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식기를 활용한 식사계획법과 식품교환표를 활용한 식사계획법이 섭취량 조절에 미치는 효과

        안희정 ( Hee Jung Ahn ),구보경 ( Boo Kyung Koo ),정지연 ( Ji Yeon Jung ),귄휘련 ( Hwi Ryun Kwon ),김현진 ( Hyun Jin Kim ),박강서 ( Kang Seo Park ),한경아 ( Kyung Ah Han ),민경완 ( Kyung Wan Min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2

        연구배경: 식품교환표를 활용한 식사계획은 제2형 당뇨병환자들에게 섭취량과 영양소 구성을 교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인지능력이 낮은 환자들은 이러한 교육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정량화된 식기와 식품교환표를 활용하여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구성, 교육의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80명의 제2형 당뇨병환자는 정량화된 식기를 활용한 식사계획 군(BG)과 식품교환표를 활용한 식사계획 군(ExG)으로 분류하였다. BG는 식기 활용방법에 대해 간단히 교육하였다. 교육 시간은 BG에서 10분, ExG에서 40분 정도 소요하였다. 총 섭취량과 열량 영양소 섭취량은 3일 식사 기록지로, 교육의 이해도는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결과: 섭취 열량에 대한 순응도는 12주 교육 후 BG에서 103±10%, ExG에서 101±17%로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두 군 모두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그룹 간 총 섭취 열량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비의 차이는 없었다. 교육 후 이해도에서도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결론: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식기를 활용한 식사 계획법은 짧은 교육 시간에도 식품교환표를 활용한 식사계획법에 비해 섭취량과 열량 영양소 구성비 조절, 교육의 이해도에서 동등한 효과를 보였다. Background: The food exchange-based meal plan is effective in controlling dietary energy intake with a macronutrient balan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actice for relatively low-literacy patients. As an alternative, we developed a system employing a standardized-sized bowl and investigated its effectiveness on achieving proper energy intake and macronutrient composition and patient compli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ood exchange system in Korean type 2 diabetes patients. Methods: Eighty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were assigned to both the novel bowl-based meal plan group (BG) and the food exchange-based meal plan group (ExG). BG received limited simple instructions for the plan. Time spent for plan instruction was 10 min for BG and 40 min for ExG. Dietary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 were estimated with 3-day dietary records and patient comprehension of the plan was estimated with a 5-point Likert scale. Results: After 12 weeks, dietary energy complianc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BG: 103±10%, ExG: 101±17%).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carbohydrate and protein intak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in energy intake between the groups despite the shorter instruction time for BG. Following the instruction perio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scor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is bowl-based plan was equally effective as the food exchange-based plan in controlling dietary energy intake and macronutrient composition, as well as patient comprehension and compliance. Our novel plan may allow for more cost-effective methods in terms of time needed for plan instruction. (Korean Diabetes J 33:155-163, 2009)

      • KCI등재

        비만한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저칼로리 식사가 복부 내장지방, 근육량 및 식사의 질에 미치는 효과

        안희정 ( Hee Jung Ahn ),조윤옥 ( Youn Ok Cho ),권휘련 ( Hwi Ryun Kwon ),구윤희 ( Yun Hyi Ku ),구보경 ( Bo Kyung Koo ),한경아 ( Kyung Ah Han ),민경완 ( Kyung Wan Min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6

