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실행 분석: 특수학교의 '통합교육'을 향한 시도

        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4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implementation of link programs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in Korea: Special schools' 'inclusive education' attempts 본 연구는 분리교육 환경인 특수학교의 통합을 향한 노력의 맥락에서 시작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전국 실태를 조사하여 현재 초보적 시행에 있는 연계 프로그램의 쟁점들을 판별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국내에서의 첫 번째 전국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 개발, 실행, 평가, 및 지원 전반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여, 이 연계 프로그램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개발과 실행에서의 쟁점들을 판별하여 종합하고,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1차적으로 조사하고 그의 대상학교인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2차적으로 조사하여, 양 학교간의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구체적 자료 및 양 학교의 관점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한 학교들은 전국적으로 특수학교가 66개교, 일반학교가 47개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첫째, 연계 프로그램 실시의 기본정보; 둘째,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과 개발; 셋째, 연계 프로그램의 실행; 넷째,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와 지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의 다양한 측면에서 양 학교가 다른 관점을 보였으나, 연계 프로그램의 향상과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의 지적은 공유된 시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일반학교의 통합교육 내실화에 주로 정책적 배려 및 연구적 관심이 집중된 한국적 특수교육 상황에서 특수학교의 통합을 향한 연계 프로그램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초보적 시행의 묘사적 자료들을 처음으로 제공하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활성화 지원책과 미래 발전 방향성을 탐색하였다는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주제어> 통합교육, 특수학교 변화, 연계 프로그램, 통합 프로그램

      • KCI등재

        전국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분석: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대한 함의

        박승희,김지수,이성아,양여경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대학교 法學 Vol.6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law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and to generate some suggestions for law school educat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y Questionnaire(K-ATTID) developed by Kim & Park(2018) was used to measure the multidimentional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of 541 students randomly selected from eleven law schools nationwide.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 36 items of K-ATTID by 5 point likert scale(5: very true to 1: not at all). The higher the score on the items of K-ATTID, the more positive was th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The mean of 541 students’ multidementional attitudes was 3.53,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not positive but medium level of attitudes. The respondent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persons with severe ID compared to persons with mild ID. The respondents’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gender, degree of inclusive classes in their earlier schooling, lengths of volunteer works, and number of acquaintance with ID were related with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hat examines the law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and brings out the issue that enhancing lawy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is critical for providing high-quality legal services for persons with ID. This study can promote the need for reexamination of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law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nurture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law school students and lawyers and to provide high quality legal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예비 법조인인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및 3가지(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하위태도의 수준과 양상 및 배경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를 국내에서 최초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진은 예비 법조인과 법조인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위해 태도의 중요성 문제를 제기하며 긍정적 태도 육성에 관심과 교육 기회 증진을 촉구하며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전국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조사」라는 무기명 질문지이며, 태도 척도는 2018년에 김유경과 박승희가 타당화한 도구인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ATTID)」이다. 전국 로스쿨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11개 로스쿨에서 표집된 총 541명 예비 법조인의 응답 자료가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및 추리통계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전국 11개 로스쿨의 541명 예비 법조인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의 평균은 5점 라이커트 척도에서 3.53으로 3점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3가지 하위태도 수준은 인지적, 행동적, 정의적 태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적장애인의 지적기능성 수준에 따른 태도 차이는 경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중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배경변인 중 성별, 장애학생과의 통합수업 경험, 장애인 대상 봉사활동 기간, 알고 있는 지적장애인의 수가 예비 법조인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국 로스쿨 운영 10년 차를 맞은 현시점에서 본 연구 결과가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지니는 함의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1920년대 시적 주체와 여성 화자

        박승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3 No.-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female speakers found in poems in the 1920s in terms of the autonomy of modern poetry. In the middle and second half of the 1920s when periodic demand for realistic imagination and new consciousness for poetic subjects were widespread, the then poets came to create various poetic meanings and stream of poetic history through female speaker. Especially, female speakers who appeared constantly as speakers in modern poetry in the discourse of nationalism have been in fact othernized not as poetic subjects but as the realization of male desire. This writing investigated the poems by Kim SoWol, Han YongUn and Lim Hwa who were leading poets and introduced female speakers in a full-scale in the 1920s in their poems. The females in Kim SoWol's poems represented suppression and othernization through the imaginative identification for Nim (the Protean Beloved). In the poems of Han YongUn, they demonstrated the limitations by othernizing physical female bodies while showing dismantling masculine nationalism through motherhood. It has been found that the femininity that sisters and Suni had in Lim Hwa's poems was othernized by masculine desire such as class-oriented abstract or 'Oppa' (elder males mainly called by younger females) or 'Na (me).’

