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위험군에 처한 영아 조기선별 교육진단도구의 국내 타당화 연구

        장혜성,서소정,하지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

        본 연구는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을 통해 교사 또는 부모가 영아의 발달수준 및 발달영역별 장점과 취약점을 파악함으로써 장애위험군에 처한 영아를 조기에 선별하고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을 실천하는데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단기종단연구의 일부이다. 본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진단도구를 바탕으로 도구를 표준화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0~36개월 영아 861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도구의 문항양호도를 살펴보기 위해 문항통과율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발달적 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었으며, 검사 점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점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문항변별도가 높았다. 한편, 검사양호도를 살펴본 결과 각 월령집단의 전체적인 문항의 내적합치도가 만족스러운 수준이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공인타당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교육진단도구의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agnostic instrument that can be used to measure developmental level of very young children(aged birth through 36 months old) and screen children at risk.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61 young children who were cared by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or by mothers in homes. The instrument was composed of 344 items in six developmental domains including gross motor, fine motor, communication, social-emotional, cognition and self-help. The data was analyzed by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and reliability as well as validity of the scale. Items reflected developmental level of each age group. Over all internal consistency were relatively high(Cronbach's α = .90~.95), and test-retest(after 2 weeks) reliability was high.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by a panel of experts in child development and special education, and intercorrelations among developmental domains indicated the construct validity. Also, the correlation results between the instrument and K-ASQ supported the concurrent validity.

      • KCI등재

        중도 정신지체 고등부 학생의 지역사회 기능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효과

        장혜성,박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19 No.2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ix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on their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six community use skills. The specific skills trained as community based instruction are six community use skills for general community functioning such as: (1)use of public phones; (2)bus riding; (3)eating out at fast food restaurants; (4)use of vending machines; (5)purchasing at stores; (6)use of automatic teller machines.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wa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he six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group was trained with three different community use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ix participants had learned and maintained successfully all the six community use skills and but participant six showed low performance rate of 34 % in using automatic teller machine due to her Korean illiteracy problems. This study yielded an empirical data that community-based instruction was effective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 mental retardation to increase their general community functioning which was frequently required for their current and future community living.4

      • KCI등재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정신지체 중학생의 지하철, 대형매장, 패스트후드점 이용하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장혜성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0 재활복지 Vol.14 No.4

        시각적단서, 최소촉진법, 시간지연법을 연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정신지체 중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술을 증가시키는 지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인 장애중학생의 내적요인인 나이, 성별, 장애정도에 따라 장애중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술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재장소로는 교실중재와 지역사회중재를 실시하였고, 교수전략은 시각적단서, 최소촉진법, 시간지연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단서, 최소촉진법, 시간지연법을 연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정신지체 중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술중에서 지하철, 대형매장, 패스트후드점 이용하기 기술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장애학생의 나이, 장애정도에 상관없이 지역사회적응기술이 증가되었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지역사회적응기술이 더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시각적단서, 최소촉진법, 시간지연법을 연합한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효과성을 검증하게 되었다.

      • 장애아 보육시설에서의 치료 서비스 운영 지원을 위한 실태조사

        장혜성,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5 특수교육 Vol.4 No.1

        우리나라는 장애아를 위한 보육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서 1996년 1월부터 장애아 국고보조 보육시설 50개소를 신 증축하고 장애아 20명 이상의 장애아 전담 시설에는 장애 유형에 따라서 필요한 치료사를 지원하고 있다. 장애아가 보육 환경에서 적절하게 조기 중재를 받기 위해서는 우선 수혜의 대상을 늘리는 양적인 확충도 중요하지만 질적인 측면의 확보가 절실하다. 이에 조기 중재프로그램 중의 하나로 시행되고 있는 치료서비스의 운영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장애아 보육 규모와 16개 시도의 지역적인 요인을 고려해서 장애 전담 보육시설 50개소와 통합 보육시설 50개소에 언어치료를 포함한 치료 서비스에 관한 운영 및 실태조사를 시설장, 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주요 설문 내용은 치료사 배치 현황,치료사 자격증 소지 정도, 치료 서비스의 제공 형태, 보육교사들과의 협력 정도, 치료사의 주요 역할 등으로 조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서 치료서비스 현황, 치료 제공형태, 미래 치료서비스 계획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 후 한국의 보육시설에서의 장애아를 위한 치료사의 자격 및 근무조건과 치료의 형태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o survey the current conditions concerned with related service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child-care center, the comprehensive data of the specialized and inclusive child-care centers were collected. By analyzing these data,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related service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105 teachers and 146 parents in specialized child-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 sand 55 teacher sand 70 parents in integrated child-care centers responded this survey. The areas of survey were on basic informations of main role of therapists, the numbers of the therapists who have a license, the types of the related service delivery, and collaboration with the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Suggestions on the service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child-care center are given on the basis of the survey results. It is remarkable that study on the related service of child-care center program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done first in Korean with no guide line for related service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KCI등재
      • PECS를 통한 자폐아동의 시각적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고찰