        연구배경: 저칼로리 식사로 인한 체중 감량은 내장지방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비만한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이에 의한 근육량과 식사의 질, 인슐린감수성에 미치는 변화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칼로리 식사로 인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비만한 제2형 당뇨병환자 30명(체질량 지수 27.0±2.2 kg/m2)은 저칼로리 식사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12주 동안 저칼로리 식사군은 평소 섭취량에서 500~1,000 kcal를 감소시켜 하루 1,000~1,500 kcal 섭취하도록 하였다. 복부 내장지방과 대퇴부 근육은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측정하였고, 인슐린감수성은 단시간 인슐린 내성검사(short insulin tolerance test, ITT)를 통한 K(ITT) index (rate constant for plasma glucose disappearance index, %/min)로 평가하였다. 영양소 섭취량은 3일 식사 기록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복부 내장지방 감소율은 12주 후 저칼로리 식사군이 -23.4±17.2%, 대조군이 -9.8±11.8%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P=0.002). 그러나 대퇴부 근육량의 감소나 영양소 조성과 영양소 평균 적정비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인슐린감수성은 저칼로리 식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40). 결론: 비만한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저칼로리 식사는 인슐린감수성을 향상시키고, 복부 내장지방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었으며, 대퇴부 근육량의 감소와 식사 질도 변화시키지 않았다. Background: Weight loss through low-calorie diets (LCDs) decreases visceral fat (VF). However, the effects on muscle mass, changes of dietary quality, and insulin sensitivity are unknown for Korean obese type 2 diabetic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such effects of LCDs. Methods: A total of 30 obese type 2 diabetic subjects (body mass index, 27.0±2.2 kg/m2)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LCD or control group. Subjects on LCDs took 500~1,000 kcal fewer energy than their usual dietary intake (1,000~1,500 kcal/day) over the course of 12 weeks. The abdominal VF and femoral muscle mass were evaluated by computed tomography, and insulin sensitivity was assessed using an insulin tolerance test (Kitt; rate constant for plasma glucose disappearance, %/min). Dietary nutrient intake consumed by subjects was assessed by 3-day food records. Results: The percent VF reduction was -23.4±17.2% in the LCD group and -9.8±11.8% in the control group after 12 weeks (P<0.001, P=0.002). However, significant decrease in femoral mass or proportional change of marcronutrient intake and mean adequacy ratio were not found in the LCD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sulin sensitivity improved in the LCD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40). Conclusion: LCD effectively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and reduced abdominal VF without reduction of femoral muscle and dietary quality in obese type 2 diabetic subjects. (Korean Diabetes J 33:526-536, 2009)

      • KCI등재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최대근력과 유산소 운동능력 및 비만도의 관련성

        권휘련 ( Hwi Ryun Kwon ),한경아 ( Kyung Ah Han ),구윤희 ( Yun Hyi Ku ),안희정 ( Hee Jung Ahn ),구보경 ( Bo Kyung Koo ),민경완 ( Kyung Wan Min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6

        연구배경: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병행하면 심폐기능 향상, 복부지방 감소, 혈당 강하, 인슐린감수성 증가 등의 이점이 있다. 복합 운동을 시행할 때 유산소 운동능력 및 최대근력이 운동 강도 설정의 기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환자에서 최대근력과 유산소 운동능력 및 비만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177명(남: 85, 여: 92)의 당화혈색소 10% 이하의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체는 chest press, 하체는 leg press로 최대근력(Keiser)을 측정하였고, VO2max (ER900; Jager)를 이용하여 유산소 운동 능력을, 체성분분석(Inbody 3.0)을 통해 근육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최대근력과 최대산소섭취량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남자: 상·하지 각각 P=0.122, P=0.138, 여자: 상·하지 각각 P=0.952, P=0.570). 최대근력과 근육량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남자: 상지 r=0.493, P<0.001, 하지 r=0.437 P<0.001; 여자: 상지 r=0.315, P=0.002, 하지 r=0.307, P=0.003). 체질량지수와 근육량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인 비만인 환자의 경우 남자는 근육량과 체질량지수가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었으나(r=0.374, P=0.032) 여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r=0.249, P=0.169). 결론: 우리나라 제2형 당뇨병환자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저항운동이 더욱 필요하며, 특히 비만한 여자 환자들은 근육량을 늘리기 위한 복합운동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Background: Combination fitness regimens (including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s) are effective for improving cardio-respiratory fitness, reducing visceral fat and increasing insulin sensitivity in diabetic patients. The combination exercise intensity that a patient is capable of is limited by his or her aerobic capacity and one repetition maximum (1RM).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1RM, 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body mass index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A total of 177 (men: 85, women: 92) diabetic subjects with HbA1c≤10% were enrolled. Muscle strength and 1RM were assessed bychest press (upper body) and leg press (lower body). We assessed aerobic capacity by VO2max and muscle mass by bioimpedance analysis. Resul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1RM and VO2max in type 2 diabetic patients (upper: P=0.122, lower: P=0.138 for men, and upper: P=0.952, lower: P=0.570 for women). However, 1RM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uscle mass both in men and women (upper: r=0.493, P<0.001, r=0.315, P=0.002 lower: r=0.437 P<0.001, r=0.307, P=0.003, respectively).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1RM and BMI. In obese male subjects with BMI≥25 kg/m2, we observ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scle mass and BMI (r=0.374, P=0.032), but this correlation was not observed in women. Conclusion: Clinicians treating Korean type 2 diabetic subjects should recommend resistance exercise to their patients. In particular, obese women with diabetes may receive greater benefits by increasing muscle mass through resistance exercises. (Korean Diabetes J 33:511-517, 2009)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들이 사용하는 그릇 용량과 식사 섭취량과의 관계

