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Kazakh nostalgia for a new spirituality reproduced in the shape of neo-shamanism by Guka Omarova’s film <Native Dancer>. It also identifies the fact that the director denounces the evils of Western capitalism occupying the post-Soviet Kazakh society. It is extended to his wishes of recover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social vitality, combined with the perspective of eco-feminism. Unlike such films as a spiritualist appears as one of the secondary characters, a shaman plays a starring role in <Native Dancer>. This movie reveals all kinds of the existing social frictions such as the conflict between the contemporary culture and the nature, the collision between modernity and primitiveness, the clash between rur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coexistence of material civilization and shamanistic world view, and the criticism against contradictory and irrational elements in Kazakh society. In this situation, shaman heals the wounded hearts of Kazakh people, preserves the tradition and nature, and also plays role of a prophet. It is clear that the shamanism is not a simple superstition but a main axis of the spiritual world, which can never be destroyed in the consciousness of the Kazakh people, and a source of strength maintaining the Kazakh national identity.

      • KCI등재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머위잎 첨가식이가 골대사 지표와 골밀도 및 골함량에 미치는 영향

        박영은(Young-Eun Park),최미자(Mi-Ja Choi)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2

        머위는 폴리페놀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특히 머위 잎에는 푸키놀릭산, 플라본 글리코시드, 페닐프로페놀 술폰산 등의 폴리페놀이 풍부하며 참취나 씀바귀에 비해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무기질이 풍부하다. 이처럼 무기질과 기능성물질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머위는 옛날에는 새순은 말려서 달여 마셨고 최근에는 말린잎 외 티백 형태의 차로 판매되고 있다. 폴리페놀과 칼슘이 풍부하여 골대사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정되나 다량의 식이섬유는 칼슘흡수를 저해시키므로 골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머위가 골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6주간 10% 머위잎첨가식이를 섭취시켜 골대사 지표와 골밀도 및 골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rosslinks value는 대조군에 비해 머위잎첨가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없었다. 척추 골밀도 및 골무기질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칼슘이 충분한 상태의 성장기수컷 쥐에서 칼슘과 폴리페놀이 풍부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머위잎 10% 첨가 식이는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말린 머위잎을 그대로 섭취한 경우이며, 머위잎을 우려서 마시는 경우식이섬유의 섭취가 감소하게 되므로 머위 추출물이나 머위를 우려서 마시는 머위차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Petasites japonicum leaf supplementation on the bone markers,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growing male rats. Sixteen Sprague-Dawley male rats (body weight 50 ± 10 g)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and P. japonicum leaf group. All rats were given deionized water and diet ad libitum for six weeks. The P. japonicum leaf was added to the AIN-93G at 100 g/kg diet. The BMD (bone mineral density) and BMC (bone mineral content) were measured using PIXImus (GE Lunar Co, Wisconsin). The calcium,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ALP) levels in the serum and deoxypyridinoline (DPD), creatinine, and urinary crosslinks value were estimated. The data are presented as the means ± SDs, and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P<0.05.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9.3 (SAS Institute). The food intake,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similar in the two diet groups. The serum calc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unaffected by the P. japonicum leaf diets. The serum ALP and urinary DPD, and creatinin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 japonicum leaf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P. japonicum leaf group had a lower crosslinks value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ine and femur BMD and BMC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of rats. P. japonicum leaf supplementation (10%) did not affect the bone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 KCI등재

        자먀찐의 소설『우리들』의 국제성과 예술적 반향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1

        학문과 종교와 예술의 독단화가 ‘사고의 엔트로피’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보았던 자먀찐의 우려는 인간의 정신을 반영하는 ‘언어’에서 일차적으로 부각된다. 권력으로 자기 의지를 관철하려는 사람들은 물리력을 쓰기 전에 먼저 언어를 장악하여, 인간의 ‘정신’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우리들』에 나타난 ‘화석화된 언어’라는 측면에 주안점을 두고, 언어를 통한 ‘사상’ 통제, ‘과거’ 통제, ‘예술’ 통제의 양상이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와 조지 오웰의 『1984』등의 디스토피아 문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자먀찐은 인류의 과거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통해 미래를 직시하면서, 언어의 상징성과 심미성을 지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다했던 작가였다. 또한 자신의 언어관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그가 『우리들』에서 구축한 다양한 ‘언어 패러다임’은 『멋진 신세계』와 『1984』와 같은 작품에 영향을 주어 ‘문학의 국제화’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The warning of E. Zamiatin who considered that the arbitrary decision and execution in science, religion, and art would bring out the entrophy of thought appears at first on the field of ‘language’. It is because the man carrying out his dictatorial will primarily controls the language in order to sway the world under his governance. In this respec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We on the literature of dystopia such as Brave New World and 1984 focusing the control over ‘ideology’, ‘the past’, and ‘art’ in the medium of the language control in the society. It is common for the authors of anti-utopia, such as E. Zamiatin, A. Huxley, and J. Orwell, to regard the language control as the most effective weapon for censorship of human thought. The language simply falls into a set of brainwashing tools in the highly civilized societies of the above-mentioned works. The phrase "petrifaction of language" contains the meaning that the spiritual heritage of human history cease to exist together with the petrified language. In the above-mentioned three works, the mode of discontinuation dominated as the usage of language differentiated from the past. As is well-known E. Zamiatin, J. Orwell, and A. Huxley are the authors of devotion to science and Western civilization. However, they give us a warning out of recognition that the science without considering humanity is danger itself and, therefore, they try for us to see it in a new light. Although it was possible that they were in anticipation of the tragic future of both human beings and literature by the result of the scientific development, it is far from meaning that they were against the advance of science. Furthermore, they are the literati who are able to find a new meaning of imagination through science and to defend the original function of literature. The importance of E. Zamiatin’s novel We lies in the fact that it has provided the basic structural paradigm of language for the after coming writers of dystopia.

