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산성 잡음에서 참고 관측량을 쓰는 간단한 구조의 비모수 확률 신호 검파기

        박애경,송익호,배진수,Park, Ae-Kyung,Song, Iick-Ho,Bae, Jin-Soo 한국통신학회 200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8 No.4

        정규 관측량은 물론 참고 관측량을 쓰는 비모수 검파기의 검정 통계량은 정규 관측량만을 쓰는 비모수 검파기보다 더 간단하다. 부호 통계량 대신에 참고 통계량을 사용함으로써 적산성 잡음에 숨겨져 있는 확률 신호를 위한 간단한 검파기 구조를 얻을 수 있다. A simpler nonparametric detector test statistic based on reference observation in addition to the rank statistics of regular observations is suggested in this letter. Using reference observations instead of sign statistics helps us a simpler detector structure especially for random signals buried in multiplicative noise.

      • KCI등재

        유전체 연관 연구에서의 검정력 및 연구대상수 계산 고찰

        박애경,김호,Park, Ae-Kyung,Kim, Ho 대한예방의학회 2007 예방의학회지 Vol.40 No.2

        Power and sample size estimation is one of the crucially important steps in planning a genetic association study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identifying candidate genes for disease susceptibility, by designing the study in such a way as to maximize the success possibility and minimize the cost. Here we review the optimal two-stage genotyping designs for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recently investigated by Wang et al(2006). We review two mathematical frameworks most commonly used to compute power in genetic association studies prior to the main study: Monte-Carlo and non-central chi-square estimates. Statistical powers are computed by these two approaches for case-control genotypic tests under one-stage direct association study design. Then we discuss how the linkage-disequilibrium strength affects power and sample size, and how to use empirically-derived distributions of important parameters for power calculations. We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publicly available softwares developed to compute power and sample size for various study designs.

      • KCI등재

        부분응답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한 PRML 검출 방법

        박애경,이재진,Park Ae-Kyung,Lee Jae-Jin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9C

        This paper presents a partial response maximum likelihood (PRML) detection method using partial response signal-to-noise ratio (PRSNR) that evaluates the signal quality of asymmetric optical recording channel. It is confirmed that the equalizer maximizing the PRSNR value can be most properly adapted to the asymmetric optical recording channel. The proposed PRML detection using this result has 1.8dB SNR gain at $8.5{\times}10-5$ bit error rate compared to PRML detection using typical adaptive equalizer. 본 논문은 광기록 채널에서 신호의 질을 평가하는 부분 응답 신호대잡음비(PRSNR) 방법을 신호 검출에 응용한 부분 응답 최대 유사도(PRML)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비선형적인 요소가 많은 고밀도 광기록 채널을 적절히 적응 등화하기 위해서는 최대 PRSNR 값을 갖는 등화기를 선택하여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PRML 검출 방법은 기존의 적응 등화기를 사용한 PRML 검출 방법과 비교하여 $8.5{\times}10-5$ 오류율에서 1.8dB의 성능 이득을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보육실습 후의 예비보육교사의 자아개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변화

        박애경(Park, Ae-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보육실습후의 예비보육교사들의 자아개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기지역 D전문대학의 보육교 재학중인 예비보육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보육실습 전‧ 후 자아개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자아개념은 보육실습전 후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은 보육실습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student-teachers' self-concept and teachers' efficacy beliefs on play. For this study , the tool used were an self-concept inventory and the scale of teachers' efficacy beliefs on play after pre-practical teaching and apprentice-practical teaching alik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 student teacher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two matched pair T-test from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student-teachers'self-concept had no changed by day care settings. Second, teachers' efficacy beliefs on play decreased by day care settings.