        안희정 ( Hee Jung Ahn ),구보경 ( Bo Kyung Koo ),정지연 ( Ji Yeon Jung ),권휘련 ( Hwi Ryun Kwon ),정미연 ( Mi Yeon Chung ),구윤희 ( Yun Hyi Ku ),김진택 ( Jin Taek Kim ),한경아 ( Kyung Ah Han ),민경완 ( Kyung Wan Min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4

        연구배경: 식품의 1회 섭취 분량이나 담는 그릇의 용량은 섭취량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환자들에서 밥 중심의 식사하는 횟수와 식사에 사용하는 그릇의 용량을 조사하였고, 그릇 용량과 섭취량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제2형 당뇨병환자 203명을 대상으로 식사 형태와 장소는 7일 기록지로 조사하였고, 사용 중인 밥그릇, 국그릇, 반찬 그릇의 용량은 메스실린더로 측정하였다. 식사에너지와 영양소 섭취량은 3일 식사 기록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남자: 76명, 여자: 127명)들의 평균 나이는 53.9±9.1세, 비만도는 25.6±4.2 kg/m2였다. 하루 세 끼니를 모두 섭취하는 환자 중 2끼 이상 밥으로 섭취하는 경우는 96.4%였다. 사용하는 밥그릇 용량의 중앙값은 350 cc였으며 국그릇은 530 cc, 반찬 그릇은 260 cc였다. 밥그릇, 국그릇, 반찬 그릇 용량과 비만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밥그릇과 국그릇의 용량은 남자에서 더 컸다(P<0.001). 남자에서 밥그릇 용량은 밥의 에너지 섭취량(kcal/kg/day)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018), 식사 에너지 섭취량(kcal/kg/day)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제2형 남자 당뇨병환자에서 밥그릇 용량은 밥의 에너지 섭취량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식사 에너지 섭취량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그릇을 활용한 식사계획법이 교육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식기용량과 다른 임상적 지표들과의 관계, 성별을 고려한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portion size is a major factor dictating dietary energy intak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ies of rice meals, bowl volumes, and dietary energy intake in a sample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A total of 203 type 2 diabetes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 one-week food diary was collected from each patient and used to assess the types of meal consumed as well as the context of consumption. The volumes of the eating vessels (rice, soup and side dish bowls) used by each patient were obtained by comparisons to measuring cylinders, and dietary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 were estimated for each patient by consulting three-day dietary record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203 subjects (male: 76, female: 127) was 53.9±9.1 years and the average body mass index (BMI) was 25.6±4.2 kg/m2. Among the subjects who ate three times per day, 96.4% consumed rice more than twice out of three meals. The median volume of rice bowls used by patients was 350 cc, of soup bowls was 530 cc and of side dish bowls was 260 cc. Portion size, as estimated by rice bowl volume, was not associated with BMI. Male subjects tended to eat out of larger rice and soup bowls (P<0.001). Portion size was correlated with energy intake from rice (P=0.021), but not with total energy intake (kcal/kg/day), especially in male subjects. Conclusion: Portion size of rice bowl was correlated with energy intake from rice, but not with total energy intake in male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To design effective meal planning methods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warranted to investigate causative relationships between portion size andmetabolic conditions as well as variation by gender. (Korean Diabetes J 33:335-343, 2009)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저항성의 변화

        구윤희 ( Yun Hyi Ku ),구보경 ( Bo Kyung Koo ),안희정 ( Hee Jung Ahn ),정지연 ( Ji Yun Jeong ),석희금 ( Hee Geum Seok ),김호철 ( Ho Chul Kim ),한경아 ( Kyung Ah Han ),민경완 ( Kyung Wan Min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5