      • KCI등재

        한-카자흐스탄 문화협력을 통한 박근혜 정부의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위한 제언

        박영은(Park, Young-E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아시아문화연구 Vol.39 No.-

        본고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4대 국정운영 기조의 하나로 내세운 ‘문화융성’의 실질적 추진이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협력을 위한 로드맵으로 적용 · 확대하기를 제안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가 제시한 인문정신으로 문화융성의 길을 열기 위한 7대 중점과제 가운데 ‘인문정신문화 분야 국제교류 활성화’는 카자흐스탄과의 문화교류와 협력을 위한 실천 과제에도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금까지 한 · 카 문화협력에서의 문제점을 직시하는 동시에 한국과 카자흐스탄 역사의 접점이 될 수 있는 인문정신 부여가 현 정부의 문화융성 슬로건에 상응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이며, 이것이 어떤 새로운 문화렵력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박근혜 정부가 진정으로 문화융성과 인문정신 부활을 원한다면 어떤 가치를 지켜야 할지, 특히 이것이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협력 매개점으로 언급하는 고려인에 대한 재인식과 그들의 삶이 예술로 승화한 현장을 어떻게 복원시킬 수 있는지를 고심했다. 더 나아가 카자흐스탄과의 교류에 있어서 한류의 인기에 힘입어 《주몽》이 나 《대장금》 같은 인기 드라마 몇 편이나 K-POP에 의존해 정부 주도로 노력해야 하는 협력 또는 지원을 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우려를 극복할 수 있도록 현 실상을 짚어보고 문화렵력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우리 정부는 양국의 국제협력을 관행적으로 친선방문이나 문화교류 정도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한-카자흐스탄 문화 협력에 대한 가치 있는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며 유라시아 시대를 맞이한 한-카자흐스탄의 교육 협력 추진,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체계적 연구 및 예술인들을 위한 필드 스테이션(Field Station) 구축, 고려인들의 구전자료 및 창작자료에 대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아카이브 작업,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역사문화 기념사업과 OSMU 결합 방식 모색으로 박근혜 정부의 ‘인문정신문화’ 확산과 카자흐스탄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The concept of promoting a humanistic and cultural ethos can be applied to Korean-Kazak cultural cooperation, since the life and art of Koryo-ins in Kazakhstan share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the humanistic and cultural ethos that Korea is trying to promote. For the sake of Korea’s own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it is crucial for us as well to understand the history, culture and art of the Koryo-ins. It is hoped that the Park administration’s cultural policies will be implemented in a way through which the Korea-Kazak relationship can grow stronger, and in this sens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1)Korean-Kazak educational cooperation in the ‘Eurasia era’, 2)systematic research on the Koryo-in diaspora literature, and creation of ‘field stations’ for artists, 3)digital archiving of oral and creative records of the Koryo-ins, 4)commemorative historical projects between Korea and Kazakhstan, and the one source multi-use concept. The Park administration has prepared a variety of education and other programs to spread the liberal arts spirit in our society, and to enrich the national culture in the longer term. This approach that has just been implemented in Korea needs to be promoted outside of Korea as well by creating synergies with the government’s ‘Eurasia Initiative.’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 should pay greater attention to another form of our history, culture and art that has blossomed in Kazakhstan.