      • KCI등재

        ‘꽃보다 봉사’ 어린이집 봉사학습에 참여한 장애 및 비장애 초등학생과 유아의 경험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박승희,장혜성,전상신 한국특수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rvice-learning program as one of elementary students’ club activities that require direct services at a daycare center nearby the school, to implement the program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ervice-learning on students and preschoolers via a qualitative inquiry. The participants were 11 students and 20 preschoolers and teachers and assistants. The service-learning program, called as ‘Better-than-Flowers,’ visiting S daycare center and doing various activities together as ‘elder sisters and brothers from the school’ was carried out 10 sessions on every Friday for one semester with each session for 90 minute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students’ journals.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an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nalyses member check and triangulation were applied. As results of this study, three area of main themes and 13 subsequent themes were derived. Overally, effects of participation in daycare center service-learning were positive on elementar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preschoolers. Several distinguished aspects of ‘Better-than-Flowers’ service-learning were discussed in terms of social-emotional growth of the participants and enhancing curricular and social inclusion among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통합교육 환경에서 동아리 활동으로 직접 봉사학습, ‘꽃보다 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후 참여 학생들과 유아들의 변화를 질적연구로 알아보는 것이다. 참여 학생들은서울 소재 A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로 ‘꽃보다 봉사’ 동아리에 자원한 장애학생 2명과 비장애학생 9명이다. 봉사학습은 지역사회 내 S어린이집에서 실시되었으며 5학년 1학기의 교육과정과 학습목표를 분석하여 주제를 선정하고, 활동은 어린이집의 유아들과 함께 할 수 활동으로 구성하여, 주 1회, 총 10회기가진행되었다. 유아들을 돌보는 봉사학습을 한 초등학생들과 돌봄을 받은 어린이집 유아들이 어떠한 경험과 변화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매 회기 학생들이 기록한 일지와 참여교사들이 작성한 관찰일지, 학생들과 참여교사들의 소집단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질적자료를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는데연구자간 및 자료간 삼각검증과 참여자 확인 절차를 거쳐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였다. 분석 결과 비장애학생의 성장과 변화, 장애학생의 성장과 변화, 유아의 성장과 발달 촉진이라는 3가지 주제영역과 13가지 하위 주제들이 추출되었다. 비장애학생들의 경우, 유아들을 돌보는 과정에서 자신감과 이타심, 진로탐색 및 장애학생들에 대한 새로운 긍정적 인식의 변화에 대한 주제가 나타났다. 장애학생들은 봉사자로서의 성공적 수행 경험과 자신감 및 자기조절력의 증가, 비장애학생들과의 다양한 상호작용, 학교생활의새로운 즐거움을 경험한 것으로 주제가 나왔다. 유아들은 초등학생 언니․오빠들의 행동과 구어를 모방하며 친사회적 행동과 활동 참여가 높아지는 등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개발된 직접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참여 장애학생 및 비장애학생과 유아를 통해 밝혔다는 점과 지역사회로 봉사학습의 영역을 확장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북한에서 서정시 교육의 현실적 의미 연구

        박승희 한국문학교육학회 2004 문학교육학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literary-educational aspects of North Korean lyric poetry. Writing lyric poems has been the major trend in North Korean literature since 1980s. This is why new social environment has been forrned in North Korean society since 1980s. In contrast to former times, the atmosphere of North Korean society was being changed by the break of socialist economy caused by the crisis of rural economy, social disturbance, and a sense of fatigue to unitary system of 'JuChe' and so on. Under these circumstances, Kim Jung-I11 came on the political stage, and took charge of literary policy. Therefore, converting realistic social atmosphere and reorganizing people s senses for new age were an important problem to Kim Jung-Ill. In this tendency of the times, lyric poetry was compused as an important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e literary function of lyric poetry placed the focus on the matters as follows. First,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regime as well as national identity by stressing national affinity, Second, bringing about social atmosphere by sublimating mode of living, Third, improving socialistic productivity through the lyric vitality of the inner life. The problem of lyricism needed for dealing successfully with schematization, inclination toward prose, similarity, idealization in writing poetry was an issue in North Korean poetry. These various problems in North Korean poetry turned the course to the new du-ec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so on. In conclusion, I think literary-educational function of North Korean poetry will serve as a momentum of considering new aspects of North Korean poetry.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교교육운영계획서에 포함된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내용 분석

