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델파이 분석을 통한 장애학생 진로 · 직업교육 활성화 과제 탐색

        박광옥,이현주,김경선,박희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0 장애와 고용 Vol.3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formance tasks for the promo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Delphi analysis and to develop specific strategies to carry out the tasks. Method: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on 30 experts with abundant knowledge of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 who have directly provided or used relevant education and services for at least 6 years. Results: As a result of Delphi analysis, a total of 6 areas and 19 tasks were derived, including interagency collaborati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cross the lifespan, on-site training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amily participation, lifelong education, and integrated school for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Through the discussion on the task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greed by the Delphi analysis, suggestions were made to activate each task.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vide suggestions preparing for the future special education policy by exploring important and critically required task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델파이 분석을 통하여 장애학생 진로 · 직업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수행 과제를 탐색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장애학생 전환교육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거나 최소 6년 이상 관련 교육을 직접적으로 제공하거나 이용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델파이 분석 결과, 유관부처 및 기관 협업, 생애주기별 진로 · 직업교육, 특수교육대상자 현장실습, 가족참여, 평생교육,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등 총 6개의 활성화 영역과 총 19개의 세부 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델파이 분석에 의해 합의된 장애학생 진로 · 직업교육의 과제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각 과제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학생 진로 · 직업교육 분야에서 현재 중요하고 시급하게 요구되는 과제들을 탐색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중소병원 간호사의 희망 근로조건에 대한 연구

        박광옥,김종경 간호행정학회 2019 간호행정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problems and desired work conditions of nursing organizations in small-medium hospitals. Methods: Delphi Technique was used. In the first stage, the work conditions of nurses in small-medium hospitals were identif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 the second stage, through 3 consultations with 20 nurse advisory groups, feedback was received on the desired work conditions for nurses in small-medium hospitals. In the third stage, 415 nurses and nurse managers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content validity and importance of the desired work conditions identified in the second stage. Results: Sixty-four items were developed along eight domains of desired work conditions for nurses in small-medium hospitals. The survey on the desired work conditions revealed the following in order of importance: ‘wages’, ‘personnel’, ‘job’, ‘work hours’, ‘welfare’, ‘education’, ‘culture’, and and ‘other incentiv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mall-medium hospitals need to recognize the desired work conditions desired by nurses and accordingly change policies through the efforts of hospitals and professional group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소병원의 간호조직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근무조건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델파이기법이 이용되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근무조건에 대해 문헌고찰을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간호사 자문그룹 20명과 3번의 조사를 통해 중소병원의 간호사의 바람직한 근무조건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415명의 중소병원 간호사와 간호관리자를 통해, 두 번째 단계에서 확인된 바람직한 중소병원 간호사의 근무조건의 대한 내용타당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중소병원의 간호사의 바람직한 근무조건은 8개 영역, 64개 항목이 개발되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희망 근로조건의 8개 영역은 '임금', '인력', '업무', '근무시간', '복지', '교육', ‘문화’, '기타 인센티브등이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병원에서는 중소병원 간호사가 원하는 근로조건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병원 및 전문직 단체의 노력이 있어야 하며, 정책에 반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펜데믹 시기, 디지털 돌봄 서비스의 의미와 과제: Gilbert와 Terrell의 정책분석틀 적용

        박광옥,김용득,김상희,남세현,황인매 국회입법조사처 2022 입법과 정책 Vol.14 No.3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igital care services have been implemented in Korea during the pandemic and how they were introduced and activated. The policy analysis model of Gilbert and Terrell was used to analyze the digital care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rough the integrated care of community leading project. The methods, issue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care services were analyzed over four dimensions: allocation, provision, delivery, and finance, as presented by Gilbert and Terrel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se digital care services have closed the care gap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strengthened the discovery and resolution of users’ issues in blind spots, maintaining users’ daily lives and providing support combined with face-to-face and established cooperation. In future, the following tasks should be undertaken: expanding the digital care budget, developing devices based on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upgrading the suitability and connection of digital data, strengthening users' capabilities, and establishing novel enviro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펜데믹 시기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돌봄 서비스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면밀히 파악하여 서비스의 도입 의미와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ilbert와 Terrell의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정부가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을 통해 주도적으로 제공한 디지털 돌봄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Gilbert와 Terrell의 분석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할당, 급여, 전달, 재정 등의 네 가지 차원에서 디지털 돌봄 서비스의 구현 방식과 쟁점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 돌봄 서비스의 의미로 코로나19시기 돌봄 공백 해소, 사각지대 이용자 발굴 및 대응 강화, 이용자의 일상성 유지, 대면지원과 결합된 형태의 지원, 실행을 위한 협력과 연대체계 구축 등의 성과를 파악하였다. 또한 향후 과제로 디지털 돌봄 예산 확대, 보편성과 개별성에 기반한 디바이스 개발, 디지털 데이터의 적합성과 연계성의 고도화, 이용자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역량강화 및 제반 환경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간호사 경력개발시스템에 대한 인식도 조사