      • KCI등재

        A Study on the Literary Activities and Performing Arts of Soviet Korea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Focusing on the anti-Japanese struggle and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ethnic consciousness -

        Park, Young Eun(박영은)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고려인들의 활동공간이었던 ‘극동 아시아’를 독립투사들의 공간으로만 제한적으로 인식하고, 이 곳이 문화예술인들의 항일의식이 대중적인 문화운동으로 전개된 곳이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일제강점시기 러시아극동 아시아에서 활동하던 고려인 예술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일본의 제국주의적 야욕을 규탄하며 우리의 민족혼을 되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그 대표적인 작가로서 본고에서는 일제의 침략과 식민화, 디아스포라의 고난에 대해 뚜렷한 문제의식을 지니고, 문학 특히 연극을 통해 그 정신을 드러내고자 했던 조명희, 연성용, 태장춘 등의 작품세계를 중점적으로 고찰했다. 그리고 그들이 표명했던 소비에트 혁명정신과 연계한 항일저항의식 및 사회주의 민족의식 표출, 한국 고전작품의 각색 및 수용을 통한 민족의식 고양, 실존인물의 문학적 현실화와 실제 영웅에 대한 극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고려인 문학의 선구자로 일컬어지는 조명희의 행보에서도 나타나듯이, 소련의 사회주의 혁명 이후 고려인들은 소비에트의 혁명정신과 일본에 대한 저항정신을 동일시했다. 그들에게는 일제로부터 해방되기 위해서는 소비에트와 연합하여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 급선무였기 때문이다. 또한 연성용과 태장춘의 경우에는 조선의 고전작품들을 새롭게 부활시키며 각색이나 재상연을 통해, 그리고 그 연극에 삽입된 노래들을 통해 민족의 뿌리를 잊지 않으려는 노력을 경주하는 동시에 현지의 문화예술과 융합되며 다문화적 변용을 보여주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극동아시아에서 창설되어 중앙아시아로 이전하게 된 ‘고려극장’이 고려인들의 정신을 결속시키며 문화정체성을 고양하는 요람이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This study was found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 space of Soviet Korean people, the Far East Asia, is rec ognized as being limited to the space of independent fighters, and that little is known in Korea about the anti-Japanese consc iousness of Soviet Korean cultural artists and related popular cultural movements. Writers who were the focus of this study such as Cho Myeong-hui, Yeon Seong-yong, and Tae Jang-chun, among others, come to gain distinct ideologies and awaren ess by living through the Japanese aggression, colonization, and weary life of diaspora from a young age, and sought to reve al these things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in their plays. As examples, the discussion centered on the expression of anti-Ja panese resistance and socialist national consciousness in conjunction with the Soviet revolution, the uplift of ethnic conscio usness through the adaptation and acceptance of Korean classical works, the literary realization of existential figures, and th e dramatization of real heroes. Now is the time to reassess their feats and conduct more full-fledged research into their work and performances.

      • KCI등재

        영상의 정치학인가?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3

        본 논문에서는 구소련 붕괴 후 분출된 민족문제로 인한 코카서스 지역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그 희생자들의 문제를 아르메니아 출신 감독 나탈리야 벨라우스케네(Natalya Belyauskene)가 제작한 영화 〈이프 에브리원(If everyone)〉을 통해 분석하며, 분쟁 이후 20년 이상이 지난 시점에서 전쟁 당사국들이 이 문제를 바라보고 체화하는 시선을 살펴보았다. 현재 이 지역은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분쟁 해결 원칙에 대한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의 입장 차이가 커서 해결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아르메니아와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인 공동체가 주장하는 ‘민족자결의 권리’에 대해 아제르바이잔은 국제법상의 ‘영토보전 원칙’을 주장하며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국제관계상의 분쟁 문제에 대한 정보를 얻고 그 문제를 성찰할 때 ‘영화’가 최고의 매체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미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시대의 사건을 예술적 극화를 통해 제시하며 국제사회에 이 문제를 둘러싼 인식과 지식을 넓히고 각성하는데 영화가 폭발적인 힘을 지니는 것은 분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고에서는 일차적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 영유권 분쟁의 원인과 민족 트라우마(trauma)의 배경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과 은닉된 내러티브를 숨가이트(Sumgait) 대학살의 기억 찾기와 힐링(healing)의 전략, 아르메니아의 영성과 종교적 정체성 부각 전략,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영토 보존과 미래를 향한 희망 제시 전략으로 각각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는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양국의 문제이지만, 〈이프 에브리원〉은 아르메니아에서 제작된 영화임을 감안해 아르메니아가 영화를 통해 국제사회에 알리고자 한 메시지는 무엇인지,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서사 전략은 무엇인지를 추적해보았다. 더 나아가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전쟁과 갈등에 대한 재현, 그 정당성에 물음을 던졌다.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을 둘러싸고 역사적으로 아르메니아인에게 ‘숨가이트 대학살’의 고통이 있었듯이, 아제르바이잔인에게는 ‘호잘리(Khojaly) 학살’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영화의 경우에는 아르메니아가 제작한 것인 만큼, 자국의 시각에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둘러싼 상황을 묘사한 것은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하지만 영상을 통한 역사의 재현 방식을 분석하는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상반된 입장을 취하는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양국의 입장을 분석하는 작업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양국의 시선을 객관화하며 균형감 있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야말로 양국의 심리적 고통을 공감하며 그들이 평화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Analyzing the problem of regional conflicts in Nagorno-Karabakh of the Caucasus through a film 〈If everyone〉,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f national identity of the two countries: Armenia and Azerbaijan. The film produced by an Armenian director Natalya Belyauskene deals with the problems of ethnic issues and the victims of war between Armenia and Azerbaijan. Currently, despite the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prospect of resolving the disput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uncertain. It is true that a film is not the best medium getting some objective and accurate information.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a film is one of the most powerful weapons to awaken the people, presenting an issue, and expanding the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the case. Delivering these views effectively, this paper, at first,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causes of territorial dispute in the region as well as of the ethnic trauma. After that follows an investigation on the Nagorno-Karabakh war, using the Armenian national wound, such as the massacre in Sumgai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film 〈If everyone〉 was produced in Armenia, this paper traces what message Armenia intends to inform to the world through the movie and what the strategy is to deliver it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 페레스트로이카와 러시아 ‘은세기’ 정신문화 유산의 부활