        장혜성,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2 특수교육 Vol.1 No.1

        Communication problems of children with autism cause many kinds of troubles such as inability to express self-drive, improper behavior, and difficulties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inclusion with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Children with autism communicate better with visual information than with auditory information. Thus, merits and misunderstanding of visual communication for the children with autism were stud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PECS that was one of visual communication methods for children with autism being used at the present time in Korea was reviewed. Four basic training steps of PECS, merits of PECS, issues on PECS training process, and reporting effect of clinical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n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more prevalent and effective use of PECS in Korea. Besides PECS, it is suggested that introduction and studies of proper practice on communication methods using visual information for the Korean children with autism are needed. 자폐아동 의사소통능력 문제는 부적절한 문제행동, 대인관계의 문제, 통합환경에서의 부적응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초래한다. 최근 문헌들에서 자폐아동은 청각적 정보보다 시각적 정보를 통해서 더 잘 의사소통 할 수 있다고 보고되는데 현재 한국에는 자폐아동의 시각적 의사소통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폐아동을 위한 시각적 의사소통의 장점과 왜곡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각적 자료를 통한 욕구표현 의사소통 방법인 PECS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PECS의 4가지 기본 지도 단계, PECS의 장점과 자폐아동를 지도할 때에 문제점, 임상연구에서 보고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 한국에서 보다 보편적으로 PECS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공하였다. 앞으로 PECS 방법 뿐 아니라 자폐아동을 위해 시각적 자료를 사용한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들에 대한 도입과 적합하고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또래와의 구조화된 노래활동이 어린이집에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장혜성 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발달장애연구 Vol.18 No.1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verbal and vocal interaction effects of a singing activity program during play time with a total of 9 young children, including 3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t a day care center.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and includes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The singing activity program 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rove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was developed by Jang(2012). The activities consisted of singing a song, playing a game with a song, and physically moving to a song. Content validity check of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4.23/5.00.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verbalization or interaction with vocalization to peers of the child during play time’. Results showed that the singing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verbal and vocal interaction behaviors among the participants, particularly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by increasing and maintaining the target behaviors. Thu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singing activities with nondisabled peers may be a feasible and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interaction behaviors and to develop language skills among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의 발달지체유아 3명을 대상으로 일반유아 6명과 구조화된 노래활동을 실시하여서 발달지체유아의 일반유아에 대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대상자간 다중기초선 설계를 실시하였고, 실험 절차는 기초선, 노래활동 중재, 유지 순서로 진행되었다. 기초선, 중재, 유지관찰은 발달지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자연스런 언어적 상호작용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자유놀이 시간에 이루어졌다. 중재방법은 통합어린이집에서 또래와 함께 참여한 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을 유도한 장혜원(2012)의 노래활동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또래와의 구조화된 노래활동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일반 유아에 대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래활동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또래와의 구조화된 노래활동이 통합환경에서 생활하는 발달지체유아의 일반유아에 대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노래활동 중재는 발달지체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촉진시켜서 통합환경에서 일반 유아와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생활이 가능하게 지원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이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의 발달변화에 미치는 영향

        장혜성,서소정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진단·평가와 연계하여서 조기중재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과정중심평가(CBA)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활용하였을 때에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 발달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영아는 장애위험군 영아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9명, 장애영아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는 「DEP 영아선별·교육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사용하여서 16주간 조기중재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비교집단 영아들이 재학하고 있는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조기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활용하였을 때에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의 발달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적용한 장애위험군 영아집단과 장애영아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더 많은 발달변화를 보였다. 셋째,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 발달점수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장애위험군 영아집단보다 장애영아집단의 발달변화가 훨씬 많았다. 넷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적용한 장애위험군 영아집단의 의사소통영역이 타 영역에 비해서 가장 발달변화가 많았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이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의 발달에 효과적인 교육과정이라는 것을 검증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로서 선정하기 쉽지 않은 3세 미만의 영아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교육현장에서 1학기 이상의 기간에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적용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둘 수 있겠다. It is researched in this study that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young children at risk can be effected when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is used. Eight young children at risk of experiment group with nine children of control group, and twelv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experiment group with twelve children of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DEP development assessment” is used for pre-test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was trained with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for 16 weeks. There are four research results. First, young children at risk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meaningfully improved when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was used. Second, young children at risk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rained with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were more improved than control group. Thi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group were more improved than young children at risk, Fourth, communic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at risk trained with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were improved more than other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