        박승희,강경숙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의 학교교육운영계획서에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내용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들이 개발한 5개 하위영역의 21개 분석항목으로 전국에서 표집된 36개 초등학교의 학교교육운영계획서를 분석하였다. 5개 하위영역은: (1)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신념; (2)학교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 (3)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사간 협력; (4)장애학생 참여촉진 및 인식개선; (5)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포함한다. 36개교의 학교교육운영계획서의 내용은 5개 하위영역의 21개 분석항목에 대해 4점 리커르트 척도(0점에서 3점)로 점수화 되었고, 21개 항목의 전체 평균은 1.40 으로서 매우 미흡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는 문서 상에 제시된 통합교육 실행 관련 내용만을 분석한 연구의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학교교육운영계획서라는 학교의 공식적인 운영 지침에서 통합교육 실행이 명시되는 것을 통합교육의 적합한 실행을 위한 중요한 기본 여건의 하나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구성원의 일원인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내용이 학교의 전반적인 운영지침을 나타내는 공식적인 문서인 학교교육운영계획서에 명시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content of inclusive education action plans involved in the schools' official document, Guidelines fo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Management(GESCM). 36 GESCM collected from nationwide elementary schools were analyzed using the indicators for inclusive education action plan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indicators contained 21 items of 5 different sub-areas related to the school policy contents supporting 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levels. The content of GESCM of 36 elemenatary schools were graded employing those indicators with 4 point (0 to 3) likert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n general, the content of inclusive education action plans written in 36 GESCM was not very satisfactory. Given that the Guidelines fo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fficial documents that guide how a school's whole educational programs are planned and managed, I was strongly recommended that every GESCM should properly include the inclusive education action plans which could direct the whole school's efforts and resources to quality inclusive education for all students. Finally, subsequent studies for developing a model for quality inclusive education action plans for elementary school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연수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박승희,나수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9 특수교육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data for developing the contents of in-service training for staff in the group homes run by Seoul Group Home Supporting Center. The questionnaire classified into 10 subcategories with 57 item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by the researchers to assess the staff’s need for inservice-training. The 10 subcategories included: (1) basic understanding of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 the laws related to disability; (3)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4) understanding about group homes; (5) supports for independent lif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6) staff’s roles in a group home; (7) understanding of IPP(Individual Program Plan); (8) behavioral suppor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9) making use of community resources; (10) relation between staff and parents/family. The total of 101 staff of the 101 group homes located in Seoul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self-reported ratings of the 10 subcategories with 57 items of the in-service training contents were high. Subcategories rated highest in the need assessment were behavioral suppor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standing of IPP, and making use of community resources. This study based on the staff’s need assessment was the first study validating the contents of in-service training for staff in group homes.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 aim of provoking a discourse on the nature of the services of group home and accordingly establishing the roles of staff in group homes and advancing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residential services and supported living arran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그룹홈지원센터 산하의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의 연수교육 내용 개발을 위해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질문지 통하여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그들에게 보다 적합한 연수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울시그룹홈지원센터에 소속된 101개 장애인공동생활가정의 종사자 10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수교육 요구를 다음과 같은 10개 영역의 문항들에의 응답으로 수집하였다: (1)장애인서비스의 기본 철학 및 이해; (2)장애인 관련 법; (3)장애 및 장애인에 대한 이해; (4)장애인공동생활가정에 대한 이해; (5)거주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지원; (6)장애인공동생활가정 운영에 대한 종사자의 역할; (7)거주 장애인의 개별화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8)문제행동 지원 방안; (9)지역사회 자원 활용 방안; (10)거주 장애인 부모 및 가족과의 유대. 연구 결과,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은 모든 영역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교육의 필요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장애인의 문제행동 지원 방법, 개별화 프로그램 계획 및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방안 등에 대한 교육에 높은 요구를 보였다. 종사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연수교육 요구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성공적 역할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연수교육의 내용을 처음으로 타당화했다는 의미를 지니며, 종사자의 역할을 정립하기 위해 장애인공동생활가정의 성격에 대한 후속 논의를 촉구하고, 종사자를 위한 체계적인 연수교육 및 관리체계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제기하며, 향후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기초 주거 서비스의 활성화와 질적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