      • KCI등재

        〈어부사시사〉의 현대 대중문화로의 변용 가능성과 그 의미 : 송골매의 〈어부사시사〉를 중심으로

        박애경(Park, Ae-kyung) 한국시조학회 2019 시조학논총 Vol.50 No.-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는 한국 강호시가의 미학을 최고조로 구현한 명편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보길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지은 이 작품은 문인 이전에 정치인, 생활인, 유배객, 풍류객 등 여러 얼굴을 가진 윤선도의 삶이 투사된 작품으로도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우리 문학사에서 확고한 고전으로 자리잡은 〈어부사시사〉의 현대 대중문화로의 변용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어부사시사〉를 가사로 차용하거나, 이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현대음악 사례를 점검하고, 그 재현 양상을 살피려 한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1980년대 대표적 록밴드인 송골매의 〈어부사시사〉를 통해 대중문화로의 변용 사례를 주목하고, 그 의의를 탐색하였다. 문인의 강호시조와 록 음악의 조합은 장르의 성격 상 매우 이질적인 조합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강호사시사〉가 지닌 사시가로의 형식적 완결성, 장소에 대한 애착과 여기에서 야기되는 ‘귀환’의 정서와 그 정점에서 발휘되는 흥의 감각이 록이라는 이질적인 장르와 결합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 주목하였다. 송골매의 〈어부사시사〉는 캠퍼스 밴드 활주로 시절부터 ‘한국적 록’을 추구하였던 송골매가 멤버들의 이합집산을 겪으며 음악적으로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곡이다. 그들이 원년 멤버와 함께 음악적 초심을 찾으려 했을 때의 화두가 ‘한국적 록’이었고, 〈어부사시사〉는 그들의 음악적 귀환을 알리는 곡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송골매의 음악적 실천을 통해 윤선도의 〈어부사시사〉가 시대와 장르를 초월하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연에서 느끼는 자족감을 정과 동이 교차하는 구어의 자연스러운 호흡 속에 담아낸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는 자연에 대한 동경 혹은 귀환에의 의지를 ‘감각’으로 일깨운다는 점에서 현대 대중문화로, 대안적 라이프 스타일로 여전히 확장 가능성이 큰 원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Yoon Sun-do’s 〈Eobusasisa(Songs for Fishman’s four seasons)〉 is considered to be at the peak of Korean “Kanghogado”(traditional nature poetry) in terms of literary achievement. This work, which was made during his exile life in Bogildo, can be seen as a project in which life of Yoon Sun-do. He is known as has many faces such as politicians, living persons, exile persons as well as literarie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ransforming the 〈Eobusasisa(Songs for Fishman’s four seasons)〉, which has become a solid classic in our literary history, into modern popular culture.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inquire into the works of contemporary music which borrowed from 〈Eobusasisa〉 as lyrics or inspired by this masterpiece at first and try to search the aspects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case of the transformation into modern popular culture through 〈Eobusasisa〉, made and performed by ‘Songgolmae’ which occupied prominent position in the fields of Rock music in the 1980’s and tries to reveal the it’s meaning. Needless to say, the combinations of Confucian literary’s nature poetry and Rock music are unfamiliar. This study tried to seek the reason why this type of heterogeneous combinations were possible. It is noted that the original text 〈Eobusasisa(Songs for the Fishman’s four seasons)〉 is the competed and well-organized song with a certain narrative as a representative work of Sasiga (Songs depicting four seasons). Songgolmae’s long-term effort to implement Korean rock music was also a main reason to adopt Yoon Sun-do’s work for their music. It can be said that this song was a reminder of their musical return.