        연구배경: 운동은 주로 동맥경화증 및 인슐린저항성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통해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어떤 강도의 운동이 염증을 완화하고, 내피 세포 기능을 개선시키며 인슐린저항성을 호전시키는 데에 더욱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59명의 비만한 여성 2형 당뇨병환자가 대조군(CG, N=18), 중강도 운동군(MEG, N=17), 고강도 운동군(VEG, N=14)으로 randomly 배정되어, 가속계로 모니터하며 12주간 운동 요법을 시행하였다. 연구시작시점, 12주 운동 종료 시점, 연구시작으로부터 1년 시점에 체중,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복부지방, 피하지방, 내장지방을 측정하였으며, 혈장 hs-CRP, IL-6, 인슐린감수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54±7세, 체질량지수는 26.9±2.5 kg/m2이었다. 운동 요법 동안 두 운동군은 운동 칼로리로 각각 488.6±111.9 kcal/day, 518.8±104.1 kcal/day를 사용하였다. 체질량지수, 복부지방, 피하지방은 두 운동군에서(ΔBMI: -1.1±0.7, -0.8±0.5, ΔTF: -4,647±3,613 mm2, -2,577±2,872 mm2, ΔSF: -2,057±2,021 mm2, -1,141±1,825 mm2, respectively)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hs-CRP, IL-6 및 FMD는 변화 없었다. 인슐린감수성은 고강도 운동군에서만 감소하였으며, 내장지방은 중강도 운동군에서만 감소하였다. 1년 추적관찰 결과, 이러한 차이는 모두 소실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동반한 고강도 운동은 3개월간의 intervention을 통해 전신 염증수치나 내피 세포 기능의 변화 없이 인슐린감수성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Background: Exercise offers protection against atherosclerosis and insulin resistance. We evaluated the benefits of exercise at different levels of intensity for ameliorating inflammation, endothelial dysfunc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a sample of type 2 diabetic subjects. Methods: Fifty-nine overweight women with type 2 diabetes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CG, N=18), moderate-intensity exercise (MEG, N=17), and vigorous-intensity exercise (VEG, N=14) groups. Patients i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completed a 12-week exercise program, with their exercise activities monitored by accelerometers. We assessed the patients` body weights, total abdominal fat (TF), subcutaneous fat (SF) and visceral fat (VF) via computed tomography, measurements of plasma levels of hs-C-reactive protein (hs-CRP) and interleukin-6 (IL-6), assessment of endothelial function by brachial artery flow-mediated dilation (FMD), and evaluation of insulin sensitivity by insulin tolerance tests, at baseline, at the end of the 12-week interventions, and one year after initiation of the study. Results: At baseline, the average age of all subjects was 54±7 years, and average body mass index (BMI) was 26.9±2.5 kg/m2. During the intervention, patients in the MEG and VEG groups expended comparable amounts of activity-related calories (488.6±111.9 kcal/day, 518.8±104.1 kcal/day, respectively). Although BMI, TF, and SF decreased similarly in the MEG and VEG groups (ΔBMI: -1.1±0.7, -0.8±0.5, ΔTF: -4,647±3,613 mm2, -2,577±2,872 mm2, ΔSF: -2,057±2,021 mm2, -1,141±1,825 mm2,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0.01), hs-CRP, IL-6, and FMD remained constant in both exercise groups even after completion of the 12-week exercise intervention. Insulin sensitivity improved only in patients subjected to vigorous exercise (VEG). Visceral fat loss was observed only in patients subjected to moderate exercise (MEG). At one-year follow up, these values had all returned to baseline. Conclusion: Exercise vigorous enough to result in significant weight and fat reduction did not ameliorate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dysfunction as measured at the end of a 12-week exercise intervention, nor did it result in sustained improvements in insulin sensitivity in type 2 diabetic subjects. (Korean Diabetes J 33:401-411, 2009)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처음 진단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1일 보수 증가에 의한 당대사 및 운동 능력의 변화

        안근희 ( Keun Hee An ),안희정 ( Hee Jung Ahn ),임강일 ( Kang Il Lim ),한경아 ( Kyung Ah Han ),민경완 ( Kyung Wan Min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4