        박영은(Park, Young 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본 논문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정교의 부활과 더불어 새로운 담론의 장으로 활성화된 19세기 말 20세기 초 러시아 은세기 종교 철학의 두 축을 형성하고 있는 솔로비요프와 표도로프의 역사관을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복잡하고도 모순적이라고 일컬어지는 은세기의 다양한 철학적 탐색을 아우르는 동시에, 이것을 거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의 사상을 고찰하면서 오랫동안 금서로 지정되어 있던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에 대한 이해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의식의 변화를 보이고 있는 러시아에 어떤 의미를 던지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론으로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의 세계관에서 출발하여 그들의 물질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인간 의식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근거가 되며, 또한 이것을 토대로 그들이 세계 진화와 역사의 과정, 그리고 인류의 미래상을 전개해 나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솔로비요프가 ‘소피아론’을 통해 세계의 ‘전일성’의 과정을 보여주었다면, 표도로프는 인류가 당면한 ‘공동의 일’의 수행을 위한 구상을 제시함으로써 ‘사랑’을 통한 인류의 ‘전체성’을 강조한다. 과거와 단절하고 계급투쟁을 통해 인간의 평등을 지향했던 소비에트의 이데올로기와는 달리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는 결과적으로 과거 를 계승하고 선조들을 부활시키는 공동의 노력, 다시 말해 신의 왕국을 성취하려는 공동의 노력을 통해 진정한 의식의 진보가 가능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즉 그들은 개개인이 자율성을 잃지 않는 독립된 개체이면서도 ‘큰 하나’를 이룰 수 있는 인류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비단 러시아의 은세기 뿐만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하여 현재의 우리에 게도 새로운 정신문화의 패러다임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cultural movement of Silver Age, despised as ‘decadence’ by the Soviet regime, came to public notice as a result of the ideology and the policy of Perestroika. The cultural heritage of Silver Age was again activated,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 period of Perestroika.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 of the heritage is in the Russian Orthodoxy and the philosophy of religion. In this regard, a survey of various philosophy of Silver Age, especially the religious philosophy of both Nikolai Fedorov and Vladimir Solovyov i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viewpoints of both philosophers of religion are regarded totally different each other, even though the majority of scholars agrees that they share their philosophical origin in common. Considering such points of 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drawn by the result of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survey. First of all, the ideology of both Fedorov and Solovyov shows a synthetic outlook on the world, which connects theory with practice, spirit with material, science with philosophy. Contrary to the existing Christian viewpoint, they do not distinguish the spirit from the material, but regard the material as a foundation for a new spirit. Both of them borrow such ideas as ‘evolution’ and ‘resurrection’ from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to ensure their ideas of human spirit and consciousness. Secondly, they suggest the directive of human soul through the medium of evolution and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resurrection, which means a conquest over death, is come to the fore as a triumph of the spirit over the material. It is resurrection for them to reorganize the distorted condition of the material world by both the struggle and the triumph over death. Thirdly, they consider human nature united in the process of world evolution and human history. While Solovyov presents the process to the wholeness by the medium of the theory of Sophia, Fedorov puts great emphasis on the inevitability of human union through the ‘common task’, which mankind is confronted. However, it is different for them to bring forward such wholeness. It is more important for Solovyov to go ‘forward’ because he lays emphasis on the future, while for Fedorov ‘backwards’ and the past. Such ontological consideration on human beings is connected with that of the Russian intellectuals, who try to find a solution for their motherlan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Therefore, it may be regard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on for religious philosophers such as Fedorov and Solovyov presents unique opportunities not only for a new paradigm of spiritual culture but for a groping of the change after the ‘Perestroik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