        박광옥,이윤영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0 간호행정학회지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nurses perceive the Career Ladder System(CL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questionnaire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an expert group, Participants included 161 nurses working in the Children' s Hospita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x²-test and ANCOVA. Results: This study revealed that nurses who advanced in their career ladders have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and a general comprehension of the CLS more than the nurses who did not advance in their career ladders, However, nurses who advanced in their career ladders have a significantly lower perception of the expected outcome of the CLS more than nurses who did not, Conclusions: This result showed that nurses who had experienced in clinical advancement and recognition were highly motivated with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via the CLS as well as they considered it to allow professional growth.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종사자 인식 연구 -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

        박광옥,이동석,김은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types of service providers in institutions on challenging behavior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ed Q-methodology which is developed mainly to study on the subjective conceptualization of related people on research theme. As a result, three major types of perception on challenging behavior are found out. Type 1 is named as ‘communicational behavior – respect for disabled person’, because challenging behavior is recognized as means of expressing wishes and it is necessary to respect for wishes in itself. Type 2 is named as ‘risky behavior – professional intervention of provider’. It emphasized the undesirable results of challenging behavior and stresses professional intervention of provider. Type 3 is named as ‘unpracticed behavior – self directed support’. Challenging behavior occurs because disabled persons do not know how to act and communic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right reaction and attitude and this support should be delivered by self direction. By this study, we can find diverse perceptions and meanings on challenging behavior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 facilitate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allenging behavior.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들의 빌달장애인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인식유형을 분석하고 유형별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우선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151개의 Q모집단에서 31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으며, 거주시설 종사자 37명을 대상으로 Q분류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거주시설 종사자의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인식유형은 총 3가지로 나타났다. 유형 1은‘의사전달행위 – 당사자 존중형’으로 도전적 행동을 욕구표현수단으로 인식하고, 발달장애인이 중심이 되어 그들의 필요에 기반한 지원을 강조하였다. 유형 2는‘위험수반행위 – 전문가 주도형’으로 도전적 행동의 결과에 초점을 두고,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으로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유형 3은‘경험부족행위 – 당사자 옹호형’으로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은 부족한 경험과 학습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그들의 역량 개발에 중점을 두어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발달장애인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전적 행동을 지원하는 서비스 환경 기반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이해와 필요한 실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원 직무분석 연구

        박광옥,이상진,박희찬,노수희 한국직업재활학회 2014 職業再活硏究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job analysis of care worker assist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DACUM method. The delphi subjects were 30 supported employment specialists consisting of 14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and 16 care worker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delphi survey contents were completed and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twic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importance, difficulties, and frequencies on duties and tasks of care worker assistants, respective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was proven that proper job functions for care worker assist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caregiving, physical supports and daily living supports in 104 job duties. I means that jobs with high-level importance, high-level frequencies and low-level difficulties must be first considered when we place the care worker assistants on the jobs. Second, it is necessary to fully utilize the research results when providing supports for care worker assistants cultivating program based on proper job matching, and to provide consistant follow-up supports after job placement.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discussions and legal systems on this issue are necessar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요양보호사 보조원의 직무분석을 실시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DACUM법에 의하여 요양보호사 직무분석을 수행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요양보호사 보조원에 대한 직무분석을 수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대상자는 발달장애인 지원고용에 대한 전문가로 장애인복지관에서 직업재활 및 장애인 일자리 사업을 담당하는 전문가 14인과 요양보호 현장에서 발달장애인과 함께 일하게 될 요양전문가 16인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는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직무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duty) 및 과제(task)로 제시된 델파이 조사지를 구성하여 1차와 2차에 걸쳐 실시하였고 결과를 중요도, 난이도, 빈도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 보조원에 대한 직무분석 결과 적합 직무로는 요양보호 대상자 요양, 신체수발, 생활보조서비스 3개였으며, 중요도 2.5 이상의 과제는 104개였다. 발달장애인들이 요양보호사 보조원으로 일을 할 경우 중요도가 높으면서 빈도가 높고 난이도 면에서 쉬운 과제를 우선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부식복용 보조업무, 세면시키기 보조업무, 실내이동 돕기 보조업무 등이 우선적으로 수행할 업무로 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에서 수행된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업 수행 시 사업체의 직무와 발달장애인의 능력간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여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고, 일단 취업을 한 후에도 필요한 경우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고용의 특성을 충실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원 일자리 정착을 위해 발달장애인의 취업과 관련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적합한 법적․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함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