      • KCI등재

        현장 교사교육을 통한 수업 전문성 신장 과정 탐구 : 세계시민교육을 사례로

        박애경(Park, Aekyu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8 글로벌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교사교육 방법들을 통해 현장의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 분야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켜나가는 과정을 서술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더 나은 교사 교육 체제를 구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관련 분야의 교사연 수, 교원학습공동체 토론, 연구기관 연계 협력적 실행연구 등 현장에서 진행되는 교사교 육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들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수업 지도안과 교사 인터뷰, 학습공동체 토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에 활용된 세계시민교육은 최근 글로벌 사회의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 및문제해결을 위한 인지적, 공감적, 행동적 역량을 포함하는 변혁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교사들의 전문성 강화에 적합한 주제로 판단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교사교육이 수업에 반영되는 양상을 Schön이 제시한 수업의 반성적 앎의 단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 교사들은 먼저 교원 연수 및 연구회에서 주제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수업 구성에 적용하는 실천지를 구성하였다. 이후,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바탕으로 주요 개념을 심화하고 교원학습공동체 토론을 통한 교수학습방법 개선 논의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실제 수업 후 반성으로 자신의 수업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실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현대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에 대한 교원 전문성 향상을 위해 현장 교사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하나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field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through various teacher education method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better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the research, I investigate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such as teachers’ training course, teacher learning community, cooperation with research institutes. And I check the effect to the teachers’ lessons of these using lesson plans, teacher interviews, discussion contents of learning communities. The GCED used in the resear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n education to nurture citizens of the global society and has a transformational nature including cognitive, empathic and behavioral capacities for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This was judged to be a suitable theme for strengthe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pect of reflection of teacher education in class in the course of study, according to the level of reflective knowledge of the class presented by Schön, it is firstly understood that basic understanding of subject is understood in teacher training and research meeting. After that, based on the consultation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teachers deepened the main concepts and debated how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discuss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Finally, after reflection on the actual class, They are able to look back on class and set the future direction of practice. This process can provide one possibility for on-site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eacher professionalism for various modern educational needs.

      • KCI등재
      • KCI등재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놀이 활용 가능성 탐구

        박애경(Park, Aekyu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0 글로벌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놀이의 특성을 활용하여 변혁적 성격의 세계시민교육을 교육 현장에서 실천할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먼저, ‘교육적 목적의 놀이’를 정의하고 변혁적 세계시민교육과의 연결점을 찾아보았다. 지속적인 행동 변화를 통해 개인과 사회의 변화를 추구하는세계시민교육은 변혁적 교수법을 필요로 하며 교육방법으로서 놀이가 가지는 특징은 세계시민교육의 변혁적 성격을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들의 교사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해 ‘놀이’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을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계시민교육의 학습 목표 중 인지적 영역보다 사회정서, 실천 및 행동 영역이 더 많이 적용되었으며다양성 존중, 적극적 행동에 참여, 실생활 연계에 해당하는 변혁적 교수법이 강조되었다. 이러한분석에 따라, 행동과 실천을 지향하는 세계시민교육에 놀이 방법의 사용이 지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놀이와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의미, 학교 현장 적용에의 어려움 등을 연구공동체 토론을 통해 성찰하여 연구 주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구성원들의놀이 활동 공유를 통한 상호 교차적용, 공통 놀이 교구를 활용한 수업의 비교가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학생 수, 학생 수준 등의 교실 상황에 따라 다채롭게 변형 가능한 놀이의 활용 가능성과함께 변혁적 교육의 주체로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 또한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ransformat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chool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y. First of all, the meaning of play for educational purposes was defined, and thereupon the connection point with transformat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was found. As GCED pursues personal and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continuous behavioral change, it requires a transformative pedagogy. The research argu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lay can meet this demand of the transformative nature of GCED. Based on this discussion, GCED using play was applied to each class and analyzed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of Lead Teachers. As a result, among the learning objectives of GCED, it was applied more to social emotion, behaviors, and action than to the cognitive domain. The transformative teaching method corresponding to respect for diversity, active participation in behaviors, and the real-life connection was emphasized. According to this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play in GCED, aiming at action and practice. In addition, the meaning of play and transformational GCED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to the school were discussed in the learning community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In the research process, cross-application through sharing of play activities among members and comparing classes using common play tools were attempted. By doing so,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 s role as an agency of transformational education was confirmed, along with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lay in various classroom situations such as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level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