        목적: 규칙적인 운동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대사상태를 개선시키고 운동 능력을 향상 시킨다. 그렇지만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47.5%는 운동을 거의 하지 않고 지내고 있다. 이에 운동을 하지 않고 지내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보수 측정계를 이용한 걷기 훈련이 당대사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본원에서 처음으로 제 2형 당뇨병을 진단 받았으며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지 않은 환자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수측정계를 착용하여 12주 동안 1일 보수를 측정하도록 하였으며 1일 1만보 이상을 걷도록 훈련하였다. 훈련 전과 12주 훈련 후에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당대사, 인슐린저항성, 지질대사 및 운동능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훈련 12주 후 1일 보수는 약 1만보(p<0.001) 이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상자의 체질량지수(p<0.001)와 허리둘레(p=0.011)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공복 혈당과 식후 2시간 혈당(p<0.001), 당화혈색소(p=0.003)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환자의 무산소성 역치에서의 운동부하(p<0.001)와 산소섭취량(p<0.001), 최대운동시의 운동부하(p<0.001)와 산소섭취량(p<0.001)이 12주 훈련 후 증가 하였으며, 훈련 후 1일 보수와 당화혈색소의 변화는 음의 상관관계(r=-0.711, p<0.001)를 보였다. 또한 12주간의 훈련 후 1일 보수와 최대산소 섭취량의 변화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46, p<0.05). 결론: 처음 당뇨병을 진단받은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에 있어 약 1만보의 1일 보수의 증가는 당대사 및 유산소 운동능력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보수 측정계는 운동을 하지 않고 지내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활동량을 늘리는 효과적 방법이다. Background: Regular exercise improves glycemic control and exercise capacity. However, 47.5% of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o not take part in exercise at least once a week. A recommendation to accumulate 10,000 steps throughout the day has many advant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reasing the number of walking steps per day on glycemic control and exercise capacity using a pedometer in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ics who did not take part in exercise at least once a week. Methods: We included twenty nine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aged 46-62 years who presented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and did not take part in exercise at least once a week. They were encouraged to walk more than 10,000 step/day and the daily steps were recorded using pedometers. A gradual loading exercise test was administered, with an electric stationary upright cycle ergometer, to estimate the rate of oxygen consumption (VO2), exercise time, load and metabolic equivalent (MET)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walk training.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metabolic and lipid profiles and aerobic exercise levels were evaluated for all subjects. Subject descriptive comparisons were made with paired t-tests.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s well to analyze the linear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eps per day were increased to about 10,000 steps per day (p<0.001). Body mass index (p<0.001), abdominal circumference (p=0.011), aerobic exercise capacity level and glycemic control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001). However, lipid profiles were not affected during the exercise interven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creases in steps per day and changes of aerobic capacity such as peak VO2 (r=0.46, p<0.05). Also, increases in steps per da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HbA1c (r=-0.711, p<0.001).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glycemic control and aerobic capacity are improv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steps to over 10,000 steps per day in newly diagnosed Korean type 2 diabetics. Our result suggest that a pedometer may be used as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of encouraging physical activity to type 2 diabetics who did not take part in exercise at least once a week.(Korean J Med 71:388-395, 2006)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나이에 따른 최대근력의 변화

        권휘련 ( Hwi Ryun Kwon ),구윤희 ( Yun Hyi Ku ),안희정 ( Hee Jung Ahn ),정지연 ( Ji Yun Jeong ),류상열 ( Sang Ryol Ryu ),구보경 ( Bo Kyung Koo ),한경아 ( Kyung Ah Han ),민경완 ( Kyung Wan Min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5

        연구배경: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만으로는 근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저항운동으로 근력 운동을 병행했을 때 근질량, 근력 및 인슐린감수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당뇨병환자에서 저항운동의 기준이 되는 최대근력에 대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환자에서 운동 강도와 부하의 척도가 되는 최대근력의 기준 자료를 마련하고, 연령에 따라 최대근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제2형 당뇨병환자 총 266명(남: 95, 여: 171)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근력의 척도로 최대근력(1RM; KEISER, Fresno, CA, USA)을 측정하였고, 최대근력 측정을 위해 상체는 체스트 프레스(chest press), 하체는 레그 프레스(leg press)를 이용하였다. 결과: 상·하지 최대근력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상지 최대근력: (남) r=-0.454, P<0.001, (여) r=-0.480, P<0.001; 하지 최대근력: (남) r=-0.569, P<0.001, (여) r=-0.452, P<0.001. 남자의 최대근력은 나이가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는 70대부터 관찰되었고 여자는 50대부터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남·녀 모두 최대근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50대 이후부터 저항운동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It is difficult to improve muscle strength with only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type 2 diabetes patients. Resistance training is effective for improving muscle mass, muscle strength and insulin sensitivity. One repetition maxima (1RM), or the maximum amount of weight a subject can lift in a single repetition, may be a useful unit for evaluating the results of resistance training in type 2 diabetic patients.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baseline values for 1RM in a sample of Korea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at are scaled for intensity and load of exercise,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of 1RM to age. Methods: A total of 266 (male: 95, female: 171)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ample. Maximal muscle strength was assessed by measuring 1RM for each subject (KEISER, Fresno, CA, USA). Two different exercises were used to measure 1RM: the chest press for the upper extremities, and the leg press for the lower extremities. Results: Both upper and lower values of 1RM decreased with age in men and women; upper 1RM: r=-0.454, P<0.001 in men, r=-0.480, P<0.001 in women, lower 1RM: r=-0.569, P<0.001 in men, and r=-0.452, P<0.001 in women. Values of 1RM significantly decreased in men only after the age of 70. In women, values of 1RM continuously decreased after the age of 60. Conclusion: The maximal muscle strength of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decreases with age. We believe that resistance training is especially beneficial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after the sixth decade of life. (Korean Diabetes J 33:412-420, 20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